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6 17:3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1356
2023년 3월 16일 | ||
회 사 명 : | (주)코 다 코 | |
대 표 이 사 : | 인 귀 승, 조 만 영 | |
본 점 소 재 지 :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신대길8 | |
(전 화) 041-411-3100 | ||
(홈페이지)http://www.kodaco.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 장 | (성 명) 정 용 황 |
(전 화) 041-411-3208 | ||
(제26기 정기주주총회) |
제2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통지 (공고)
주주님의 건승과 가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20조의 규정에 의거 제2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1. 일 시 : 2023년 3월 31일(금)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신대길 8 ㈜코다코 3층 대강당
3. 회의목적사항:
(보고안건)
영업보고,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 운영실태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6기 (2022. 1. 1 ~ 2022. 12. 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사외이사 1명)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이형우 선임의 건
성 명 | 생년월일 | 주요약력 | 추천인 | 회사와의 거래내역 | 최대주주와의 관계 |
---|---|---|---|---|---|
이형우 | 1965.06.26 | 성동기계공업고등학교 졸업 코다코 공장장 코다코 부사장 | 이사회 | 없음 | 관계없음 |
제2-2호 의안 : 사외이사 김양옥 선임의 건
성 명 | 생년월일 | 주요약력 | 추천인 | 회사와의 거래내역 | 최대주주와의 관계 |
---|---|---|---|---|---|
김양옥 | 1964.12.13 | 서울대 SPARC 31기 수료 SC제일은행 사업부장 SC제일은행 본부장 | 이사회 | 없음 | 관계없음 |
제3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및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제5항에 의거,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간접행사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위임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7. 기타 참고사항
가.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일 1주 전 회사의 홈페이지에 게재예정입니다.
나.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관련 안내
- 당일 발열(37.5도 이상) 또는 호흡기 증상(기침, 목아픔 등)이 있으시거나 마스크를 미착용하신 주주분은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3월 16일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도림리 신대길 8
주식회사 코 다 코
대표이사 인 귀 승, 조 만 영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이원창 (출석률: 75%) | 김양옥 (출석률: 100%) | 박대규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2.03.02 | 제2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 |
2 | 2022.03.16 |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 |
3 | 2022.04.08 | 제1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전환사채 발행결의내용 일부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4 | 2022.12.19 | MKDC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 - | 찬성 | 찬성 |
- 2022년 3월 31일 사외이사 박대규님이 신규 선임되셨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1,500,000 | 99,000 | 33,000 | - |
- 주총 승인금액은 사외이사, 사내이사 포함 전체 등기이사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단위 : 백만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2022년 중 연결자산총액의 5% 이상의 특정인과의 거래가 없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개요
자동차산업은 철강, 비철금속, 고무, 합성수지, 유리, 섬유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써서 각 부분품마다 각기 다른 생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2만여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자동차로 완성하는 복합적 성격의 대표적인 조립산업으로 다품종 대량생산방식을 특징으로하는 기계공업입니다.
따라서, 소재와 부품생산에 관련된 금속공업, 기계공업, 전기전자공업, 석유화학공업, 석유공업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뒷받침이 없으면 자동차산업의 육성과 균형있는 발전을 기할 수가 없게 됩니다.
자동차산업은 다양한 부품을 조립하여 생산하는 조립산업이며, 부품산업으로 타산업과 연관성이 높으며, 생산유발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입니다. 타산업으로부터 중간재를 구매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후방연쇄효과(Background Linkage Effects)가 매우높은 반면 타 산업에 중간재를 판매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전방 연쇄효과는 비교적 낮은 최종수요적 제조업형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의 생산에는 막대한 설비투자와 개발비가 소요되며 적정수준의 생산규모를 유지하고 생산코스트를 절감시켜야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서 생산수량의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생산비용의 감소효과인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효과가 매우 뚜렷이 나타나는 산업입니다.
자동차부품 제조산업은 자동차용 제동장치, 클러치, 축, 기어, 변속기, 휠 및 완충기 등과 같은 자동차, 차체 또는 자동차 엔진용 부분품의 제조를 전반적으로 포함하며, 다양한 산업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자동차 1대는 평균 5천여 종 2~3만여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많은 자동차부품에 대한 품목은 기능별로는 내연기관용부품, 제동장치 및 부품, 완충기 및 부품, 동력전달장치 등으로 분류되고, 제조공정별로는 주조품, 단조품, 기계가공품, 프레스가공품, 조립부품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세계 자동차산업은 2011년 유럽의 재정위기와 일본 대지진이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신흥국 시장에서의 수요증가로 4.8%의 성장을 이어갔고, 2012년에도 유럽재정 위기가 지속되었으나 5.4%의 성장율을 기록했습니다. 2013년 자동차 산업은 경제 불확실성과 신흥국 시장의 부진으로 다소 부진한 성과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종합적으로는 미국경제의 회복세로 종합적으로는 전년대비 4.7% 증가한 8,106만대 판매로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2014년에는 신흥국 시장의 판매 감소에도 불구하고 유럽시장의 완만한 회복과 중국 및 미국의 판매성장 지속으로 3.3% 성장한 8,372만대 판매가 이루어졌습니다. 2015년에는 미국시장과 서유럽 시장의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신흥국 시장의 판매 감소로 예상치보다 부진한 1.8% 증가에 그쳤으나, 2016년에는 유럽과 중국과의 판매 증가로 전체적으로는 전년대비 4.4% 증가한 9,036만대 수준의 판매가 이루어졌고, 2017년에는 미국과 유럽의 정체, 중국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었으나 인도, 브라질 등의 신흥시장의 회복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한 9,230만대를 기록하였습니다. 2018년 자동차 판매는 신흥시장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유럽의 감소, 중국의 정체로 0.2% 증가한 9,244만대 수준의 판매가 이루어졌으나, 2019년에는 선진국 시장의 판매 부진과 중국의 정체가 지속되면서 전년대비 5.9% 감소한 8,695만대 수준의 판매가 이루어졌습니다.2020년 세계자동차 판매는 당초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코로나19 사태에 의한 수요 감소 여파로 전년보다 16.5% 감소한 7,264만대 수준으로 집계되었습니다.. 2021년 자동차 판매는 각국의 시장상황 개선과 각 메이커들의 신차출시 확대, 전기차 시장의 본격 성장에 힘입어 전년대비 5.2% 증가한 7,640만대 수준의 판매가 이루어졌으며, 2022년의 경우 차량용 반도체 수급문제 해소와 대기수요 유입에 따라 전년대비 5.8% 증가한 8,063만대 수준의 판매가 이루어졌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자동차 부품은 대부분이 완성차 업체에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OEM)으로 공급되지만, 일부 직수출과 애프터서비스 및 보증수리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 부품 산업은 자동차 산업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바,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2022년 내수 및 수출도 완성차 업체들의 추세를 따르고 있습니다.
자동차 보급대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선진국인 북미, EU, 일본시장 등의 경우에는 경기변동에 따라 민감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을 대표한 신흥국가들의 경우에는 경기변동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당사는 1997년 2월 14일 설립하여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법으로 자동차 부품을 제조, 가공 생산하는 완성차업계의 2차 공급업체로, 사업 초기에는 북미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수출 전문기업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국내외 다수의 고객사로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대부분 자동차의 내부 기계장치에 대한 부품으로 엔진, 변속기, 공조장치, 조향장치 등 크게 4가지 관련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수부분에서는 주요고객사인 한온시스템, 현대트랜시스, 만도, LG전자, 현대모비스 등을 통하여 국내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 기아차, 한국GM 등으로 제품을 공급 중이며, 수출부분에서는 Borg-Warner, AAM, SLPT, NSK 등을 통하여 해외완성차 업체인 GM, Ford, Crysler, Fiat, Tesla 등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자동차산업은 거대한 자본이 투입되는 대규모 장치산업이라는 특성 때문에 각국마다소수업체 위주의 과점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즉, 일정 규모의 양산설비를 구축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며 진입결정 이후 제품 출시까지 최소한 4~5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막대한 자금력을 갖춘 대기업이라도 진입에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이밖에 자동차 업체는 종업원이 수만 명에 이르고 협력업체가 수천 개에 달하기 때문에, 부실 경영이 장기화되는 경우에도 국민 경제적 파장을 고려해 쉽사리퇴출을 감행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차부품산업의 3차 공급업체까지 고려한다면 자본의 투입에 있어 상당한 편차를 보일 수 있으나 글로벌부품사의 경우 자동차산업과 동일하게 대규모 장치산업의 특성과 수주부터 제품화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막대한 자본이 필수적으로 투자되어야 합니다.
자동차부품의 매출유형은 크게 OEM(또는 조립용, 제조용), 보수용(A/S), 수출용 등 세가지로 대별되는데, 조립용은 전체의 약 75~80%, A/S용은 약 5%, 수출용은 약 15~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수출부문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대수기준으로수출비중이 70%에 가까운 완성차에 비해 내수의존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부품산업의 매출기반은 실질적으로 OEM부문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수에서 OEM비중이 여전히 75~80%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출의 경우에도 국내 완성차메이커의 해외생산확대에 따른 부품의 수출이나 GM, FORD 등 해외메이커에 대한 OEM매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술개발능력,품질, 납기, 가격 등의 측면에서 완성차 메이커의 요구수준을 충족시키면서 완성차 메이커와 긴밀한 유대관계를 형성, 유지 발전시킬수 있는 능력이 사업안정에 있어 중요한 부분입니다.
또한 자동차산업과 제품개발부터 참여하여 양산까지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으며,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상호 긴밀한 협력관계의 유지 및 효율적인 분업생산체제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규모가 작고 기술력이 취약한 부품사일수록 단일 완성차업체 전속납품의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처럼 특정 완성차 메이커에 종속된 전속적인 납품거래구조는 구조적으로 전방교섭력을 취약하게 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낮은 교섭력으로 인하여 대부분 부품사는 상시화된 단가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단가인하는 원천적으로 높지 않은 자동차 부품사의 최소 수익성 보장이라는 한계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최근에는 완성차업계에 설계단계에서부터 부품사를 참여시켜 원가절감을 달성하려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품기업입장에서는 단순히 기존의 단가인하 부담을 흡수하여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가경쟁력 및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는 투자능력 뿐만 아니라 향후 개발단계 참여를 통하여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개발능력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연구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주력제품을 보면 엔진, 변속, 공조, 조향 장치 부품으로 구성되어있고, 제품 개발단계에서부터 최종 생산 단계까지 전 과정에서 고객사와 긴밀히 협업함에 따라 고객의 선호변화나 규제와 같은 산업의 동향을 생생하게 파악하여 제품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원가경쟁력 측면에서, 당사는 공장의 생산라인과 공정을 자체 설계하는 능력을 보유하여 원하는 사양의 제품을 최소의 생산 Cost로 경쟁력있게 생산할 수 있습니다.
원가경쟁력과 관련, 당사의 약점은 인건비/감가비 등의 고정비 비중이 크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자동차산업의 저성장기 도래 등으로 매출정체시 고정비 부담이 가중되어 원가경쟁력이 약화될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이렇게 고정비가 높은 원가구조를 개선하여 경영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영체계 구축을 위해 저부가가치 부문에 대해 Outsourcing을 추진하고, 제품경쟁력 비교를 통한 글로벌 기준 최적 공급방안 검토 등 다양한 활동들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22년 말 한국자동차연구원으로부터 신소재 듀플렉스 알루미늄 기술에 대한 이전협약을 체결하고 이를 활용한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존 알루미늄 합금은 주조재와 전신재에 대한 원재료가 구분되어 사용되지만 듀플렉스 알루미늄 합금은 이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비해 높은 강도와 연신율을 가지고 있어 활용성이 높은 기술입니다.
듀플렉스 기술은 차체, 섀시 분야의 기존 알루미늄 합금 기술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 부품에 대한 기술적 개선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쇽업하우징, 플랫폼플로어, 인너판넬, 쿼터판넬 등 신규 사업 분야에 대한 개척을 기대하고 있으며, 여러 회사와의 공동연구 및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4) 조직도
천안공장 조직도 |
안성2공장 조직도 |
안성3공장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의 "나. 회사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상기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준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상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로 향후 외부감사인의 감사 과정에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연결 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제 26(당) 기말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5(전) 기말 :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코다코와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 목 | 제 26(당) 기말 | 제 25(당) 기말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64,681,701,759 | 111,089,761,356 |
현금및현금성자산 | 27,848,955,991 | 1,915,415,546 |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 45,630,576,577 | 27,543,628,429 |
당기법인세자산 | 30,982,456 | 406,130,173 |
재고자산 | 76,092,065,625 | 70,528,541,932 |
기타유동자산 | 15,079,121,110 | 10,696,045,276 |
Ⅱ. 비유동자산 | 290,453,639,046 | 253,007,247,622 |
장기금융상품 | 320,663,379 | 185,736,368 |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 비유동채권 | 4,201,445,997 | 2,594,279,109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928,697,725 | 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36,000,000 | 2,000,000 |
유형자산 | 269,965,884,475 | 244,440,924,520 |
사용권자산 | 546,890,274 | 330,472,950 |
무형자산 | 1,064,954,232 | 1,316,234,284 |
이연법인세자산 | 13,289,102,964 | 4,059,768,062 |
기타비유동자산 | 0 | 77,832,329 |
자 산 총 계 | 455,135,340,805 | 364,097,008,978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392,747,446,507 | 133,348,891,393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124,036,436,848 | 60,993,439,273 |
단기차입금 | 64,199,494,963 | 50,020,807,183 |
유동성장기부채 | 178,679,812,873 | 18,591,421,498 |
유동성사채 | 4,518,226,032 | 261,310,791 |
전환사채 | 13,776,185,344 | 822,338,481 |
유동성리스부채 | 303,485,691 | 183,025,126 |
당기법인세부채 | 3,040,500,487 | 0 |
품질보증충당부채 | 339,514,874 | 94,698,430 |
기타유동부채 | 3,853,789,395 | 2,381,850,611 |
Ⅱ. 비유동부채 | 48,146,952,509 | 206,583,922,246 |
장기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33,722,476 | 8,137,223,441 |
장기차입금 | 44,615,646,968 | 179,411,817,304 |
사채 | 0 | 4,424,619,716 |
전환사채 | 0 | 11,028,755,802 |
리스부채 | 253,284,874 | 156,057,226 |
확정급여부채 | 3,244,298,191 | 3,425,448,757 |
부 채 총 계 | ||
자 본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12,565,443,040 | 22,956,901,076 |
Ⅰ. 자본금 | 19,532,128,000 | 19,532,128,000 |
Ⅱ. 주식발행초과금 | 48,528,392,610 | 48,528,392,610 |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 9,315,840,705 | 1,876,604,547 |
IV. 이익잉여금 | (64,810,918,275) | (46,980,224,081) |
비지배지분 | 1,675,498,749 | 1,207,294,263 |
자 본 총 계 | 14,240,941,789 | 24,164,195,339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455,135,340,805 | 364,097,008,978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6(당)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5(전) 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코다코와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 목 | 제 26(당) 기 | 제 25(전) 기 |
---|---|---|
I. 매출 | 309,738,210,323 | 251,510,173,615 |
II. 매출원가 | 260,829,841,903 | 215,719,039,093 |
III. 매출총이익 | 48,908,368,420 | 35,791,134,522 |
판매비와관리비 | 39,493,233,478 | 30,308,088,727 |
Ⅳ. 영업이익(손실) | 9,415,134,942 | 5,483,045,795 |
기타수익 | 10,138,551,268 | 9,168,475,611 |
기타비용 | 25,182,273,995 | 1,982,801,531 |
금융수익 | 20,563,095 | 5,836,029,369 |
금융비용 | 15,929,784,966 | 11,942,222,542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21,537,809,656) | 6,562,526,702 |
법인세비용(수익) | (4,778,339,645) | 287,696,533 |
Ⅵ. 당기순이익(손실) | (16,759,470,011) | 6,274,830,169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16,975,484,294) | 6,618,540,417 |
비지배지분 | 216,014,283 | (343,710,248) |
Ⅶ. 연결기타포괄이익(손실) | 6,836,216,461 | 778,761,590 |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5,032,972,708 | (741,621,751) |
-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손익 | (70,937,912) | (741,621,751)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익 | 2,037,272,851 | 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손익 | (783,712,022) | |
- 유형자산재평가이익 | 3,850,349,791 | 0 |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 1,803,243,753 | 1,520,383,341 |
(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1,803,243,753 | 1,520,383,341 |
Ⅷ. 연결총포괄이익(손실) | (9,923,253,550) | 7,053,591,759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10,168,299,479) | 7,321,544,406 |
비지배지분 | 245,045,929 | (267,947,647) |
Ⅸ. 주당손익 | ||
1. 기본주당손익 | (451) | 176 |
2. 희석주당손익 | (451) | 56 |
[별도 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 |
제 26(당) 기말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5(전) 기말 :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코다코 | (단위: 원) |
과 목 | 제 26(당) 기말 | 제 25(당) 기말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26,952,216,543 | 120,680,372,938 |
현금및현금성자산 | 3,910,823,040 | 1,001,395,729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71,645,534,776 | 63,340,004,467 |
재고자산 | 41,695,809,362 | 11,037,080 |
당기법인세자산 | 30,113,880 | 50,682,050,249 |
기타유동자산 | 9,669,935,485 | 5,645,885,413 |
Ⅱ. 비유동자산 | 198,168,755,155 | 190,226,554,289 |
장기금융상품 | 320,663,379 | 185,736,368 |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비유동채권 | 1,745,799,104 | 2,382,229,400 |
유형자산 | 141,637,893,403 | 145,342,502,95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36,000,000 | 2,000,0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928,697,725 | |
종속기업, 조인트벤처와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48,346,946,000 | 40,589,546,000 |
사용권자산 | 546,890,274 | 330,472,950 |
무형자산 | 1,064,954,232 | 1,316,234,284 |
기타비유동자산 | 3,440,911,038 | 77,832,329 |
자 산 총 계 | 325,120,971,698 | 310,906,927,227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281,221,833,222 | 69,261,664,373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79,182,140,037 | 47,833,187,644 |
단기차입금 | 3,177,524,496 | 0 |
유동성장기부채 | 178,679,812,873 | 18,591,421,498 |
유동성사채 | 4,518,226,032 | 261,310,791 |
전환사채 | 13,776,185,344 | 822,338,481 |
유동성리스부채 | 303,485,691 | 183,025,126 |
품질보증충당부채 | 339,514,874 | 94,698,430 |
기타유동부채 | 1,244,943,875 | 1,475,682,403 |
Ⅱ. 비유동부채 | 193,016,380,418 | |
장기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3,382,928,742 | 8,137,223,441 |
장기차입금 | 3,285,500,339 | 165,865,815,540 |
사채 | 0 | 4,424,619,716 |
전환사채 | 0 | 11,028,755,802 |
리스부채 | 253,284,874 | 156,057,226 |
확정급여부채 | 3,217,804,810 | 3,403,908,693 |
부 채 총 계 | 291,361,351,987 | 262,278,044,791 |
자 본 | ||
Ⅰ. 자본금 | 19,532,128,000 | 19,532,128,000 |
Ⅱ. 주식발행초과금 | 48,528,392,610 | 48,528,392,610 |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 6,914,507,022 | 1,668,979,667 |
IV. 결손금 | (41,215,407,921) | (21,100,617,841) |
자 본 총 계 | 33,759,619,711 | 48,628,882,436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325,120,971,698 | 310,906,927,227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6(당)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25(전) 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코다코 | (단위: 원) |
과 목 | 제 26(당) 기 | 제 25(당) 기 |
---|---|---|
I. 매출액 | 221,718,479,209 | 206,306,995,509 |
II. 매출원가 | 192,082,403,942 | 183,353,037,099 |
III. 매출총이익 | 29,636,075,267 | 22,953,958,410 |
IV. 판매비와관리비 | 23,249,079,912 | 20,264,779,711 |
V. 영업이익(손실) | 6,386,995,355 | 2,689,178,699 |
1. 기타수익 | 11,227,226,832 | 10,203,037,243 |
2. 기타비용 | 25,450,109,036 | 2,194,807,409 |
3. 금융수익 | 59,053,338 | 5,873,868,856 |
4. 금융비용 | 11,317,755,035 | 9,795,198,778 |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19,094,588,546) | 6,776,078,611 |
VII. 법인세비용(수익) | 163,871,701 | - |
VIII. 당기순이익(손실) | (19,258,460,247) | 6,776,078,611 |
IX. 기타포괄이익(손실) | 4,389,197,522 | (734,562,979) |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익 | 2,037,272,851 | 0 |
-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손익 | (72,617,811) | (734,562,979)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손익 | (783,712,022) | |
- 유형자산재평가 | 3,208,254,504 | 0 |
X. 총포괄이익(손실) | (14,869,262,725) | 6,153,298,953 |
XI. 주당손익 | ||
1. 기본주당손익 | (512) | 183 |
2. 희석주당손익 | (512) | 59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26(당)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25(전) 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구분 | 당기 | 전기 | ||
---|---|---|---|---|
I. 미처리이월결손금 | (42,023,587,129) | (21,908,797,049) | ||
전기이월결손금 | (21,908,797,049) | (28,062,096,002) | ||
당기순이익(손실) | (19,258,460,247) | 6,887,861,932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72,617,811) | (734,562,979)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처분손실 | (783,712,022) | - | ||
II. 결손금 처리액 | - | - | ||
III. 차기이월결손금 | (42,023,587,129) | (21,908,797,049)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 제 26 기 (당기) | 제 25 기 (전기) | |
---|---|---|---|
1주당 배당금 (원) | 보통주 | - | - |
현금배당금 총액 (원) | 보통주 | - | -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 형 우 | 1965.06.26 | 부 | 부 | 관계없음 | 이사회 |
김 양 옥 | 1964.12.13 | 여 | 부 | 관계없음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 형 우 | 현) 코다코 공장장/부사장 | 1987.04 ~ 현재 | 현) 코다코 공장장 / 부사장 | 없음 |
김 양 옥 | 현) 코다코 사외이사 | 2020.03 ~ 현재 2015.12 ~ 2019.12 2011.04 ~ 2015.12 | 현) 코다코 사외이사 SC제일은행 사업부장 SC제일은행 본부장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 형 우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 양 옥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김양옥 후보자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은행 재직 시 기업금융지점장, 중소중견기업부 본부장, 기업금융부 사업부장을 역임한 기업금융 전문가로서의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고, 투자자에게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독립적인 권한과 책임을 가진다는 점을 인식하고, 주주권익 향상 및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직무를 수행하겠습니다..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본 후보자는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이사회 의사결정이 합리적이고 목적에 맞게 결정될 수 있도록 주어진 사안을 충분히 이해하고 최선의 지혜를 발휘하여 의사개진과 함께 표결에 임하겠습니다.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업무집행 감시의무, 경업금지의무, 자기거래금지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이며, 특히 사외이사로서 경영 전반에서 회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자 함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이형우 후보자 당사의 주력 업종인 다이캐스팅, 기계가공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핵심경쟁력인 생산 및 품질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2. 김양옥 후보자 기업금융에 대한 다년간의 실무 경험을 통해 회사의 제반 사항 검토와 주요 의안에 대한 의사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
확인서
이형우 사내이사후보자 확인서 |
김양옥 사외이사후보자 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단위 : 명, 백만원)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2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3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37 |
최고한도액 | 1,500 |
- 공시서식 작성기준 제9장제2절의 규정에 따라 보수지급금액은 퇴임한 이사를 포함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단위 : 명, 백만원)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0 |
최고한도액 | 100 |
- 공시서식 작성기준 제9장제2절의 규정에 따라 보수지급금액은 퇴임한 감사를 포함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23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 4호에 따라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당사 홈페이지(http://www.kkodaco.co.kr) 에 주주총회 1주전까지 게재할 예정입니다.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관련 안내 사항 2. 주주총회 당일 발열 등 감염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또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주주의 경우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분들께서는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