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03542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2-21 17:2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221002420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2월     21일


회   사   명 : 네이버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최 수 연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95 1784

(전   화) 1588-3830

(홈페이지)http://www.navercorp.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CFO (성  명) 김 남 선

(전  화) 1588-383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4기 정기)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5조 제2항에 따라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분들에 대해서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주주총회 관련문의: 1588-3830)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3조와 당사 정관 제25조에 따라 제2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2023년 3월 22일 (수) 오전 10시

2. 장 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6 네이버 그린팩토리 2 층 커넥트 홀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감사보고, 영업보고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제24기(2022년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기타비상무 이사 변대규 선임의 건
● 제3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의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경영 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사,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 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해당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로 의결권을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 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PC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3월 12일 9시 2023년 3월 21일 17시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K VOTE 에서 사용 가능한 민간인증서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의결권 대리행사에 관한 사항
의결권 대리행사를 원하시는 경우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내 소집공고 또는 당사의 의결권대리행사 권유 공시에 게시된 위임장을 작성하신 후 회사로 우편 송부하여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위임장 보내실 곳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95 정자동 1784 자본시장실
(우편번호 13561)


※ 금번 제24기 정기주주총회에서는 별도의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으며,
   정기주주총회 관련 문의사항은 1588-3830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2월
네이버주식회사

대표이사 최 수 연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사외이사 등의 성명
변대규
(출석률:
100%)
정의종
(출석률:
100%)
이인무
(출석률:
100%)
정도진
(출석률:
100%)
이건혁
(출석률:
86%)
노혁준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1-03 제1호 의안 : Stock Grant 지급을 위한 자사주 처분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선임 전
3 2022-01-26 제1호 의안 : 2021년 4분기 실적보고 및 연간 재무제표 승인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2호 의안 : 2021년 주주환원정책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3호 의안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전자투표제 도입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4호 의안 : 웹툰 유상증자 참여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2022-02-11 제1호 의안 : 스노우 유상증자 참여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2호 의안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6 2022-03-14 제1호 의안 : 대표이사 선임 가결 찬성 퇴임 후 찬성 찬성 불참 찬성
제2호 의안 : 이사회 산하 위원회 구성 변경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불참 찬성
제3호 의안 : 네이버커넥트 재단 기부금 출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불참 찬성
7 2022-04-20 제1호 의안 : 본점 이전 및 지점 등록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불참 찬성
제2호 의안 : 계열회사와의 거래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불참 찬성
제3호 의안 : 회사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불참 찬성
8 2022-05-18 제1호 의안 : 해피빈재단 기부금 출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9 2022-07-01 제1호 의안 : Stock Grant 지급을 위한 자사주 처분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10 2022-08-03 제1호 의안 : 주주환원정책 변경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12 2022-10-03 제1호 의안 : 네이버 글로벌 커머스 성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제1호 의안 : Umbrella Facility 구축에 따른 해외계열회사 지급보증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13 2022-11-02 제1호 의안 : KREAM 유상증자 참여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제2호 의안 : 주주환원정책에 따른 분기 배당 승인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제3호 의안 : 배송서비스 방향성 및 관련 라이선스 취득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14 2022-12-19 제1호 의안 : 네이버랩스 유상증자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제2호 의안 : Poshmark 인수경과 및 자금조달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제3호 의안 : 2022년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참석 찬성
제4호 의안 : 이사회 및 위원회 운영규정 개정 주1) 보완 보완 보완 보완 보완 보완
※ 당사의 이사회는 공시대상기간 중 총 14회 개최되었으며, 47개 안건에 대해 결의 및 보고를 진행하였습니다.(결의 25건, 보고 22건)
    각 이사별 출석률은 보고안건까지 포함한 총 개최건수 대비 출석률 입니다.
※ 상기 중요 의결사항은 보고 안건을 제외한 기준이며, 2회차 4건, 3회차 2건, 4회차 3건, 5회차 1건, 6회차 1건, 7회자 2건, 10회차 1건, 11회차 1건, 13회차 1건,
   14회차 6건의 보고사항이 있었습니다. 또한 각 이사별  출석률은 보고안건까지 포함한 총 개최건수 대비 출석률입니다.
※ 주1) : 이사 전원의 동의로 일부 조건 재검토 후 재상정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정도진(위원장), 정의종, 이인무, 이건혁 2022-02-11 제1호 의안: 2021년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서 가결
제2호 의안: 2021년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가결
제3호 의안: 2021년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평가의견서 가결
제4호 의안: 연간 내부감사계획 승인 가결
정도진(위원장), 이인무, 이건혁, 노혁준 2022-03-14 제1호 의안: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 가결
리더십&보상위원회 변대규(위원장), 정의종, 이인무 2022-01-13 제1호 의안 : 2021년 최고경영진 성과리뷰 및 인센티브 결정  가결
변대규(위원장), 이인무, 정도진 2022-05-02 제1호 의안 : 최고경영진 2022년 총보상 결정 보완 주1)
2022-06-15 제1호 의안 : 최고경영진 2022년 총보상 결정 가결
리스크관리위원회 이인무(위원장), 정도진, 노혁준 2022-04-20 제1호 의안 : 네이버클라우드와의 전대차 계약 가결
제2호 의안 : 네이버웹툰과의 전대차 계약 가결
제3호 의안 : 공정거래 CP 규정 신설 가결
2022-10-11 제1호 의안 : 계열회사와의 브랜드 사용 계약 변경  보완 주1)
제2호 의안 : 네이버 증권, 부동산, 가계부 사업 양수도  보완 주1)
2022-10-20 제1호 의안 : 네이버 증권, 부동산, 가계부 사업 양수도 후속보고 보완 주1)
2022-10-24 제1호 의안 : 네이버 증권, 부동산, 가계부 사업 양수도 후속보고 가결
2022-11-21 제1호 의안 : 모빌리티 관련 펀드 투자의 건 가결
2022-11-24 제1호 의안 : 계열회사와 브랜드 사용 계약 변경 후속 보고 가결
ESG 위원회 이인무(위원장), 변대규, 노혁준, 채선주 2022-08-16 제1호 의안 : 글로벌 환경 이니셔티브 가입 및 공개 가결
2022-10-06 제1호 의안 : 1784 재생에너지 도입 계약 가결
제2호 의안 : EV100 환경 이니셔티브 가입 가결
제3호 의안 : 재생플라스틱 생태계 구축 MOU 가결
2022-12-13 제1호 의안 : RE100 이행과 ESG 가치확산을 위한 MOU 체결 가결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이건혁(위원장), 변대규, 정의종, 이인무, 정도진 2022-01-13 2022년 신임 사외이사 후보 제안 보완 주1)
2022-01-26 2022년 신임 사외이사 후보 제안 가결
※ 주1) : 이사 전원의 동의로 일부 조건 재검토 후 재상정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4 15,000 445 111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등기이사 전원인 총 7인에 대한 주주총회 승인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유상증자 참여 스노우(특수관계인) 2022.02 1,500 2.99
유상증자 참여 NAVER J.Hub(특수관계인) 2022.09 1,647 3.28
유상증자 참여 Webtoon Entertainment(특수관계인) 2022.02 643 1.28
유상증자 참여 Webtoon Entertainment(특수관계인) 2022.04 3,307 6.59
※ 상기 비율은 2021년 별도 기준 매출액 대비 거래금액의 비율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네이버클라우드(특수관계인) 매출입 등 2022.01~2022.12 6,751 13.45
Webtoon Entertainment(특수관계인) 유상증자 참여 2022.02~2022.04 4,025 8.02
※ 상기 비율은 2021년 별도 기준 매출액 대비 거래금액의 비율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네이버 및 종속회사의 서비스는 서치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서비스 별 업계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치플랫폼]

1) 산업의 개요

가) 산업의 특성

온라인 광고는 PC와 모바일 웹/앱 등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디지털 마케팅 상품을 총칭합니다. 인터넷 산업 초기, PC 포털 서비스의 성장과 함께 검색결과에 대응하는 연관 광고를 노출시키는 검색광고와, 서비스 내의 주요 지면을 할애하여 배너/동영상 등의 형태로 노출하는 디스플레이 광고를 주축으로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이후 모바일 웹/앱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변화된 사용자 이용 행태와 기기 특성에 알맞게 광고 상품이 다변화되고 있으며, 플랫폼의 발달로 효과적인 예산 배분, 성과 측정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생활 전반에 온라인 환경이 자연스럽게 자리잡으면서, 인터넷 이용 인구수 증가와 더불어 체류 시간의 증대와 활용 영역의 확대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 순방문자수가 4천만명(모바일, PC 합산)에 이르고, 방문자의 인터넷 사용 경로에 따라 다수의 웹/앱 페이지를 접하게 되는 매체 특성 상, 온라인 광고는 1) 최대 다수의 사람에게 광고를 노출하고 주목도를 가져갈 수 있는 대형 광고 수단이면서 2) 방문자 이용 경로에 따른 소규모 맞춤형 광고 역시 가능하여, 다양한 규모와 목적의 광고주들에게 효과적인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크리에이티브를 제공함으로서 광고주가 비즈니스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광고를 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머신러닝 기반으로 플랫폼이 고도화되면서 잠재고객을 타겟팅 하는 등 광고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외부활동이 제한되면서 온라인으로의 전환이 더욱 가속화되고, 온라인광고 산업의 성장 역시 견조하게 이어져왔으나, 2022년 하반기부터는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 등으로 완만한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온라인 광고는 전통적인 매체 대비 높은 광고 효율을 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온라인 영역이 지속 확대됨에 따라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마케터 보고서에 따르면, 그동안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왔고, 특히2021년은 20.5% 고성장하면서 56 억달러를 넘어섰고, 온라인광고시장 비중 역시 50%를 돌파했습니다. 2022년 온라인 광고비는 약 62조원 및 9.4% 수준의 성장률 예상되었으나, 하반기 국내외 경기침체로 광고주 예산 축소가 본격화되면서 예상에는 다소 못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온라인 광고시장 규모 및 성장률 2017 ~ 2022> 

 (단위 : 십억원,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E)

전체 광고시장

8.56

(3.5%)

8.98

(4.9%)

9.44

(5.9%)

9.39

(-0.5%)

10.71

(14.1%)

11.43

(6.7%)

 온라인광고시장

3.34

(10.0%)

3.70

(11.0%)

4.11

(11.1%)

4.69

(14.0%)

5.65

(20.5%)

6.18

(9.4%)

   - 온라인 비중

38.9%

41.3%

43.6%

49.9%

52.7%

54.1%

※ 출처 : eMarketer (2022년 10월)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광고는 경기와 움직임을 함께 하는 산업으로, 경기가 침체되면 광고주들이 마케팅비용을 축소하거나 집행을 이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반대로 호황기에는 적극적인 광고 집행을 통해 매출 확대를 모색하는 등 경기 변동에 따른 광고주들의 행태에 따라 실적 변동이 있습니다. 다만, 온라인 광고의 경우, 전통적인 미디어 광고 대비 다양한 상품 및 광고주 구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상보적으로 작용하면서 계절/연휴 등 시즌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효과가 있어, 상대적으로는 변동 민감도가 덜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온라인광고 내에서 비교해보면, 검색광고는 대기업/중소기업/자영업자 등 광고주 구성이 다양하고 연중 상시 운영에 선호되는 광고상품들이 다수 포진해 있어 시즌 변동성이 낮은 편입니다. 디스플레이광고의 경우에는 대기업이 주요 광고주로서, 전통적으로 1/3분기는 예산 제약/여름휴가 등으로 비수기, 연말 이벤트 및 광고 예산 소진 집중 소진 등이 발생하는 4분기는 전통적으로 성수기로 판단되고 있으나, 매년 대형 브랜드 광고 집행 시점 차이에 따라 시즌 변동이 발생하고, 최근에는 광고 상품이 다양화 및 고도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광고에서도 중소형 광고주들이 증가하고 있어, 온라인 광고의 계절성은 계속해서 조금씩 변화하고 있습니다.

 

2) 경쟁환경

 

가) 국내외 시장여건 

글로벌 온라인 광고시장을 살펴보면, 2019년에 전체 광고시장 비중 50%를 돌파하였고, 2022년에는 약 65%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2020년부터 계속된 코로나 영향으로 두 자릿수 성장세 이어가며, 특히 2021년에는 약 5천 2백억 달러, 전년대비 29.5%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2022년은 연간 5천7백억 달러의 시장규모 예상되나, 4분기부터 글로벌 경기침체와 금리인상 기조가 광고주 예산 축소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국내와 마찬가지로 성장세는 다소 둔화되고, 당초 기준의 매출규모는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온라인 광고시장 규모 및 성장률 2017 ~ 2022 > 

(단위: 십억달러,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E)

온라인광고시장

236.76

290.56

348.57

403.42

522.50

567.49

성장률(%)

22.7

22.7

20.0

15.7

29.5

8.6

전체 광고시장 비중(%)

41.2

46.3

51.2

59.2

63.1

65.2

※ 출처 : eMarketer (2022년 10월)

 

나) 경쟁상황

온라인 광고 산업은 플랫폼 서비스 기반의 산업으로 신규 사업자의 시장 진입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플랫폼 사용자들간의 상호작용 및 네트워크 효과가 서비스 성장의 핵심이 되는 만큼,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많은 이용자 수를 확보하고 있는 기존 플랫폼이 경쟁에 있어 유리하게 작용하는 점이 있어, 실질적인 진입장벽은 높다고 해석될 여지도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시장도 인터넷 산업 초기에는 사업자간 경쟁이 치열하였으나, 현재는 당사를 비롯한 몇몇 상위 플랫폼 사업자를 중심으로 시장이 점유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과 정보가 모이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광고 산업은 다수에게 쉽고 빠르게 홍보효과를 이룰 수 있는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잡았으며, 최근에는 상품 개선, 광고 플랫폼 고도화 등을 통해 광고주들은 캠페인 목표, 예산, 기간에 따라 최적화된 광고를 집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온라인 광고는 전통매체 대비 높은 성과를 이룰 수 있어 앞으로도 상위 광고 플랫폼에 대한 광고주 선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커머스]

1) 산업의 개요


가) 산업의 특성

이커머스(전자상거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인터넷 웹사이트에 구축된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제품과 서비스의 거래행위를 총칭합니다. 과거 오프라인에서 주로 소비되던 식품, 생필품부터 프리미엄 브랜드 제품에 이르기까지 이커머스의 대상 품목은 점차 다양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의 경쟁전략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충성 고객 확보를 위한 소비자 경험 증진, 상품을 적시 배송하는 물류, 새로운 소비 방식을 만드는 인공지능/라이브커머스 등의 기술 혁신이 이커머스 사업을 위한 중요한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이커머스 산업은 빠른 상거래 시장의 변화와 다각화된 이용자의 상거래 니즈에 대응하면서, 매해 혁신과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따른 모바일 쇼핑 증가와 오픈마켓(판매자와 구매자가 상품을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장터), 소셜커머스(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이커머스 방식)의 등장이 지금까지의 성장을 견인하였다면, 현재는 신선식품 장보기, e-쿠폰 선물하기, 여행 서비스 등 다양한 재화 및 서비스를 취급하고, C2C 중고, 렌탈 등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또 다른 성장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커머스 사업자들은 상품 카테고리의 확대, 결제서비스 연동, 신속한 배송 시스템 구축 등의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새로운 환경에서 승기를 잡기 위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힘입어 이커머스 침투율이 낮았던 품목의 온라인 소비 수요가 증가하며, 소매시장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은 2020년 33.1%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에는 37.4%에 이르렀습니다.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
(경상금액, 억원,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p)

소매판매액(A)

4,752,279

5,185,340

5,519,901

온라인쇼핑 거래액(B)

1,573,197

1,870,784

2,064,916


ㄴ온라인쇼핑 상품 거래액(C)*

1,252,035

1,427,863

1,507,972

비중(B/A)

33.1%

36.1%

37.4%

※ 온라인쇼핑 상품 거래액(B)은 여행 및 교통서비스, 문화 및 레저서비스, e쿠폰서비스, 음식서비스, 기타서비스 거래액 제외 (데이터 출처: 통계청)


<이커머스 시장규모 추이>
(단위: 조원, %)

구 분

2020년

2021년

2022년(p)

시장 규모

157.3

187.1

206.5

증가율

15.2%

18.9%

10.4%

※ 데이터 출처: 통계청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이커머스는 경기변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다양한 유형의 시장 거래를 총괄하므로 경기변동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기 어려우며, 오프라인 유통 시장에 비해 영향도가 낮은 편입니다.


2) 경쟁환경
이커머스는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 이커머스 전문사업자뿐만 아니라 기존 오프라인 유통업체 등 다양한 사업자가 같은 시장과 수요를 두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시장진출의 장벽이 낮은 편이며 소비자의 전환비용도 낮기 때문에 상위권 사업자의 순위변동이 잦은 편이고 그만큼 치열한 경쟁환경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환경에서 당사는 검색에서 상품구매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흐름을 만드는 것을 주요한 경쟁력이자 차별화 포인트로 삼아, 쇼핑 경험의 시작점을 선점하고 경쟁사 대비 서비스상의 경쟁우위를 가져가고자 하는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핀테크]

1) 산업의 개요 

 

가)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핀테크는 금융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금융 소비자에게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새롭게 등장한 산업 및 서비스 분야를 통칭합니다.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한 새로운 형태의 금융기술을 기반으로 이용자 편의성과 운영 효율성을 향상하여, 금융기관은 신규 수익원을 발굴하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비금융기업은 기존에 제공하기 어려웠던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간편결제, 송금, P2P 금융, 인터넷 전문은행, 로보어드바이저,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등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국내 핀테크 산업은 간편 결제와 송금, 인터넷 전문은행 등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마이데이터 등 규제 환경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진화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을 통한 금융의 편의성 향상이 핵심 성공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ICT 기반의 업체들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결제, 송금, 대출 등 생활 속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금융활동 중심으로 금융 이용자들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나)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소비가 확산되면서, 금융 부분에서도 디지털화가 가속되었고 특히 온라인 간편결제 규모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정책 및 규제의 변화 또한 디지털 금융혁신을 촉진시키고 있는 바, 관련 업체들의 금융업 진출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어 기존 금융사들과의 건강한 경쟁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2) 경쟁환경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간편결제서비스의 일평균 이용 금액은 7,232억원으로 전기대비 10.7% 증가했으며, 간편송금서비스의 일평균 이용 금액은 6,024억원으로 전년대비 14.3%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확장 국면에 있습니다.

현금 사용의 비효율성에서 발생하는 직접적, 사회적 비용 제거를 통해 추가적인 성장이 가능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이 마련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수많은 핀테크 업체들이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네이버파이낸셜은 네이버 ID하나로 간편하게 송금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편의성을 강점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간편결제서비스 일평균 이용 추이>
(만건, 억원)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상)

이용 건수

657.3

1,007.3

1,453.9

1,981.2

2,316.8

이용 금액

2,228.2

3,171.0

4,491.6

6,065.4

7,231.7

※ 출처: 한국은행 보도자료 -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

 

<간편송금서비스 일평균 이용 추이>
(만건, 억원)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상)

이용 건수

140.6

248.5

325.8

433.3

490.7

이용 금액

1,045.5

2,346.2

3,565.9

5,045.1

6,023.5

※ 출처: 한국은행 보도자료 -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


[콘텐츠: 웹툰]

1) 산업의 개요 

 

가) 산업의 특성

웹툰은 PC 및 스마트폰 환경에 최적화되어, 주로 세로 스크롤 방식으로 만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서비스입니다. 콘텐츠가 창작된 이후에도 출판이나 유통 등 작가의 콘텐츠가 독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과정이 복잡하고 책이라는 매체의 물리적인 제약이 컸던 기존 출판 만화와 달리, 웹툰은 웹/앱이라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무제한에 가까운 배포가 가능하며 작가와 독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국내 웹툰 산업은 2000년대 초반 당사를 비롯한 국내 주요 포털의 무료 서비스로서 기틀을 다져온 이래 이용자와 창작자의 폭발적인 호응을 얻어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며 기존 출판만화 시장을 뛰어넘는 새로운 산업으로 발돋움했습니다. 최근에는 폭넓은 독자층 구축을 통한 콘텐츠 유료화, 광고 모델, 영상화 등의 2차 판권 판매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도입되면서 국내 웹툰 산업은 연간 1조원대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한국의 웹툰 업체를 중심으로 해외에서도 점차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웹소설은 PC 및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 상에 업로드된 소설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웹소설은 과거 전통적인 종이책 시장과 달리 디지털 매체를 통해 쉽게 유통이 가능하며 작가와 독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웹소설 플랫폼 등장으로 '창작 → 웹소설 플랫폼 → PC/Mobile → 독자'라는 가치 사슬을 만들어내며 국내 웹소설 산업은 연간 6,000억 규모로 성장하였습니다. 산업 초기 장르소설 및 서브 컬쳐로 인식 받았으나 최근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새로운 출간 형태로 인정받으며, 과거 종이책으로 출간된 기존 작품들도 웹소설로 재연재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최근 웹소설 원작 기반의 웹툰, 드라마, 영화 등이 흥행하면서 원천 IP으로서 웹소설 콘텐츠의 가치가 부상하며 점차 그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국내 웹툰 시장은 작가수가 2010년 443명에서 2020년 11월 8,679명으로 약 20배, 웹툰 누적 작품수가 2010년 667편에서 2020년 11월 11,630편으로 약 17배 증가하는 등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출처: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 또한, 네이버웹툰을 비롯한 국내 주요 웹툰 플랫폼 업체들이 미국, 일본 등 전통적으로 출판만화가 강세를 보이던 시장에서 최근 수년간 유의미한 사업적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어, 이들 플랫폼을 통한 국내 작품의 해외 진출 사례 및 작가/제작사/스튜디오의 수익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내 웹소설 시장은 2013년 약 200억 미만 규모에서 2020년 약 6,000억 수준으로 약 30배 증가하는 등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출처: 2020 한국콘텐츠진흥원). 네이버시리즈를 비롯한 국내 주요 웹소설 플랫폼 업체들이 유의미한 성과를 만들어내며 성장 중입니다. 최근 웹소설 IP를 기반으로 하는 2차 저작물이 흥행하면서 신규 소비자 유입이 더욱 활발해지며 향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울러, 웹툰과 웹소설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화 작업이 꾸준히 이어지는 가운데, 웹툰을 원작으로 하여 제작된 드라마나 영화가 주요 방송국은 물론 글로벌 OTT를 통해 전세계로 유통되며 다양한 국가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흥행성이 검증된 웹툰 IP를 중심으로 하는 웹툰의 2차 판권 유관 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잇따른 웹소설의 웹툰화의 성공 사례들이 산업적인 성공은 물론 글로벌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웹툰화 이후 영상화까지도 가능한 밸류체인이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웹툰 및 웹소설은 회차당 지불 비용이 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비해 소액이며(회차당 100~500원), PC나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이동 시간을 포함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경기변동 및 계절성으로 인한 영향은 미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경쟁환경

 

최근 수 년간 콘텐츠 유료화 및 광고 모델 등이 시장에 안착하며 유의미한 매출을 내는 웹툰 업체들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지 않은 산업적 특성 상 현재 국내에서만 30개 이상의 웹툰 플랫폼이 경쟁을 벌이며 다양한 종류의 웹툰 작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크리에이터 또한 기존 개인 작가 위주에서 전문 제작사/스튜디오 체제로 점차 대형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흥행성이 검증된 웹툰이 드라마나 영화 등 영상 콘텐츠의 원천 IP로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역량 있는 작가/제작사/스튜디오를 확보하기 위한 웹툰 플랫폼, 영상 제작사, OTT 업체간의 경쟁 또한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다수의 국내 혹은 한국계 업체들이 국내에서 흥행이 검증된 작품들을 번역/현지화하여 미국, 일본 등 기존 출판만화 시장의 규모가 큰 국가들 위주로 웹툰 서비스를 전개해나가고 있으며,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한 해당 국가의 웹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업체들간의 경쟁이 해당 국가의 전체 웹툰 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네이버웹툰은 글로벌 웹툰 산업의 개척자로서 이용자 트래픽, 크리에이터 풀, 브랜드이미지, 운영 노하우 등 모든 부문에서 타사 대비 압도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고, 유력한 제작사 및 작가 법인 투자 및 제휴 강화 등을 통하여 IP에 대한 권한을 높여가고 있으며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100여개국의 다운로드 및 수익 랭킹에서 수위권을 유지하는 등(Google Play Store 내 Comics 카테고리 기준) 글로벌 웹툰 산업을 주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콘텐츠: 스노우]

1) 산업의 개요 


가) 산업의 특성

스노우는 '컴퍼니 빌더'로서 2016년부터 20개 이상의 모바일서비스, 콘텐츠, 커머스 사업을 런칭해오고 있으며, 현재 스노우의 주요 사업포트폴리오에는 스노우 (카메라 기반 AR플랫폼), 제페토 (글로벌 메타버스플랫폼), 크림 (글로벌 한정판/리셀 C2C커머스), 케이크 (글로벌 언어교육), 플레이리스트 (K-Drama), 세미콜론 스튜디오 (K-Movie), 어뮤즈 (비건, 웰니스 뷰티), 슈퍼랩스 (디지털 휴먼 제작 플랫폼), 스프링캠프 (초기 스타트업 투자)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 중 스노우의 카메라 서비스, 제페토 등에 해당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장은 전통 시장과 달리 재화 생산 과정에서 원가, 물류 비용이 거의 수반되지 않으며 광고, 디지털 콘텐츠 판매 등 생산과정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장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진입 장벽이 낮고, 이용자들의 손쉬운 서비스 전환이 가능하여,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입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60억대 이상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기반에 힘입어, 2022년 전세계 앱 다운로드는 1,500억건 이상, 모바일 광고 지출은 3,360억 달러, 모바일 소비자지출은 1,10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5G스마트폰 이용자가 향후 매년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모바일 광고 지출 및 소비자 지출도 장기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data.ai, Statista)

한편, 네이버제트의 제페토 서비스로 대표되는 메타버스(Metaverse)는 초월적인 가상공간에 수많은 사람과 수많은 콘텐츠가 모이고 그 안에서 현실 세계와 다름없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전세계적으로 관련 시장 규모는 2025년 약0.2조 달러, 2030년 1 ~ 1.3조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PwC).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현재 스노우는 출시한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중 주로 카메라 광고, 구독 및 단건 결제 서비스, 제페토 인앱결제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그 유형별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광고: 경기가 침체기에 진입하면 광고주들이 광고 집행을 미루거나 축소하는 모습을 보여 경기하강의 시점에는 매출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하거나 하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통적인 미디어 대비 다양한 광고주 구성을 확보하고 있고 정확도 높은 광고 성과분석의 제공을 통해 광고효율을 제고해 나가고 있는 만큼 온라인 광고산업의 경우 동 산업 내에서 상대적인 경기 민감도가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인앱결제: 제페토 서비스에서 판매하는 가상재화 및 이를 통해 앱 내에서 구매 가능한 아이템은 소액으로 투입비용이 낮으며 구매에 대한 위험이 적기 때문에 구매할 때 의사결정 과정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저관여제품'입니다. 또한, 다수의 이용자들로부터 소액의 매출이 발생하므로 특정 산업이나 경제환경(환율, 유가 등)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경기 악화 시에도 급격한 매출 하락 가능성은 적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이한 계절적 요인도 없습니다.

 

2) 경쟁환경

- 카메라: 글로벌 시장에서 Meitu, BeautyPlus, Facetune, FaceApp, Picsart, Prequel 등 해외 어플리케이션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 제페토: 메타버스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만큼 다양한 경쟁자들이 신규로 진입하고 있으나 현재 서비스 측면에서 이용자가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고 이를 통해 다른 이용자가 제작한 게임 등의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Roblox를 제페토와 유사한 이용자 경험을 제공한다고 보아 잠재적 경쟁자로 보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1) 산업의 개요 


가) 산업의 특성

클라우드는 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등 필요한 IT 자원을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탄력적으로 제공받아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과거에는 IT 자원을 직접, 소유 관리하였으나, 클라우드에서는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된 데이터센터에서 필요한 IT 자원을 필요한 만큼 서비스를 제공받는 형태로 변경되어 IT 투자가 CAPEX 개념에서 OPEX 개념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초기 클라우드 시장은 컴퓨팅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비용 절감이라는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점차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고, AI와 빅데이터의 활용이 중요해짐에 따라 폭증하는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그 형태에 따라,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IaaS는 기업에서 필요한 각종 컴퓨팅 인프라(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를 제공하며, PaaS는 기본 인프라에 이용자가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까지, SaaS는 이용자가 원하는 소프트웨어 자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구축 유형에 따라서 공용(Public)과 사설(Private) 및 하이브리드(Hybrid) 서비스로 나뉩니다. 공용 클라우드는 AWS, MS Azure 등 Cloud Service Provider가 소유하고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을 서비스화하여 제공하는 방식을 뜻하며, 사설 클라우드는 개별 기업이 구축한 자체 IDC 내에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이브리드는 공용과 사설의 혼합 형태로, 기업의 일부 시스템은 내부에 사설 클라우드로 구축하고, 일부 시스템은 공용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AWS와 마찬가지로 Cloud Service Provider로서 기본적인 서버, 스토리지 등 IaaS부터 네이버웍스같은 SaaS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공용(Public) 클라우드뿐만 아니라, NeuroCloud와 같은 Hybrid Cloud 구성을 위한 서비스까지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IT 시장조사 전문기업 가트너에 따르면, 전세계 클라우드 시장규모는 2023년 4,691억 달러에서 2026년 8,525억 달러로 향후 3년간 연 평균 22% 성장을 전망하고 있으며,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2023년 5.1조원에서 2026년 10.2조원으로 향후 3년간 연 평균 26%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2018년 기준 미국을 제외한 OECD 국가 10인 이상 기업의 평균 클라우드 사용률은 30.6%인 반면, 국내 기업의 클라우드 이용률은 평균의 절반도 못 미치는 12.9%로 클라우드 시장 성장이 저조하였으나,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개선,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확산에 따라 클라우드 시장도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2) 경쟁환경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은Amazon Web Service,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 중국을 중심으로 한Ali Cloud의 점유율이 높습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의NAVER Cloud Platform과KT Cloud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표적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네이버 및 종속회사의 서비스는 서치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클라우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업부문별 주요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서치플랫폼

서치플랫폼은 검색과 디스플레이 광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검색은 이용자의 정보탐색 수요를 네이버를 통해 연결시켜 비즈니스 활동을 촉진시키는 사업으로, 지속적인 상품 개선과 카테고리 확대, AI 기술을 활용한 검색 고도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는 광고주가 원하는 상업적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노출시켜주는 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디스플레이 플랫폼 고도화와 성과형 광고 상품 등 다양한 신규 상품 출시를 통해 광고 효과를 제고하는 등의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② 커머스

커머스는 커머스 광고(쇼핑 관련 검색과 디스플레이 광고), 중개 및 판매(수수료), 멤버십 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커머스는 브랜드, SME를 포함한 다양한 판매자들과 함께 성장하며, 이용자에게 차별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브랜드스토어, 쇼핑라이브, 장보기, KREAM(C2C 플랫폼) 등 신규 버티컬 커머스 서비스 강화, 여행 (항공, 호텔, 투어) 및 네이버플레이스 내 예약 서비스 제공,  데이터 기반 풀필먼트 플랫폼 제공, CJ대한통운 및 신세계/이마트 제휴 등을 통해 이용자와 판매자의 다양한 니즈를 대응하며 커머스 생태계 강화를 위해 집중하고 있습니다.

 

③ 핀테크

핀테크는 크게 네이버페이와 디지털금융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결제사업은 내부 커머스 성장과 외부 가맹점 확대로 빠르게 성장중이며, 오프라인의 포인트/카드기반 현장결제 및 예약/주문결제, 후불결제 서비스 등을 출시하며 포인트 생태계를 확장하고 이용자 편의를 확대하고 있으며, 빠른 정산 서비스, 스마트스토어/스마트플레이스 판매자 대출, 그리고 모든 업권의 금융기관을 모은 사업자와 이용자 대출비교 서비스 출시를 통해 SME와 이용자를 위한 핀테크를 본격적으로 제공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네이버가 가진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네이버 생태계 내의 SME, 씬파일러, 그리고 사용자를 위한 금융서비스에 집중하며 관련 기회를 모색해 나가고자 합니다.


④ 콘텐츠

콘텐츠는 창작자와 사용자가 자유롭게 창작하고 소비하는 콘텐츠 생태계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당사는 웹툰, 웹소설, 뮤직, 스노우, 제페토  등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중 네이버웹툰은 국내에서의 독보적인 지위를 바탕으로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콘텐츠 서비스들은 우수한 기술을 바탕으로 매년 글로벌 사용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수익모델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Wattpad 인수를 통해 한국에서 검증된 웹툰, 웹소설간의 시너지 효과를 확대하며 글로벌 1위 스토리텔링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원천 IP 확보를 통한 IP 사업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위해 하이브의 자회사인 위버스컴퍼니와 함께 2021년 7월 통합 팬십 플랫폼을 출시하였습니다. 2022년 3월에는 네이버웹툰의 일본 계열사 라인 디지털 프론티어(LINE Digital Frontier)가 이북 이니셔티브 재팬의 인수를 완료하였고, 향후 일본 디지털 만화 시장에서의 영향력 강화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⑤ 클라우드

클라우드에는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과 웍스모바일, 클로바의 각종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매출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앞으로는 B2B서비스 융합 추진체인 네이버클라우드 법인을 중심으로 웍스, 클로바 등 기존의 기업향 서비스 뿐만 아니라

LABS, 쇼핑, 웨일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B2B로 제공하기 위해 상호간의 사업 협력 및 시너지를 창출할 예정입니다.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제24기(2022년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기 이전 회사의 가결산 추정치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향후 제출될 감사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결재무제표]

- 연결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24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3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네이버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제 24 (당) 기말 제 23 (전) 기말
 자      산 



l. 유동자산
6,453,155,564,514
5,527,878,425,552
 현금및현금성자산 2,724,168,321,708
2,781,395,543,827
 단기금융상품 1,216,410,034,221
673,555,739,31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745,584,919,599
461,932,777,51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24,254,505,54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545,662,145,849
1,454,660,666,688
 재고자산 8,651,839,041
6,139,904,767
 기타유동자산 202,433,549,371
124,296,250,629
 당기법인세자산 10,244,754,725
1,643,037,279
ll. 비유동자산
27,455,187,454,660
28,163,128,331,488
 유형자산 2,457,820,240,295
2,111,261,659,613
 사용권자산 738,710,004,475
290,462,942,745
 무형자산 1,481,423,637,125
932,152,347,274
 장기금융상품 14,255,722,000
14,255,722,000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427,610,041,051
2,407,725,020,317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354,122,792,627
2,099,232,986,626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18,541,286,921,720
20,090,304,016,842
 이연법인세자산 261,482,879,622
98,430,685,422
 매출채권및기타채권 76,754,808,757
46,387,217,185
 기타비유동자산 101,720,406,988
72,915,733,464
자 산 총 계
33,908,343,019,174
33,691,006,757,040
부      채



l. 유동부채
5,463,385,792,147
3,923,319,146,652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239,503,709,345
992,675,127,70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71,905,225,561
-
 단기차입금 1,381,399,298,786
461,321,818,464
 당기법인세부채 324,415,488,597
515,246,293,598
 충당부채 5,450,342,335
6,657,331,759
 리스부채 193,376,317,267
105,615,989,665
 기타유동부채 2,247,335,410,256
1,841,802,585,465
ll. 비유동부채
4,968,086,697,836
5,740,311,261,113
 매입채무및기타채무 69,639,961,691
118,079,924,927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684,617,869,427
508,994,104,631
 사채 1,704,518,276,546
1,636,827,463,521
 장기차입금 328,034,313,380
1,552,014,025,878
 순확정급여부채 577,397,964,363
554,264,628,196
 충당부채 17,784,624,686
8,918,100,642
 리스부채 589,253,964,655
205,661,717,226
 이연법인세부채 985,870,669,008
1,155,139,324,751
 기타비유동부채 10,969,054,080
411,971,341
부 채 총 계
10,431,472,489,983
9,663,630,407,765
자         본



 l.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22,770,643,655,780
23,535,637,694,902
   자본금
16,481,339,500
16,481,339,500
   자본잉여금 
1,556,453,389,615
1,490,214,367,768
   기타자본구성요소 
(2,474,526,129,371)
(1,051,465,837,344)
   이익잉여금 
23,672,235,056,036
23,080,407,824,978
 ll. 비지배지분
706,226,873,411
491,738,654,373
 자 본 총 계 
23,476,870,529,191
24,027,376,349,275
 자 본 및 부 채 총 계 
33,908,343,019,174
33,691,006,757,040


 - 연결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4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3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네이버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제 24 (당) 기 제 23 (전) 기
 I. 영업수익
8,220,078,708,810
6,817,599,707,250
 II. 영업비용
(6,915,414,298,267)
(5,492,121,536,133)
 III. 영업이익
1,304,664,410,543
1,325,478,171,117
 기타수익 310,571,804,200
52,722,438,756
 기타비용 (369,497,447,206)
(232,866,247,091)
 이자수익 59,164,658,931
20,004,490,256
 금융수익 619,735,977,200
765,693,953,525
 금융비용 (931,522,674,095)
(349,334,091,066)
 지분법손익 96,761,151,453
544,701,156,204
I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089,877,881,026
2,126,399,871,701
  법인세비용 (390,149,532,199)
(648,668,889,581)
 V. 계속영업순이익
699,728,348,827
1,477,730,982,120
 VI. 중단영업순이익
-
14,999,894,577,525
 VII. 당기순이익
699,728,348,827
16,477,625,559,645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계속영업이익 786,808,924,987
1,493,472,246,748
     중단영업이익(손실) -
14,996,377,524,381
   비지배지분



     계속영업이익(손실) (87,080,576,160)
(15,741,264,628)
     중단영업이익(손실) -
3,517,053,144
 VIII. 기타포괄손익
(1,388,015,023,214)
(252,564,745,906)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1,201,387,116,350)
(190,772,138,48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채무상품 평가손익 -
(483,039,456)
     해외사업환산손익 122,569,353,269
71,043,967,706
     지분법자본변동 (1,323,956,469,619)
(261,333,066,732)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186,627,906,864)
(61,792,607,42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분상품 평가손익 (484,843,494,849)
(90,787,478,62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분상품 처분손익 (45,127,813,925)
21,602,409,626
     지분법자본변동 274,596,928,706
9,512,437,76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68,746,473,204
(2,119,976,189)
 IX. 총포괄이익
(688,286,674,387)
16,225,060,813,739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654,767,188,483)
16,233,387,235,875
   비지배지분 (33,519,485,904)
(8,326,422,136)
 X. 지배기업 지분에 대한 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



    계속영업순이익
5,184
9,977
    중단영업순이익
-
100,877
   희석주당순이익



    계속영업순이익
5,161
9,887
    중단영업순이익
-
99,973


[별도재무제표]

- 별도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4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3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네이버 주식회사 (단위: 원)
구 분 제 24 (당) 기말 제 23 (전) 기말
자      산



l. 유동자산
2,030,745,992,891
1,779,773,191,131
 현금및현금성자산 841,798,144,735
964,418,443,986
 단기금융상품 513,311,636,005
205,748,8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776,459,606
3,692,735,93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24,254,505,54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629,806,460,191
538,909,879,285
 재고자산 664,259,446
1,657,864,895
 기타유동자산 44,389,032,908
41,090,961,495
ll. 비유동자산
11,869,160,366,887
11,182,647,374,778
 유형자산 1,755,777,290,537
1,429,366,401,646
 사용권자산 41,433,967,479
27,825,290,362
 무형자산 72,452,309,393
52,992,451,444
 투자부동산 302,769,701,062
-
 장기금융상품 13,755,872,000
13,755,872,000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345,111,602,072
1,619,663,081,92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300,968,382,382
2,009,532,628,699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6,679,788,696,290
5,872,911,000,309
 이연법인세자산 270,012,813,554
95,528,039,196
 매출채권및기타채권 60,402,336,507
27,689,808,738
 기타비유동자산 26,687,395,611
33,382,800,462
자 산 총 계
13,899,906,359,778
12,962,420,565,909
부      채



l. 유동부채
1,470,659,756,352
1,334,494,719,909
 매입채무및기타채무 579,189,399,755
523,648,450,674
 당기법인세부채 284,447,645,234
466,079,897,352
 유동성장기차입금 187,274,700,000
-
 충당부채 2,059,949,479
2,674,409,542
 리스부채 48,996,419,693
18,371,326,491
 기타유동부채 368,691,642,191
323,720,635,850
ll. 비유동부채
2,550,665,041,160
2,295,467,194,248
 매입채무및기타채무 30,288,080,685
9,533,697,878
 사채 1,704,518,276,546
1,636,827,463,521
 장기차입금 157,977,000,000
349,525,600,000
 순확정급여부채 316,047,654,369
277,385,543,494
 충당부채 10,042,393,730
2,302,657,082
 리스부채 328,806,361,025
19,505,218,405
 기타비유동부채 2,985,274,805
387,013,868
부 채 총 계
4,021,324,797,512
3,629,961,914,157
자         본



I. 자본금
16,481,339,500
16,481,339,500
II. 자본잉여금
1,123,109,857,937
1,055,716,814,497
III. 기타자본구성요소
(1,388,661,591,817)
(997,204,415,003)
IV. 이익잉여금
10,127,651,956,646
9,257,464,912,758
자 본 총 계
9,878,581,562,266
9,332,458,651,752
자 본 및 부 채 총 계
13,899,906,359,778
12,962,420,565,909


- 별도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4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3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네이버 주식회사 (단위: 원)
구 분 제 24 (당) 기 제 23 (전) 기
I. 영업수익
5,512,586,322,305
5,018,667,294,374
II. 영업비용
(3,958,791,474,206)
(3,459,938,514,095)
III. 영업이익
1,553,794,848,099
1,558,728,780,279
 기타수익 272,016,767,875
51,361,277,372
 기타비용 (386,932,025,509)
(279,284,899,638)
 이자수익 24,852,752,219
5,275,649,103
 금융수익 672,701,267,366
824,513,997,579
 금융비용 (563,551,581,850)
(71,247,340,942)
I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572,882,028,200
2,089,347,463,753
 법인세비용 (451,962,671,545)
(564,592,453,792)
V. 당기순이익
1,120,919,356,655
1,524,755,009,961
VI. 기타포괄손익
(466,227,189,242)
(70,103,083,855)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466,227,189,242)
(70,103,083,85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분상품 평가손익 (428,858,803,868)
(74,057,026,95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분상품 처분손익 (45,127,813,925)
17,199,903,875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7,759,428,551
(13,245,960,772)
VII. 총포괄이익
654,692,167,413
1,454,651,926,106
VIII. 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
7,485
10,257
 희석주당순이익
7,451
10,165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단위: 천원)
구 분 당기 전기
처분예정일/처분확정일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22일) (처분확정일 2022년 3월 14일)
미처분이익잉여금
10,105,502,053
9,235,315,009
 전기이월이익잉여금 9,159,023,243
7,722,098,133
 당기순이익 1,120,919,357
1,524,755,01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지분상품 처분손익 (45,127,814)
17,199,904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7,759,429
(13,245,961)
 자기주식 -
(15,492,077)
 중간배당 (137,072,161)
-
이익잉여금 처분액
-
76,291,766
배당금
주당배당금(률)
당기: -원(-%)
전기: 511원(511%)
-
76,291,766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0,105,502,053
9,159,023,243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19년부터 2021년 까지의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한 바 있으며, 본 주주환원
   정책의 대상기간이 종료되어 현재 새로운 주주환원 정책을 수립 중에 있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정책을 수립하여 공시 등을 통해 주주 여러분께 안내해 드릴 계획
   입니다.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변대규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변대규 1960.03.08 기타비상무이사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변대규 휴맥스홀딩스
대표이사 회장

1985 - 1989

2001 - 2008

2011 - 2013

1998 - 2014

2015 -2016

2009 ~ 현재

2014 ~ 현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제어계측공학 박사

- SK텔레콤 사외이사

- 포스코 사외이사

- 휴맥스 대표이사 사장

- 한국공학한림원 부회장 

- 휴맥스홀딩스 대표이사 회장 

- 휴맥스 이사회 의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변대규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변대규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이하 "후보자")의 이사로서의 재직 기간 포함 후보자의 재선임을 위한 여러 경력 및 자격 요건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이에 따른 논의 결과, 후보자는 벤처 1세대로서 진취적인 벤처 정신과 해외진출 추진력, 글로벌 기업을 키워 낸 역량을 높이 평가 받아 2017년 3월 네이버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되었으며, 다양한 사내/사외이사 경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네이버 이사회가 발전하는데 상당히 기여하였다고 평가를 받았습니다. 오랜 시간 축적된 사업 능력과 경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부문의 주요 의사결정을 리드하여 급속도로 성장하는 네이버의 중요한 축으로써 당사가 글로벌 기술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는데 큰 역할을 하여 이사회는 재선임을 추천합니다. 


확인서

확인서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3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7(4)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80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7(4)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0억원
최고한도액 150억원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4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상기 제출(예정)일은 제출 기한을 의미하며, 당사는 기한 내에 사업보고서 및 감사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임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인 2023년 3월 14일까지    당사의 홈페이지(https://www.navercorp.com) 내 투자정보 - IR자료실 - 사업
  보고서, 감사보고서에 게재할 예정 입니다.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 - 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코로나 19 관련 안내 말씀
코로나19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 당일 발열(37.5도 이상 고열) 및 호흡기(기침, 인후통 등) 증상이 의심되거나 자가격리대상, 밀접접촉대상 등에 해당하시는 주주분들께서는 현장 참석을 자제 부탁드리며, 전자투표, 서면 및 전자위임장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시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밀폐, 밀집, 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항에서 함성,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주총회 당일에도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길 적극 권고 드립니다.
안전한 주주총회 개최와 주주 및 관계자 분들의 코로나19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해 많은 협조 부탁드립니다

 

□ 주주총회 참석시 지참물 안내
주주 본인은 본인의 신분증이, 대리인은 대리인의 신분증과 위임장이 각각 지참물로 요구되며, 신분증 등 미지참 시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능하오니, 이 점 유의 부탁드립니다.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1)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대리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2) 위임인(주주)의 성명, 소유 및 위임 주식 수, 주민등록번호(법인의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3) 위임인(주주)의 날인 또는 서명
*주민등록번호는 중복주주 판별을 위해 현장에서 육안 확인 후 즉시 삭제하며, 별도 수집 및 보관하지 않습니다.


□  주총 집중일 관련
당사는 주총 집중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지 않아 한국거래소에 해당내용을 신고한 바가 없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221002420

NAVER (03542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