[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채무증권) 2024-05-28 16:4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28000445
금융위원회 귀중 | 2024년 05월 28일 |
회 사 명 : | 지에스건설(주) |
대 표 이 사 : | 허윤홍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33 그랑서울 |
(전 화) 02-2154-1112 | |
(홈페이지) http://www.gsenc.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금융담당 (성 명) 강영주 |
(전 화) 02-2154-6769 |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4년 05월 22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GS건설 제144-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원화공모사채
GS건설 제144-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원화공모사채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제144-1회 금 오백억원(₩50,000,000,000)
제144-2회 금 오백억원(₩50,000,000,000)
4. 정정사유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5.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요구ㆍ명령 관련 여부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본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결정에 따른 것으로, 정정 및 추가 기재된 사항은 굵은 파란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요약정보 - 1. 핵심투자위험]은 본문의 정정사항을 반영하였으며,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
요약정보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 | ||||
1. 공모개요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 | (주3) 추가 기재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 아니오 |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발행조건 확정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 나. 수익성 악화 관련 위험 | 아니오 | 기재 정정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 다. 재무안정성에 관한 사항 | 아니오 | 기재 정정 | (주7) 정정 전 | (주7)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 바. 매출채권 관련 사항 | 아니오 | 기재 정정 | (주8) 정정 전 | (주8)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 사. 미청구공사(계약자산) 관련 사항 | 아니오 | 기재 정정 | (주9) 정정 전 | (주9) 정정 후 |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 차. 소송 및 제재에 관한 사항 | 아니오 | 기재 정정 | (주10) 정정 전 | (주10) 정정 후 |
(주1) 정정 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회차 : | 144-1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5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50,000,000,000 |
발행가액 | 50,000,000,000 | 이자율 | - |
발행수익률 | - | 상환기일 | 2025년 12월 03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신한은행 GS타워대기업금융센터 | (사채)관리회사 | DB금융투자(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4년 05월 21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A0) |
2024년 05월 21일 | 나이스신용평가 | 회사채 (A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NH투자증권 | 2,500,000 | 25,000,000,000 | 인수수수료 0.30% | 총액인수 |
대표 | 미래에셋증권 | 2,500,000 | 25,000,000,000 | 인수수수료 0.3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4년 06월 03일 | 2024년 06월 03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50,000,000,000 |
발행제비용 | 255,57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5월 07일 NH투자증권(주),케이비증권(주), 미래에셋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 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6월 0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6월 04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5월 27일 09시에서 16시 30분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결과에 권면(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
회차 : | 144-2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5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50,000,000,000 |
발행가액 | 50,000,000,000 | 이자율 | - |
발행수익률 | - | 상환기일 | 2026년 06월 03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신한은행 GS타워대기업금융센터 | (사채)관리회사 | DB금융투자(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4년 05월 21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A0) |
2024년 05월 21일 | 나이스신용평가 | 회사채 (A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2,500,000 | 25,000,000,000 | 인수수수료 0.30% | 총액인수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2,500,000 | 25,000,000,000 | 인수수수료 0.3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4년 06월 03일 | 2024년 06월 03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50,000,000,000 |
발행제비용 | 225,62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5월 07일 NH투자증권(주),케이비증권(주), 미래에셋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6월 0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6월 04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5월 27일 09시에서 16시 30분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결과에 권면(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단, 민간채권평가회사4사 중 청약일 1영업일 전 기준으로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을 제공하지 않는 회사가 있을 경우, 당해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주3) 상기 기재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144회 무보증사채의 전자등록총액은 금 이천억원(\2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와 "인수인"이 협의하여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주4)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확정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및 확정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5월 2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상기 일정은 금리 협의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 정정 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회차 : | 144-1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5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50,000,000,000 |
발행가액 | 50,000,000,000 | 이자율 | - |
발행수익률 | - | 상환기일 | 2025년 12월 03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신한은행 GS타워대기업금융센터 | (사채)관리회사 | DB금융투자(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4년 05월 21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A0) |
2024년 05월 21일 | 나이스신용평가 | 회사채 (A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NH투자증권 | 2,500,000 | 25,000,000,000 | 인수수수료 0.30% | 총액인수 |
대표 | 미래에셋증권 | 2,500,000 | 25,000,000,000 | 인수수수료 0.3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4년 06월 03일 | 2024년 06월 03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50,000,000,000 |
발행제비용 | 255,57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5월 07일 NH투자증권(주),케이비증권(주), 미래에셋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 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6월 0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6월 04일임. |
주) 본 사채의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1년 6개월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자리 이하 절사)에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회차 : | 144-2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50,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50,000,000,000 |
발행가액 | 50,000,000,000 | 이자율 | - |
발행수익률 | - | 상환기일 | 2026년 06월 03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신한은행 GS타워대기업금융센터 | (사채)관리회사 | DB금융투자(주) |
비고 | - |
평가일 | 신용평가기관 | 등 급 |
---|---|---|
2024년 05월 21일 | 한국신용평가 | 회사채 (A0) |
2024년 05월 21일 | 나이스신용평가 | 회사채 (A0) |
인수(주선) 여부 | 채무증권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인수 | 예 |
인수(주선)인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2,500,000 | 25,000,000,000 | 인수수수료 0.30% | 총액인수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2,500,000 | 25,000,000,000 | 인수수수료 0.3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4년 06월 03일 | 2024년 06월 03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운영자금 | 50,000,000,000 |
발행제비용 | 225,62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5월 07일 NH투자증권(주),케이비증권(주), 미래에셋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6월 0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6월 04일임. |
주) 본 사채의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자리 이하 절사)에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주2) 정정 전
1. 공모개요
[회 차 : | 144-1 | ]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권 면 총 액 | 5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금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5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의 방법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변동금리부 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여 매 1개월마다 상기 사채의 이자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 1/12씩 분할후급하여 아래의 이자지급기일에 지급한다. 단,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 지급일 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특별시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4년 07월 03일, 2024년 08월 03일, 2024년 09월 03일, 2024년 10월 03일, 2024년 11월 03일, 2024년 12월 03일, 2025년 01월 03일, 2025년 02월 03일, 2025년 03월 03일, 2025년 04월 03일, 2025년 05월 03일, 2025년 06월 03일, 2025년 07월 03일, 2025년 08월 03일, 2025년 09월 03일, 2025년 10월 03일, 2025년 11월 03일, 2025년 12월 03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 / 나이스신용평가(주) |
평가일자 | 2024년 05월 21일 / 2024년 05월 21일 | |
평가결과등급 | A0 / A0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사채의 원금은 2025년 12월 03일에 일시 상환한다. 단, 상환기일이 은행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상환기일부터 실제 상환일까지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 지급일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특별시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5년 12월 03일 | |
납 입 기 일 | 2024년 06월 03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신한은행 GS타워대기업금융센터 |
고유번호 | 00149293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5월 07일 NH투자증권(주),케이비증권(주), 미래에셋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6월 0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6월 04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5월 27일 09시에서 16시 30분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결과에 권면(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1년 6개월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단, 민간채권평가회사4사 중 청약일 1영업일 전 기준으로 GS건설(주) 1년 6개월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을 제공하지 않는 회사가 있을 경우, 당해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주3) 상기 기재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144회 무보증사채의 전자등록총액은 금 이천억원(\2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와 "인수인"이 협의하여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주4)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확정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및 확정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5월 2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상기 일정은 금리 협의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회 차 : | 144-2 | ]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권 면 총 액 | 5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금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5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의 방법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변동금리부 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여 매 1개월마다 상기 사채의 이자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 1/12씩 분할후급하여 아래의 이자지급기일에 지급한다. 단,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 지급일 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특별시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4년 07월 03일, 2024년 08월 03일, 2024년 09월 03일, 2024년 10월 03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 / 나이스신용평가(주) |
평가일자 | 2024년 05월 21일 / 2024년 05월 21일 | |
평가결과등급 | A0 / A0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사채의 원금은 2026년 06월 03일에 일시 상환한다. 단, 상환기일이 은행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상환기일부터 실제 상환일까지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 지급일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특별시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6년 06월 03일 | |
납 입 기 일 | 2024년 06월 03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신한은행 GS타워대기업금융센터 |
고유번호 | 00149293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5월 07일 NH투자증권(주),케이비증권(주), 미래에셋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6월 0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6월 04일임.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5월 27일 09시에서 16시 30분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결과에 권면(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단, 민간채권평가회사4사 중 청약일 1영업일 전 기준으로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을 제공하지 않는 회사가 있을 경우, 당해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주3) 상기 기재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144회 무보증사채의 전자등록총액은 금 이천억원(\2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와 "인수인"이 협의하여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주4)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확정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및 확정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5월 2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상기 일정은 금리 협의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정정 후
1. 공모개요
[회 차 : | 144-1 | ]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권 면 총 액 | 5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금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5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의 방법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변동금리부 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여 매 1개월마다 상기 사채의 이자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 1/12씩 분할후급하여 아래의 이자지급기일에 지급한다. 단,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 지급일 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특별시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4년 07월 03일, 2024년 08월 03일, 2024년 09월 03일, 2024년 10월 03일, 2024년 11월 03일, 2024년 12월 03일, 2025년 01월 03일, 2025년 02월 03일, 2025년 03월 03일, 2025년 04월 03일, 2025년 05월 03일, 2025년 06월 03일, 2025년 07월 03일, 2025년 08월 03일, 2025년 09월 03일, 2025년 10월 03일, 2025년 11월 03일, 2025년 12월 03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 / 나이스신용평가(주) |
평가일자 | 2024년 05월 21일 / 2024년 05월 21일 | |
평가결과등급 | A0 / A0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사채의 원금은 2025년 12월 03일에 일시 상환한다. 단, 상환기일이 은행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상환기일부터 실제 상환일까지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 지급일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특별시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5년 12월 03일 | |
납 입 기 일 | 2024년 06월 03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신한은행 GS타워대기업금융센터 |
고유번호 | 00149293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5월 07일 NH투자증권(주),케이비증권(주), 미래에셋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6월 0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6월 04일임. |
주) 본 사채의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1년 6개월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자리 이하 절사)에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회 차 : | 144-2 | ]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권 면 총 액 | 50,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률(%) | -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사채 전자등록금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50,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의 방법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 |
변동금리부 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여 매 1개월마다 상기 사채의 이자율을 적용한 연간 이자의 1/12씩 분할후급하여 아래의 이자지급기일에 지급한다. 단, 이자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이자를 지급하되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 지급일 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특별시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4년 07월 03일, 2024년 08월 03일, 2024년 09월 03일, 2024년 10월 03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한국신용평가(주) / 나이스신용평가(주) |
평가일자 | 2024년 05월 21일 / 2024년 05월 21일 | |
평가결과등급 | A0 / A0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사채의 원금은 2026년 06월 03일에 일시 상환한다. 단, 상환기일이 은행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상환기일부터 실제 상환일까지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 지급일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특별시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되,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의 이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이율을 적용한다. |
상 환 기 한 | 2026년 06월 03일 | |
납 입 기 일 | 2024년 06월 03일 | |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신한은행 GS타워대기업금융센터 |
고유번호 | 00149293 | |
기 타 사 항 |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4년 05월 07일 NH투자증권(주),케이비증권(주), 미래에셋증권(주) 및 신한투자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필증의 교부 등이 존재하지 않음. ▶ 본 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전자등록에 의한 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본 사채는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9조에 의거 전자등록주식 등의 소유자가 권리행사를 위하여 계좌관리기관을 통해 신청하는 경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소유자증명서"를 발행하여야 함. ▶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24년 06월 03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06월 04일임. |
주) 본 사채의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자리 이하 절사)에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주3) 추가 기재
다. 수요예측 결과
1. 수요예측 참여 내역
[회차: 제144-1회] | |
(단위: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운용사 (집합, 일임)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2 | 6 | - | - | - | - | 8 |
수량 | 100 | 210 | - | - | - | - | 310 |
경쟁율 | 0.2:1 | 0.42:1 | - | - | - | - | 0.62:1 |
주1) 단순경쟁률은 최초 발행예정금액 대비 산출한 수치임 주2) 상기 참여내역 경쟁률은 유효수효 여부를 판단하지 않은 수치임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회차: 제144-2회] | |
(단위: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운용사 (집합, 일임)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 | 1 | - | - | - | - | 1 |
수량 | - | 60 | - | - | - | - | 60 |
경쟁율 | - | 0.12:1 | - | - | - | - | 0.12:1 |
주) 단순경쟁률은 최초 발행예정금액 대비 산출한 수치임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2.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회차: 제144-1회] | |
(단위: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누적합계 | 유효수요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 (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비율 | 누적수량 | 누적비율 | ||
86 | - | - | 2 | 40 | - | - | - | - | - | - | - | - | 2 | 40 | 12.90% | 40 | 12.90% | 포함 |
87 | - | - | 1 | 20 | - | - | - | - | - | - | - | - | 1 | 20 | 6.45% | 60 | 19.35% | 포함 |
91 | - | - | 1 | 50 | - | - | - | - | - | - | - | - | 1 | 50 | 16.13% | 110 | 35.48% | 포함 |
100 | 1 | 10 | 2 | 100 | - | - | - | - | - | - | - | - | 3 | 110 | 35.48% | 220 | 70.97% | 포함 |
120 | 1 | 90 | - | - | - | - | - | - | - | - | - | - | 1 | 90 | 29.03% | 310 | 100.00% | 미포함 |
합계 | 2 | 100 | 6 | 210 | 0 | 0 | - | - | - | - | - | - | 8 | 310 | 100.00% | - | - | - |
주)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회차: 제144-2회] | |
(단위: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누적합계 | 유효수요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 (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비율 | 누적수량 | 누적비율 | ||
100 | - | - | 1 | 60 | - | - | - | - | - | - | - | - | 1 | 60 | 100.00% | 60 | 100.00% | 포함 |
합계 | 0 | 0 | 1 | 60 | 0 | 0 | - | - | - | - | - | - | 1 | 60 | 100.00% | - | - | - |
주)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3. 수요예측 상세 분포 현황
[회차: 제144-1회] | |
(단위: 건, 억원) |
수요예측 참여자 | GS건설 1.5년 개별민평 대비 스프레드 | |||||
86 | 87 | 91 | 100 | 120 | 합계 | |
기관투자자1 | 20 | - | - | - | - | 20 |
기관투자자2 | 20 | - | - | - | - | 20 |
기관투자자3 | - | 20 | - | - | 20 | |
기관투자자4 | - | - | 50 | - | - | 50 |
기관투자자5 | - | - | - | 50 | - | 50 |
기관투자자6 | - | - | - | 50 | - | 50 |
기관투자자7 | - | - | - | 10 | - | 10 |
기관투자자8 | - | - | - | - | 90 | 90 |
합계 | 40 | 20 | 50 | 110 | 90 | 310 |
누적 합계 | 40 | 60 | 110 | 220 | 310 | - |
[회차: 제144-2회] | |
(단위: 건, 억원) |
수요예측 참여자 | GS건설 2년 개별민평 대비 스프레드 | |
---|---|---|
100 | 합계 | |
기관투자자1 | 60 | 60 |
합계 | 60 | 60 |
누적 합계 | 60 | - |
3. 유효수요의 범위, 산정근거
구 분 | 내 용 |
---|---|
유효수요의 정의 | "유효수요"란, 공모금리 결정 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물량 |
유효수요의 범위 | 공모희망금리 상단 이자율 이내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모든 물량 |
유효수요 산정 근거 | 2024년 05월 27일 실시된 수요예측 결과 본 사채의 공모 희망금리 범위 내의 수요예측 참여물량이 발행예정금액에 미달되어 공동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인 GS건설(주)와 협의하여 최초 증권신고서 제출시 기재한 바와 같이 본 사채의 발행금액을 제144-1회 500억원 및 제144-2회 500억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최종 발행금리 결정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의 반영 내용 | 본 사채의 최종 발행금리는 앞서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내에서 낮은 금리부터 "누적도수"로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결정하였습니다. [제144-1회] 본 사채의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사채의 전자등록 총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1년 6개월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자리 이하 절사)에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제144-2회] 본 사채의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사채의 전자등록 총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자리 이하 절사)에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주4) 정정 전
나. 사채의 관리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 | 기타조건 | |||
명칭 | 고유번호 | 회차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DB금융투자 | 00115697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동부증권빌딩 | 제144-1회 | 50,000,000,000 | 3,500,000 | - |
제144-2회 | 50,000,000,000 | 3,500,000 |
주1) 상기 기재된 위탁금액은 예정 금액이며, 수요예측의 결과에 따라 제144-1회, 제144-2회 무보증사채의 전자등록총액 합산 총 이천억원(\2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상기 수수료는 금번 제144-1, 제144-2회 무보증사채에 대한 총 7,000,000원의 사채관리수수료를 임의 배분한 내역입니다. |
(주4) 정정 후
나. 사채의 관리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 | 기타조건 | |||
명칭 | 고유번호 | 회차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DB금융투자 | 00115697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동부증권빌딩 | 제144-1회 | 50,000,000,000 | 3,500,000 | - |
제144-2회 | 50,000,000,000 | 3,500,000 |
(삭제) 주1) 상기 수수료는 금번 제144-1, 제144-2회 무보증사채에 대한 총 7,000,000원의 사채관리수수료를 임의 배분한 내역입니다. |
(주5) 정정 전
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억원) |
구분 | 전자등록금액 | 이자율 | 만기일 | 옵션관련사항 |
---|---|---|---|---|
제144-1회 무보증사채 | 500 | 주3) | 2025년 12월 03일 | - |
제144-2회 무보증사채 | 500 | 주4) | 2026년 06월 03일 |
주1) 본 사채는 2024년 05월 27일 09시에서 16시 30분까지 한국금융투자협회 K-Bond 프로그램 및 FAX 접수방법을 통해 실시하는 수요예측결과에 권면(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이자율, 발행수익률 등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주2) 상기 기재된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총액, 발행가액)은 예정금액이며,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제144회 무보증사채의 전자등록총액은 금 이천억원(\2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발행회사"와 "인수인"이 협의하여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주3)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1년 6개월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단, 민간채권평가회사4사 중 청약일 1영업일 전 기준으로 GS건설(주) 1년 6개월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을 제공하지 않는 회사가 있을 경우, 당해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주4)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단, 민간채권평가회사4사 중 청약일 1영업일 전 기준으로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을 제공하지 않는 회사가 있을 경우, 당해 회사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주5) 수요예측 결과에 의해 확정된 확정 총액(전자등록총액, 모집(매출)총액, 발행가액) 및 확정 금리, 확정된 인수인의 인수수량 및 인수금액은 2024년 05월 2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상기 일정은 금리 협의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중략)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 | 기타조건 | |||
명칭 | 고유번호 | 회차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DB금융투자(주) | 00115697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동부증권빌딩 | 제144-1회 | 50,000,000,000 | 3,500,000 | - |
제144-2회 | 50,000,000,000 | 3,500,000 |
주1) 상기 기재된 위탁금액은 예정 금액이며, 수요예측의 결과에 따라 제144-1회, 제144-2회 무보증사채의 전자등록총액 합산 총 이천억원(\200,000,000,00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상기 수수료는 금번 제144-1, 제144-2회 무보증사채에 대한 총 7,000,000원의 사채관리수수료를 임의 배분한 내역입니다. |
(주5) 정정 후
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억원) |
구분 | 전자등록금액 | 이자율 | 만기일 | 옵션관련사항 |
---|---|---|---|---|
제144-1회 무보증사채 | 500 | 주1) | 2025년 12월 03일 | - |
제144-2회 무보증사채 | 500 | 주2) | 2026년 06월 03일 |
주1) 본 사채의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1년 6개월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자리 이하 절사)에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주2) 본 사채의 이자율 및 발행수익률은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자산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GS건설(주) 2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자리 이하 절사)에 +1.0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중략)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단위 : 원)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 | 기타조건 | |||
명칭 | 고유번호 | 회차 | 위탁금액 | 수수료(정액) | ||
DB금융투자(주) | 00115697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32 동부증권빌딩 | 제144-1회 | 50,000,000,000 | 3,500,000 | - |
제144-2회 | 50,000,000,000 | 3,500,000 |
(삭제) 주1) 상기 수수료는 금번 제144-1, 제144-2회 무보증사채에 대한 총 7,000,000원의 사채관리수수료를 임의 배분한 내역입니다. |
(주6) 정정 전
나. 수익성 악화 관련 위험 |
(중략)
한편 2024년 1분기 매출액의 경우 사업 전반적으로 매출이 감소함에 따라 전년동기대비 약 12.6%의 감소한 3조 709억원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연결자회사 자이씨앤에이 관계사 공사 물량의 공백으로 인한 매출 감소 영향이 컸으며, 플랜트 역시 대형 프로젝트 준공 영향으로 2023년이래 지속적으로 매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2023년까지의 전반적 매출 개선에도 불구하고 2023년 기준 당사의 영업이익률은 -2.9%를 기록하며 2021년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인해 인프라 및 플랜트 부문이 영업적자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주로 중동지역 현장에서 2020년 이후 COVID-19 및 저유가사태 등으로 공사 및 도급설계변경 협의가 지연됨에 따른 것입니다. 2021년 바레인 LNG터미널 현장의 정산 문제로 인한 일회성 비용 지출, 2022년 이라크 카르발라 현장 등에서의 약 1천억원의 원가 추가 인식 등을 주요 사례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수익성을 견인하는 건축ㆍ주택부문 역시 영업이익률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범세계적 인플레이션 영향에 따라 주요 건자재 가격이 상승한데 기인한 것입니다.
추가로 당사는 2023년 4월 29일 발생한 인천 검단아파트 사고 관련하여 재시공, 입주예정자 손해배상 등 비용 5,528억원과 주력 사업부문인 건축ㆍ주택부문의 수익성 저하로 2023년 실적 기준 연간 3,87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2024년 1분기의 경우 70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저조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는 2023년 4분기 대비 개선된 수치로, 이는 건축ㆍ주택부문 원가율이 2023년 고강도 원가 점검 이후 점차 개선되는 구간에서 준공 정산 이익이 더해진 영향입니다.
[당사 수익성 현황]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2024년 1분기 | 2023년 1분기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매출액 | 3,070,914 | 3,512,682 | 13,436,685 | 12,299,196 | 9,036,575 |
매출총이익 | 275,433 | 346,093 | 262,194 | 1,286,607 | 1,350,757 |
영업이익 | 70,520 | 158,881 | (387,945) | 554,835 | 646,486 |
당기순이익 | 139,367 | 163,348 | (419,501) | 441,212 | 428,803 |
매출총이익률 | 9.0 | 9.9 | 2.0 | 10.5 | 14.9 |
영업이익률 | 2.3 | 4.5 | -2.9 | 4.5 | 7.2 |
순이익률 | 4.5 | 4.7 | -3.1 | 3.6 | 4.7 |
출처 : 당사 정기보고서 |
상기와 같은 수익성 이슈는 주요 영업손실 발생 사업부였던 플랜트 부문의 영업손실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점, 2023년 주요 영업손실 발생 원인이 검단아파트 사고 관련 이슈가 일회성 비용이라는 점을 고려 시 2023년과 같은 대규모 영업손실이 재발할 가능성은 한정적으로 판단됩니다. 추가로 회사는 건자재 및 인건비 가격 상승에 따라 최대한 보수적 원가율 반영을 통해 건축ㆍ주택 부문의 수익성 개선을 유도하고 있으며, 안전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장 품질, 안전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상기 케이스와 유사한 사건의 발생 또는 원자재가, 인건비 추가 인상으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은 재차 악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리스크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당사가 영위하는 건설사업의 특성상 매출이 사업장별로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기 때문에 최초 예상했던 도급금액 및 매출액이 실행변경(도급금액 또는 예상원가 변경)으로 인해서 변경될 경우, 발생분기에 매출손익을 새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사업장별 도급금액 및 예상원가 변경, 국내와 해외 사업장 상황에 따른 원가 변동등으로 최초 산정한 원가율을 상회하여 매출원가가 발생할 수 있으며 향후 매출원가의 상승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국내외 지정학적 이슈 발생 등으로 경기 회복세 및 소비 심리가 급격히 위축될 경우 민간주택 사업 관련 대금 회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축사업부문의 비중이 높은 당사의 수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존재함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6) 정정 후
나. 수익성 악화 관련 위험 2024년 1분기 당사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2.6% 하락한 3조 709억원을 기록하였으며, 당사의 영업이익률은 2.3%를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회사는 2023년 4월 발생한 인천 검단아파트 사고 관련하여 재시공, 입주예정자 손해배상 등 비용 5,528억원과 주력 사업부문인 건축ㆍ주택부문의 수익성 저하로 2023년 실적 기준 연간 3,87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이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상기와 같은 수익성 이슈는 과거 주요 영업손실 발생 사업부였던 플랜트 부문의 영업손실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점, 2023년 주요 영업손실 발생 원인이 검단아파트 사고 관련 이슈가 일회성 비용이라는 점을 고려 시 2023년과 같은 대규모 영업손실이 재발할 가능성은 한정적으로 판단됩니다. 추가로 회사는 건자재 및 인건비 가격 상승에 따라 최대한 보수적 원가율 반영, 향후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원자재가의 상승을 반영한 신규 계약을 체결하여 건축ㆍ주택 부문의 수익성 개선을 유도하고 있으며, 안전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장 품질, 안전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상기 케이스와 유사한 사건의 발생 또는 원자재가 및 인건비 추가 인상으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은 재차 악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리스크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한편 2024년 1분기 매출액의 경우 사업 전반적으로 매출이 감소함에 따라 전년동기대비 약 12.6%의 감소한 3조 709억원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연결자회사 자이씨앤에이 관계사 공사 물량의 공백(주요 발주처의 신규투자규모 축소 및 투자시기 이연에 따른 발주 지연)으로 인한 매출 감소 영향이 컸으며, 플랜트 역시 과거 진행하던 대형 프로젝트 준공 영향으로 2023년이래 지속적으로 매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구체적으로 플랜트 매출의 경우, 기간에 걸쳐 수행하는 의무는 수행의무 완료까지의 진행률을 측정하여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하므로, 준공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추가 인식 매출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2023년까지의 전반적 매출 개선에도 불구하고 2023년 기준 당사의 영업이익률은 -2.9%를 기록하며 2021년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인해 인프라 및 플랜트 부문이 영업적자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주로 중동지역 현장에서 2020년 이후 COVID-19 및 저유가사태 등으로 공사 및 도급설계변경 협의가 지연됨에 따른 것입니다. 2021년 바레인 LNG터미널 현장의 정산 문제로 인한 일회성 비용 지출, 2022년 이라크 카르발라 현장 등에서의 약 1천억원의 원가 추가 인식 등을 주요 사례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수익성을 견인하는 건축ㆍ주택부문 역시 영업이익률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범세계적 인플레이션 영향에 따라 주요 건자재 가격이 상승한데 기인한 것입니다.
추가로 당사는 2023년 4월 29일 발생한 인천 검단아파트 사고 관련하여 재시공, 입주예정자 손해배상 등 비용 5,528억원과 주력 사업부문인 건축ㆍ주택부문의 수익성 저하로 2023년 실적 기준 연간 3,87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2024년 1분기의 경우 70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저조한 모습을 보였으나, 이는 2023년 4분기 대비 개선된 수치로, 이는 건축ㆍ주택부문 원가율이 2023년 고강도 원가 점검 이후 점차 개선되는 구간에서 준공 정산 이익이 더해진 영향입니다.
[당사 수익성 현황] |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2024년 1분기 | 2023년 1분기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매출액 | 3,070,914 | 3,512,682 | 13,436,685 | 12,299,196 | 9,036,575 |
매출총이익 | 275,433 | 346,093 | 262,194 | 1,286,607 | 1,350,757 |
영업이익 | 70,520 | 158,881 | (387,945) | 554,835 | 646,486 |
당기순이익 | 139,367 | 163,348 | (419,501) | 441,212 | 428,803 |
매출총이익률 | 9.0 | 9.9 | 2.0 | 10.5 | 14.9 |
영업이익률 | 2.3 | 4.5 | -2.9 | 4.5 | 7.2 |
순이익률 | 4.5 | 4.7 | -3.1 | 3.6 | 4.7 |
출처 : 당사 정기보고서 |
상기와 같은 수익성 이슈는 주요 영업손실 발생 사업부였던 플랜트 부문의 영업손실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점, 2023년 주요 영업손실 발생 원인이 검단아파트 사고 관련 이슈가 일회성 비용이라는 점을 고려 시 2023년과 같은 대규모 영업손실이 재발할 가능성은 한정적으로 판단됩니다. 추가로 회사는 건자재 및 인건비 가격 상승에 따라 최대한 보수적 원가율 반영, 향후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원자재가의 상승을 반영한 신규 계약을 체결하여 건축ㆍ주택 부문의 수익성 개선을 유도하고 있으며, 안전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장 품질, 안전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상기 케이스와 유사한 사건의 발생 또는 원자재가, 인건비 추가 인상으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은 재차 악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리스크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당사가 영위하는 건설사업의 특성상 매출이 사업장별로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기 때문에 최초 예상했던 도급금액 및 매출액이 실행변경(도급금액 또는 예상원가 변경)으로 인해서 변경될 경우, 발생분기에 매출손익을 새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사업장별 도급금액 및 예상원가 변경, 국내와 해외 사업장 상황에 따른 원가 변동등으로 최초 산정한 원가율을 상회하여 매출원가가 발생할 수 있으며 향후 매출원가의 상승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국내외 지정학적 이슈 발생 등으로 경기 회복세 및 소비 심리가 급격히 위축될 경우 민간주택 사업 관련 대금 회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 경우 건축사업부문의 비중이 높은 당사의 수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존재함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전
다. 재무안정성에 관한 사항 2024년 1분기 기준 당사의 총차입금은 약 6조 128억원으로, 2023년 5조 6,963억원 대비 3,165억원 증가하였으며, 부채비율의 경우 2023년 262.5%, 2024년 1분기 259.7%를 기록, 2022년 216.4% 대비 급등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검단아파트 관련사고 이후 사고 관련 대규모충당부채 설정과 국내외 주택사업 관련 운전자금 소요 및 대여금 지출, GS이니마 등 신사업 종속회사들의 차입 증가 자이씨앤에이 인수 등으로 재무부담이 가중된 것에 기인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차입금 증가에 따라 회사의 이자보상배율 역시 2021년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의 경우 영업손실발생에 따라 -1.27, 2024년 1분기의 경우 0.88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총차입금 중 2024년 1분기 기준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 차입금의 규모는 2조 4,101억원으로, 전체 총 차입금 규모의 약 40.1%를 차지하고 있으나 회사의 유동비율이 108.5%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말 회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규모가 2조 3,248억원, 단기금융자산의 규모가 5,875억원인 점을 고려시 단기간에 당사의 재무유동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부동산 경기 침체, 매출채권 회수의 지연 등 영업환경의 변화로 현금흐름이 경색되는 경우, 회사의 유동성 공급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영업환경 전반을 점검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회사의 총차입금 중 2024년 1분기 기준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 차입금의(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부채) 규모는 2조 4,101억원으로 전체 총차입금 규모의 약 40.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는 2023년 유동성 차입금 비중 41.0%보다 0.9%p 감소한 수치로, 현재 회사의 유동비율이 108.5%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말 회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규모가 2조 3,248억원이며 단기금융자산의 규모가 5,875억원임을 고려시 단기간에 당사의 재무유동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부동산 경기 침체, 매출채권 회수의 지연 등 영업환경의 변화로 현금흐름이 경색되는 경우, 유동성 공급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영업환경 전반을 점검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중략)
(주7) 정정 후
다. 재무안정성에 관한 사항 2024년 1분기 기준 당사의 총차입금은 약 6조 128억원으로, 2023년 5조 6,963억원 대비 3,165억원 증가하였으며, 부채비율의 경우 2023년 262.5%, 2024년 1분기 259.7%를 기록, 2022년 216.4% 대비 급등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검단아파트 관련사고 이후 사고 관련 대규모충당부채 설정과 국내외 주택사업 관련 운전자금 소요 및 대여금 지출, GS이니마 등 신사업 종속회사들의 차입 증가 자이씨앤에이 인수 등으로 재무부담이 가중된 것에 기인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차입금 증가에 따라 회사의 이자보상배율 역시 2021년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의 경우 영업손실발생에 따라 -1.27, 2024년 1분기의 경우 0.88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총차입금 중 2024년 1분기 기준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 차입금의 규모는 2조 4,101억원으로, 전체 총 차입금 규모의 약 40.1%를 차지하고 있으나 회사의 유동비율이 108.5%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말 회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규모가 2조 3,248억원이며 단기금융자산의 규모가 5,875억원인 점, 2024년 1분기 기준 회사의 담보미제공 유형자산이 약 1조 3,670억원이며 미사용 여신한도액이 8,261억원 인 점을 고려 시 단기간에 당사의 재무유동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부동산 경기 침체, 매출채권 회수의 지연 등 영업환경의 변화로 현금흐름이 경색되는 경우, 회사의 유동성 공급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영업환경 전반을 점검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회사의 총차입금 중 2024년 1분기 기준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 차입금의(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부채) 규모는 2조 4,101억원으로 전체 총차입금 규모의 약 40.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는 2023년 유동성 차입금 비중 41.0%보다 0.9%p 감소한 수치로, 현재 회사의 유동비율이 108.5%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말 회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규모가 2조 3,248억원이며 단기금융자산의 규모가 5,875억원인 점, 2024년 1분기 기준 회사의 담보미제공 유형자산이 약 1조 3,670억원이며 미사용 여신한도액이 8,261억원 인 점을 고려 시, 단기간에 당사의 재무유동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부동산 경기 침체, 매출채권 회수의 지연 등 영업환경의 변화로 현금흐름이 경색되는 경우, 유동성 공급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영업환경 전반을 점검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중략)
(주8) 정정 전
바. 매출채권 관련 사항 당사의 2024년 1분기말 기준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총계는 약 4조 7,165억원이며, 회사의 매출채권회전율은 2022년 2.87, 2023년 2.66, 2024년 1분기 2.57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2년 연결실체에 포함된 자이씨앤에이의 편입에 따른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급증에 따른것입니다. 한편 2024년 1분기 기준 연결실체의 매출채권 잔액은 약 2조 7,474억원, 이 중 1년 초과된 장기수취채권 잔액은 8,536억원으로 총 매출채권잔액의 약 31.1%의 수준입니다. 이는 프로젝트 계약조건 상 공사 종료시 회수가 가능한 매출채권이 상당수준 존재함에 따른 것으로 회사는 각 프로젝트의 종료 시점에 안정적 수금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법정관리, 소송, 자본잠식 등 손상징후가 발생하여, 회수가 불투명한 채권에 대해서는 개별 채권별로, 합리적으로 추정한 회수가능액의 현재가치와 장부가액의 차액을 대손상각비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손상징후가 발생하지 않은 채권에 대해서는, 해당 채권가액에 기대신용손실률을 반영하여 이를 대손상각비로 처리하였습니다. 기대신용손실률은 채권의 존속기간에 따라 산출된 대손충당률과 채권 유형별 경험적 회수율을 반영하여 산출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매출채권잔액에 대해 약 8.1%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에 따라 채권액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 설정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향후 국내 주택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이에 따라 공사대금 등 회수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추가적인 대손상각비 인식에 따라 당사 수익성 및 재무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2024년 1분기 연결실체의 매출채권 잔액은 약 2조 7,474억원이며 이 중 1년 초과된 장기수취채권 잔액은 8,536억원으로 총 매출채권잔액의 약 31.1% 수준입니다. 이는 프로젝트 계약조건 상 공사 종료시 회수가 가능한 매출채권이 상당수준 존재함에 따른 것으로 회사는 각 프로젝트 종료 시점에 안정적 수금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법정관리, 소송, 자본잠식 등 손상징후가 발생하여, 회수가 불투명한 채권에 대해서는 개별 채권별로, 합리적으로 추정한 회수가능액의 현재가치와 장부가액의 차액을 대손상각비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손상징후가 발생하지 않은 채권에 대해서는, 해당 채권가액에 기대신용손실률을 반영하여 이를 대손상각비로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기대신용손실률은 채권의 존속기간에 따라 산출된 대손충당률과 채권 유형별 경험적 회수율을 반영하여 산출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매출채권잔액에 대하여 약 8.1%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에 따라 채권액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 설정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 |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 (단위: 백만원,%) |
구분 | 관계 | 6월 이하 | 6월 초과 1년 이하 | 1년 초과 3년 이하 | 3년 초과 | 소계 | 대손충당금 등(*) | 총합계 |
금액 | 일반 | 1,042,478 | 547,074 | 172,991 | 514,872 | 2,277,415 | -192,234 | 2,085,181 |
특수관계자 | 47,553 | 256,759 | 164,620 | 1,069 | 470,001 | -29,747 | 440,254 | |
계 | 1,090,031 | 803,833 | 337,611 | 515,941 | 2,747,416 | -221,981 | 2,525,435 | |
구성비율 | 39.6 | 29.3 | 12.3 | 18.8 | 100.0 | - | - |
출처 : 당사 2024년 1분기보고서 주) 공동기업 및 기타 특수관계자에 대한 집합평가 대손충당금 설정금액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국내 주택경기 침체로 인한 미분양주택은 매출채권의 증가 및 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공사대금 미수금의 회수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일부 대손충당금을 계상할 수 있으며, 이는 수익성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공사대금 회수가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당사는 매출채권, 미수금, 대여금 등의 금융자산에 대하여 대손충당금을 계상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손상각비가 인식됩니다. 향후 주택부문 내 예정사업의 사업수지 저하 등으로 인해 장기 미회수채권의 추가적 대손상각 발생 시 동사의 수익성 제약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주8) 정정 후
바. 매출채권 관련 사항 당사의 2024년 1분기말 기준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총계는 약 4조 7,165억원이며, 회사의 매출채권회전율은 2022년 2.87, 2023년 2.66, 2024년 1분기 2.57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2년 연결실체에 포함된 자이씨앤에이의 편입에 따른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급증에 따른것입니다. 한편 2024년 1분기 기준 연결실체의 매출채권 잔액은 약 2조 7,474억원, 이 중 1년 초과된 장기수취채권 잔액은 8,536억원으로 총 매출채권잔액의 약 31.1%의 수준입니다. 이는 프로젝트 계약조건 상 공사 종료시 회수가 가능한 매출채권이 상당수준 존재함에 따른 것으로 회사는 각 프로젝트의 종료 시점에 안정적 수금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법정관리, 소송, 자본잠식 등 손상징후가 발생하여, 회수가 불투명한 채권에 대해서는 개별 채권별로, 합리적으로 추정한 회수가능액의 현재가치와 장부가액의 차액을 대손상각비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손상징후가 발생하지 않은 채권에 대해서는, 해당 채권가액에 기대신용손실률을 반영하여 이를 대손상각비로 처리하였습니다. 기대신용손실률은 채권의 존속기간에 따라 산출된 대손충당률과 채권 유형별 경험적 회수율을 반영하여 산출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매출채권잔액에 대해 약 8.1%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에 따라 채권액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 설정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향후 국내 주택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이에 따라 공사대금 등 회수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추가적인 대손상각비 인식에 따라 당사 수익성 및 재무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2024년 1분기 연결실체의 매출채권 잔액은 약 2조 7,474억원이며 이 중 1년 초과된 장기수취채권 잔액은 8,536억원으로 총 매출채권잔액의 약 31.1% 수준입니다. 이는 프로젝트 계약조건 상 공사 종료시 회수가 가능한 매출채권이 상당수준 존재함에 따른 것으로 회사는 각 프로젝트 종료 시점에 안정적 수금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법정관리, 소송, 자본잠식 등 손상징후가 발생하여, 회수가 불투명한 채권에 대해서는 개별 채권별로, 합리적으로 추정한 회수가능액의 현재가치와 장부가액의 차액을 대손상각비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손상징후가 발생하지 않은 채권에 대해서는, 해당 채권가액에 기대신용손실률을 반영하여 이를 대손상각비로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기대신용손실률은 채권의 존속기간에 따라 산출된 대손충당률과 채권 유형별 경험적 회수율을 반영하여 산출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매출채권잔액에 대하여 약 8.1%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에 따라 채권액에 대한 대손충당금 추가 설정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 |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 (단위: 백만원,%) |
구분 | 관계 | 6월 이하 | 6월 초과 1년 이하 | 1년 초과 3년 이하 | 3년 초과 | 소계 | 대손충당금 등(*) | 총합계 |
금액 | 일반 | 1,042,478 | 547,074 | 172,991 | 514,872 | 2,277,415 | -192,234 | 2,085,181 |
특수관계자 | 47,553 | 256,759 | 164,620 | 1,069 | 470,001 | -29,747 | 440,254 | |
계 | 1,090,031 | 803,833 | 337,611 | 515,941 | 2,747,416 | -221,981 | 2,525,435 | |
구성비율 | 39.6 | 29.3 | 12.3 | 18.8 | 100.0 | - | - |
출처 : 당사 2024년 1분기보고서 주) 공동기업 및 기타 특수관계자에 대한 집합평가 대손충당금 설정금액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참고로 회사의 최근 3개년간 매출채권잔액 및 대손충당금 설정내역은 아래와 같으며, 2022년 이래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는 개별 사업장별 이슈에 따른 매출채권 대손인식 증가 및 해외 기대손설정 채권에 대한 환율효과 등에 기인한 것입니다. 건설사별/연도별 차이가 있으나, 회사는 현 대손충당금 설정률이 타 건설사와 유사하거나 양호한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 회사 매출채권 잔액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4년 1분기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매출채권 잔액 | 2,747,416 | 3,005,696 | 2,685,657 | 2,189,270 |
대손충당금 등 | 21,981 | 189,342 | 119,363 | 156,834 |
충당금 설정률 | 8.1% | 6.3% | 4.4% | 7.2% |
국내 주택경기 침체로 인한 미분양주택은 매출채권의 증가 및 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공사대금 미수금의 회수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일부 대손충당금을 계상할 수 있으며, 이는 수익성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공사대금 회수가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당사는 매출채권, 미수금, 대여금 등의 금융자산에 대하여 대손충당금을 계상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손상각비가 인식됩니다. 향후 주택부문 내 예정사업의 사업수지 저하 등으로 인해 장기 미회수채권의 추가적 대손상각 발생 시 동사의 수익성 제약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전
사. 미청구공사(계약자산) 관련 사항 2024년 1분기말 연결기준 당사의 미청구공사(계약자산)는 1조 2,025억원으로, 2023년말 대비 약 3,365억원 증가하였습니다. 건설업의 특성상 사업주의 기성인식과 수주업체의 진행기준 인식의 차이로 인하여, 미청구공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미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총 예정원가가 상승할 경우 기존 미청구공사에 대하여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및 현금유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연결실체의 미청구공사내역에 대하여 검토하시어, 향후 미래불확실성이 매출채권 및 미청구공사의 부실위험으로 전이될 가능성에 대하여 고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략)
2024년 1분기말 기준 당사는 미청구공사(계약자산)에 대한 2,115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으며, 대손충당금 비율은 17.6% 수준입니다. 이는 전년말 기준, 대손충당금 설정율인 17.2%와 유사한 수치이나, 향후 국내외 부동산 경기의 악화 및 공기 지연, 현장의 투입물량 증가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 당사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에 대한 회수가 지연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기에, 추가적인 대손충당금 설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략)
2024년 1분기말 기준 당사는 미청구공사(계약자산)에 대한 2,115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으며, 대손충당금 비율은 17.6% 수준입니다. 이는 전년말 기준, 대손충당금 설정율인 17.2%와 유사한 수치이나, 향후 국내외 부동산 경기의 악화 및 공기 지연, 현장의 투입물량 증가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 당사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에 대한 회수가 지연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기에, 추가적인 대손충당금 설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후
사. 미청구공사(계약자산) 관련 사항 2024년 1분기말 연결기준 당사의 미청구공사(계약자산)는 1조 2,025억원으로, 2023년말 대비 약 3,365억원 증가하였습니다. 건설업의 특성상 사업주의 기성인식과 수주업체의 진행기준 인식의 차이로 인하여, 미청구공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미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총 예정원가가 상승할 경우 기존 미청구공사에 대하여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및 현금유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연결실체의 미청구공사내역에 대하여 검토하시어, 향후 미래불확실성이 매출채권 및 미청구공사의 부실위험으로 전이될 가능성에 대하여 고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략)
2024년 1분기말 기준 당사는 미청구공사(계약자산)에 대한 2,115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으며, 대손충당금 비율은 17.6% 수준입니다. 이는 전년말 기준, 대손충당금 설정율인 17.2%와 유사한 수치이나, 향후 국내외 부동산 경기의 악화 및 공기 지연, 현장의 투입물량 증가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 당사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에 대한 회수가 지연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기에, 추가적인 대손충당금 설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중략)
[최근 3개년 미청구공사 충당금설정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4년 1분기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계약자산 | 1,202,470 | 1,199,105 | 1,521,264 | 948,860 |
손실충당금 | 211,465 | 206,549 | 273,736 | 269,860 |
충당금 설정률 | 17.6% | 17.2% | 18.0% | 28.4% |
2024년 1분기말 기준 당사는 미청구공사(계약자산)에 대한 2,115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으며, 대손충당금 비율은 17.6% 수준입니다. 이는 전년말 기준 대손충당금 설정율인 17.2%와 유사한 수치이며, 해외 프로젝트 관련 충당금 설정이 높았던 2021년을 제외, 2022년 이래 회사의 충당금 설정률은 변동폭은 1% 내외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개별 건설사별/연도별 차이가 있으나, 회사는 충당금 설정을 다소 보수적으로 반영중이며 정기적으로 재검토 중에 있습니다. 다만, 향후 국내외 부동산 경기의 악화 및 공기 지연, 현장의 투입물량 증가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 당사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에 대한 회수가 지연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기에, 추가적인 대손충당금 설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10) 정정 전
차. 소송 및 제재에 관한 사항 2024년 1분기말 현재 계류중인 소송은 연결기업이 제소한 82건(연결기업 지분 고려시: 1,119,819백만원, 전체 소송가액: 2,484,115백만원)과 연결기업이 피소된 217건(연결기업 지분 고려시: 1,618,217백만원, 전체 소송가액: 3,141,818백만원)이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소송의 승패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회사는 자원의 유출입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사건에 대해서는 우발채무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 외 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하기 불가능한 계류 중인 소송 사건 및 중재사건은 결과에 따라 최종부담금액 및 시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향후 소송사건의 결과에 따라 당사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의 재무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추가로 회사는 2023년 4월 발생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 현장 붕괴 사고로 인하여 서울시로부터 토목건축공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1개월의 행정처분을 받았으며, 국토교통부로부터는 토목건축공사업, 조경공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8개월,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는 공공기관 입찰참가자격 1년 제한 행정처분을 받았습니다. 회사는 상기 제재에 대하여 행정처분 집행정지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했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체 행정처분에 대한 집행정지신청이 인용된 상태로 관련 처분취소소송의 판결의 결과가 나올 때 까지 동 제재는 집행되지 않을 예정입니다. 현 시점 회사는 상기 소송의 소요기간 및 승패에 대하여는 예측할 수 없으며 상기 소송의 결과에 따라 재무제표 작성 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한 연결기업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구체적인 영향은 예측할 수 없으나, 영업정지 및 입찰참가자격제한이 현실화 될 경우 이는 회사의 사업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품질 관련 이슈 및 각종 제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품질 및 안전관리 강화, 사후 서비스 강화를 위하여 품질조직 개편브랜드 마케팅팀을 신설하였으며 현장민원 및 하자보수 관리체계를 재정립하였습니다. 또한, 관련 전담인원 배치 및 조직 강화를 통하여 원천적으로 대응 예정이며, 공사단계에서 품질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선안 등 대응방안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검단사고 이후 콘크리트 강도 상향, 고유동화제 사용 및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아파트 품질관리 개선방안에 대해 종합적으로 원인을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방안을 강구중이며 특히 구조설계의 조직을 강화하여 안전품질에 대해 최우선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회사에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관기관의 결정에 따라 행정처분 등의 추가적인 제재조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회사가 예상하지 못하는 이슈의 발생으로 인해 당사가 직접적인 배상 또는 제재의 대상이 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확정된 바는 없으나, 이러한 제재조치는 당사의 수익성과 재무상태, 회사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각별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024년 1분기말 현재 계류중인 소송은 연결기업이 제소한 82건(연결기업 지분 고려시: 1,119,819백만원, 전체 소송가액: 2,484,115백만원)과 연결기업이 피소된 217건(연결기업 지분 고려시: 1,618,217백만원, 전체 소송가액: 3,141,818백만원)이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소송의 승패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중략)
실제 당사는 2023년 4월 29일 발생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 현장 붕괴 사고에 따라 2024년 1월 31일 서울시로부터 건설산업기본법 및 건설기술진흥법 위반을 사유로 토목건축공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1개월의 행정처분을 받았으며, 2024년 2월 1일 국토교통부로부터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을 사유로 토목건축공사업, 조경공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8개월의 행정처분을 받았습니다. 또한, 2024년 5월 3일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 1년 제한처분을 받았습니다. 회사는 상기 제재에 대하여 행정처분 집행정지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했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체 행정처분에 대한 집행정지신청이 인용된 상태로 관련 처분취소소송의 판결의 결과가 나올 때 까지 동 제재는 집행되지 않을 예정입니다. 현 시점 회사는 상기 소송의 소요기간 및 승패에 대하여는 예측할 수 없으며 상기 소송의 결과에 따라 재무제표 작성 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한 연결기업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구체적인 영향은 예측할 수 없으나, 영업정지 및 입찰참가자격제한이 현실화 될 경우 이는 회사의 사업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상기 이슈와 유사한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행중인 사업장의 면밀 점검을 진행, 국토교통부로부터 안전점검상 특이사항이 없음을 확인받았습니다.
(중략)
(주10) 정정 후
차. 소송 및 제재에 관한 사항 2024년 1분기말 현재 계류중인 소송은 연결기업이 제소한 82건(연결기업 지분 고려시: 1,119,819백만원, 전체 소송가액: 2,484,115백만원)과 연결기업이 피소된 217건(연결기업 지분 고려시: 1,618,217백만원, 전체 소송가액: 3,141,818백만원)이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소송의 승패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회사는 자원의 유출입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사건에 대해서는 우발채무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 외 결과를 합리적으로 예측하기 불가능한 계류 중인 소송 사건 및 중재사건은 결과에 따라 최종부담금액 및 시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향후 소송사건의 결과에 따라 당사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의 재무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추가로 회사는 2023년 4월 발생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 현장 붕괴 사고로 인하여 서울시로부터 토목건축공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1개월의 행정처분을 받았으며, 국토교통부로부터는 토목건축공사업, 조경공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8개월,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는 공공기관 입찰참가자격 1년 제한 행정처분을 받았습니다. 회사는 상기 제재에 대하여 행정처분 집행정지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했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체 행정처분에 대한 집행정지신청이 인용된 상태로 관련 처분취소소송의 판결의 결과가 나올 때 까지 동 제재는 집행되지 않을 예정입니다. 현 시점 회사는 상기 소송의 소요기간 및 승패에 대하여는 예측할 수 없으며 상기 소송의 결과에 따라 재무제표 작성 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한 연결기업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구체적인 영향은 예측할 수 없으나, 영업정지 및 입찰참가자격제한이 현실화 될 경우 이는 회사의 사업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품질 관련 이슈 및 각종 제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품질 및 안전관리 강화, 사후 서비스 강화를 위하여 품질조직 개편브랜드 마케팅팀을 신설하였으며 현장민원 및 하자보수 관리체계를 재정립하였습니다. 또한, 관련 전담인원 배치 및 조직 강화를 통하여 원천적으로 대응 예정이며, 공사단계에서 품질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선안 등 대응방안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검단사고 이후 콘크리트 강도 상향, 고유동화제 사용 및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아파트 품질관리 개선방안에 대해 종합적으로 원인을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방안을 강구중이며 특히 구조설계의 조직을 강화하여 안전품질에 대해 최우선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회사에 노력에도 불구하고, 유관기관의 결정에 따라 행정처분 등의 추가적인 제재조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회사가 예상하지 못하는 이슈의 발생으로 인해 당사가 직접적인 배상 또는 제재의 대상이 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확정된 바는 없으나, 이러한 제재조치는 당사의 수익성과 재무상태, 회사의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각별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024년 1분기말 현재 계류중인 소송은 연결기업이 제소한 82건(연결기업 지분 고려시: 1,119,819백만원, 전체 소송가액: 2,484,115백만원)과 연결기업이 피소된 217건(연결기업 지분 고려시: 1,618,217백만원, 전체 소송가액: 3,141,818백만원)이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소송의 승패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중략)
실제 당사는 2023년 4월 29일 발생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 현장 붕괴 사고에 따라 2024년 1월 31일 서울시로부터 건설산업기본법 및 건설기술진흥법 위반을 사유로 토목건축공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1개월의 행정처분을 받았으며, 2024년 2월 1일 국토교통부로부터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을 사유로 토목건축공사업, 조경공사업에 대한 영업정지 8개월의 행정처분을 받았습니다. 또한, 2024년 5월 3일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부정당업자 입찰참가자격 1년 제한처분을 받았습니다. 회사는 상기 제재에 대하여 행정처분 집행정지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했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체 행정처분에 대한 집행정지신청이 인용된 상태로 관련 처분취소소송의 판결의 결과가 나올 때 까지 동 제재는 집행되지 않을 예정입니다. 현 시점 회사는 상기 소송의 소요기간 및 승패에 대하여는 예측할 수 없으며 상기 소송의 결과에 따라 재무제표 작성 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한 연결기업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구체적인 영향은 예측할 수 없으나, 영업정지 및 입찰참가자격제한이 현실화 될 경우 이는 회사의 사업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로 당사가 공시한 내역에 따르면, 서울시가 당사에 처분한 토목건축공사업 영업정지건의 경우 영업정지금액이 2022년 기준 당사 매출총액의 76.2% 수준이며, 국토교통부가 당사에 처분한 토목건축공사업 및 조경공사업의 역시 영업정지금액이 2022년 기준 당사 매출총액의 76.2% 수준입니다. 추가로 당사가 입찰참가자격제한처분을 받은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23년 당사 매출액의 4.35%가 발생되는 거래처입니다. 상기 제재사항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당사가 2024년 2월 1일 공시한 주요사항보고서(영업정지) 및 2024년 5월 3일 공시한 거래처와의거래중단 공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상기 이슈와 유사한 사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행중인 사업장의 면밀 점검을 진행, 국토교통부로부터 안전점검상 특이사항이 없음을 확인받았습니다.
(중략)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4년 05월 22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28000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