젬백스 (082270) 공시 - [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21 11:15: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21000238


정 정 신 고 (보고)


2023년 03월 21일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 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3월 15일


3. 정정사항

항  목 정정사유  정 정 전 정 정 후
전자투표 행사 및
전자위임장 수여
실시기간
전자투표 행사 및
전자위임장 수여
실시기간 변경
2023년 03월 22일 09시 ~
2023년 03월 29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투표 가능)
2023년 03월 21일 09시 ~
2023년 03월 29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투표 가능)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3월  15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대 표 이 사 : 김상재, 송형곤
본 점 소 재 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11로 58(탑립동)

(전   화) 02-3789-5558

(홈페이지) www.gemvax.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시 원 혁

(전  화) 02-3789-555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5기 정기 주주총회)


당사는 상법 제365조와 정관 제24조 등에 의거 제25기 정기주주총회(그 속회, 연회포함)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라오며,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1. 일 시 : 2023년 03월 30일(목) 오전 9시

2. 장 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23번길 55, 호텔 ICC 2층 컨벤션홀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안건

        - 제25기(2022. 01. 01 ~ 2022.12.31)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안건 : 이사 선임의 건
        -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김상재 선임의 건
        -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김기호 선임의 건
        -  제2-3호 의안 : 사내이사 공경선 선임의 건
        -  제2-4호 의안 : 사내이사 김성열 선임의 건
        -  제2-5호 의안 : 사내이사 시원혁 선임의 건

         -  제2-6호 의안 : 사외이사 정진엽 선임의 건

     제3호 안건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안건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2019년 0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는 주주님께서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위임장 또는 전자투표를 이용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주주님들께서는 하기 "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해당 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관리시스템 인터넷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 / 전자위임장 수여 기간 : 2023년 03월 21일 09시 ~ 2023년 03월 29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투표 가능)
다. 공동인증, 카카오페이인증, 휴대폰인증 등을 통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 첨부), 대리인의 신분증 사본

7.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별도로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3년 03월 15일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대표이사 김상재, 송형곤 (직인 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봉권
(출석률:
40%)
이세열
(출석률:
92%)
찬 반 여 부
1 2022년 01월 03일 계열회사 지배구조 재편안 검토 불참 -
2 2022년 01월 12일 계열회사 경영권 이전 검토 불참 -
3 2022년 01월 13일 1. 계열회사 경영권 이전 결의
2. 보유 타법인 전환사채 양도
불참 -
4 2022년 03월 15일 1. 내부결산확정
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찬성 -
5 2022년 03월 16일 정기주주총회 소집 찬성 -
6 2022년 04월 01일 퇴직임원 공로금 지급 - 불참
7 2022년 04월 13일 자사주 취득 결정 - 찬성
8 2022년 04월 21일 자산 매도 매수 계획 결정 - 찬성
9 2022년 06월 14일 자사주취득 - 찬성
10 2022년 06월 22일 퇴직임원 공로금 지급 - 찬성
11 2022년 07월 29일 예금 및 대출 연장 - 찬성
12 2022년 08월 05일 연구지원금 출연 - 찬성
13 2022년 09월 30일 3공장 증개축 결정의 건 - 찬성
14 2022년 10월 21일 이사회운영규정,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등 - 찬성
15 2022년 11월 28일 주주간 협약 해지 - 찬성
16 2022년 11월 30일 금융기관 차입 - 찬성
17 2022년 12월 16일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기준일 결의 - 찬성
18 2022년 12월 23일 퇴직임원 공로금 등 지급 -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4,000 20 2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Coating Resin, 필터의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주목적으로 하는 영업부문과 항암백신사업 등 바이오사업에 대한 영업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환경오염제어 사업 부문 : 젬백스앤카엘>

(1) 산업의 특성 및 영업개황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분야 등에서 생산라인의 청정유지를 위한 오염제어기술은 생산수율 향상을 위해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기술분야입니다. 이중에서도 공정내 화학오염물질을 제어하는 기술은 반도체 웨이퍼 선폭의 미세화, 고집적화와 디스플레이 Pannel의 대구경화에 따라 화학오염물질로 인한 제품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관련산업의 특성은 관련제품의 고집적화 및 초미세화가 진행 될 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성장산업이며, 까다로운 요구조건과 테스트를 거쳐야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술선점에 의한 학습효과와 진입장벽이 큰 사업입니다.

환경산업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규제가 크게 강화되어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대기오염 물질은 국가 간 경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국가간 협약과 규제도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영역은 대기오염 및 사후처리 분야로서, 화학오염원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초소재를 기반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 클린룸 오염제어용 제품과 일반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 및 환경오염원을 제거하여 작업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하고 대기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관련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력제품은 반도체/디스플레이분야 오염제어용 Chemical Filter와 흡착제이며, 주력제품을 응용한 특수가스제거장치 및 대기오염방지설비와 같은 환경오염방지 및 유해가스제거장치 등을 개발 및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클린룸 도입초기에는 공정오염 제어기술은 공기 중 부유입자(Particle)만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만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제품의 대구경화와 고도의 미세화 공정에 의한 집적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밀폐 및 공기 중 부유입자만을 제어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클린룸이나 생산설비에서의 화학적 오염에 의한 웨이퍼 표면 오염과 화학적 반응에 의한 표면구조의 변화, 제품불량 등 입자 제어만으로는 관리할 수 없는 분자상 오염원을 제어해야하는 기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수요에 맞추어 흡착 및 이온교환기능을 통해 화학오염물질(Chemical Gas)로 인한 불량요인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공정의 생산수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의CA Filter(Chemical Air Filter)가 본격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CA Filter는 처음 사용 당시에는 하나의 특정한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공정에서 부분적으로 사용 되었으나, 현재는 클린룸 전체 및 다양한 산업분야로 확대되고 있을 뿐아니라 제거대상 Chemical Gas 또한 광범위하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적용공정 또한 클린룸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제거용, 외부공기를 클린룸 내부로 유입하는 과정의 오염물질을 제거용, 생산장비에 직접 설치하여 장비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제거용 등 다양한 공정에 확대 적용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관련시장 및 산업의 성장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반도체/디스플레이 클린룸 오염제어용 CA Filter의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소모품으로 지속적인 교체매출이 발생하는 특성이 있으며 신규 Fab(제조 공장) 증설 시 신규매출 발생으로 관련시장은 안정적으로 꾸준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향후에는 클린룸 내에서 제조활동이 일어나는 모든 산업분야에도 화학오염 물질로 인한 문제가 부각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광범위한 확대적용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생산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제거대상 Chemical Gas의 종류가 광범위하게 다양해지고 있어 적용 필터도 다양한 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Hybrid Type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③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우 국내업체가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어 국내시장에서의 시장우위를 기반으로 해외 관련업체에 대한 당사 제품의 수요도 계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                                                           (단위: 억달러,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매출액

3,349

3,459

4,204

4,770

4,191

4,090

5,949

6,392

6,231

(출처 : 가트너, 2022~2023은 전망치)



(3)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의 주력시장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산업임을 감안할 때 동 산업의 투자 및 경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동 산업의 투자가 활발한 시점에는 신규수요가 증대되어 대량의 신규매출이 발생하게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불량율 저감 및 생산성향상과 Fab의 유지 및 운영상 필수적으로 교체적용이 되어야 하는 제품의 특성상 계속적인 교체수요가 꾸준하게 발생이 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온실가스 및 대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화학오염물질 제거용 특수소재 및 필터의 적용시장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우 국내 주요 업체가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어, 국내시장에서의 시장우위를 기반으로 해외 관련업체에 대한 당사 제품의 수요도 계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화학오염물질 제어용 CA Filter 시장은 시장점유율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는 발표되지 않고 있어 정확한 시장점유율을 산출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CA Filter에서 당사의 기술적 우위성과 시장의 진입장벽으로 인한 학습효과 등으로 신규 접근성이 어려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당사 납품실적 및 교체물량을 근거로 추정 시 CA Filter시장은 당사가 시장을 선도하는 과점시장을 형성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일반환경산업분야의 경우 관련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는 상당히 많으나 자체 소재생산기술이나 핵심기술을 보유한 업체는 소수에 불과하며, 대부분 핵심소재를 구매하여 이를 가공하는 소규모 엔지니어링회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핵심소재 제조기술과 필터화 기술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고품질의 소재를 요구하는 수요처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최고의 대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앞으로 환경산업분야, 특히 대기오염 및 사후처리분야를 선도하여 시장다변화를 위해 노력 할 것입니다.


주요 전방시장 여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반도체/디스플레이분야

 화학오염제어용 CA Filter경우 클린룸의 화학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반도체 제조공정에 주로 납품하고 있으며, 입자상 물질(Particle)만을 Control하던 Display 제조공정에서도 화학오염물질로 인한 작업장내 환경 및 생산성에 문제가 대두되어 2005년 말부터 본격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용 CA Filter와 이를 시스템화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Fab에 확대적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해외시장에서도 2006년 중국 하이닉스 ST 공장 납품을 계기로 중국, 대만, 싱가폴 등지의 Fab에 수출 및 적용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동남아시장 진출을 기반으로 2007년 상반기에는 미주시장에도 진출을 하였습니다. 현재는 중국, 대만, 미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 다양한 고객사를 대상으로 납품을 하고 있습니다.  BOE[Display제조], SMIC[반도체제조]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YMTC[반도체 제조]에도 납품을 시작했습니다.  대만 시장은 PSMC, UMC, MICRON에 진입을 완료하였으며, 비메모리 점유율 세계 1위 업체인 TSMC에도 시험납품을 진행하였습니다. 일본의 경우 CANON MARKETING JAPAN을 통한 세계 최대 반도체 및 display 장비 제조업체인 CANON, TEL 등에 지속적인 CA Filter 납품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② 환경/특수사업부문

 전세계적 에너지 위기와 환경 문제의 대두로 각국은 교토의정서에 의거 2012년까지 CO2 배출 쿼터제, 온실가스 배출 등을 규제하고 선진국에서도 에너지절감과 환경 개선을 위한 경영시스템의 변화, 기술 및 제품 개발에 따른 환경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환경소재 및 CA Filter 기술을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당사는 보유기술을 응용한 일반환경오염제어 관련 신규 아이템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환경산업은 다른 산업과의 관계 속에서 동반 성장하는 산업으로 큰 시장 잠재력이 있는 산업입니다. 이에 당사는 매출비중을 환경산업으로 확대하겠다는 장기계획에 따라 일반 환경 유해가스 제거 관련제품 개발을 꾸준히 연구하는 한편, 개발 제품에 대한 경제성 및 시장성에 따라 점진적인 시장확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당사는 지속적 연구개발을 통하여 특수소재(Coating Resin)의 개발과 CA Filter의 국산화로 CA Filter의 확대보급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CA Filter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산업 전반에 걸쳐 당사의 기술력 및 경쟁우위로 당사가 관련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당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약 60%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이 확대에 따라 잠재적인 경쟁업체의 출현 가능성에 대비하여 현재 자체 부설연구소를 통해 핵심소재 개발 및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장점을 살려 연구기관이나 대학 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신소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납품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공정개선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제품 업그레이드 및 원가 경쟁력을 강화해 잠재적인 경쟁업체 출현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 바이오 사업 부문: 젬백스앤카엘, TELOID Inc. 등>

1)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 (젬백스앤카엘)

① 개요
당사는 인간 텔로머라제에서 유래한 16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신약물질 GV1001 등 펩타이드약물의 신약개발을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펩타이드 신약물질 GV1001의 췌장암, 전립선비대증,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내외 2상, 3상 임상시험을 완료 및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젬백스앤카엘 연구팀과 국내외 대학기관 연구팀은 항염,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기능 등 GV1001의 다양한 효능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펩타이드 약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② 주요 파이프라인별 개발 현황

[췌장암]
일반적으로 세포의 분열 횟수가 많아질수록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져 세포는 사멸하게 됩니다. 하지만 텔로미어의 길이를 연장하고 유지해 주는 텔로머라제는 암세포가 노화로 사멸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세포 분열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텔로머라제는 대다수의 암세포에서 과다 발현되는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GV1001은 암세포에 과발현되는 텔로머라제를 타겟으로 하는 펩타이드 면역항암제로서, 텔로머라제의 촉매 작용 부위의 단편인 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세포독성T세포와 기억T세포 등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텔로머라제를 과다 발현하는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면역 항암제이며, 텔로머라제는 보편적으로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되므로 기타 암종으로 적응증 확대가 용이합니다. 약 1,600명 이상의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기 수행된 임상시험에서 GV1001을 투여한 결과 나타난 부작용 및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미하였으며, 안전성이 입증된 면역 항암 치료제입니다.

1,062명을 대상으로 영국 로얄 리버풀 브로드그린 대학병원 NHS Trust를 포함한 총52개 기관에서 진행한 췌장암3상 임상시험 텔로백 (Telovac)은 국소 진행성 및 전이성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젬시타빈과 카페시타빈 병용 치료법과 함께 GV1001을 동시 및 순차적으로 투여하여 비교하는 시험으로 2013년에 시험을 완료하였습니다. 임상시험 결과, 표준치료법으로 사용되는 젬시타빈과 카페시타빈 화학요법과 비교시 전체 생존율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인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subgroup analysis를 통해 높은 혈중 이오탁신(eotaxin) 수치를 가진 환자들에 GV1001을 젬시타빈 및 카페시타빈과 병용 투여 시 현저한 생존기간 향상을 확인하였고, 혈중 이오탁신 수치와 췌장암 환자 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결과를2014년 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이오탁신 수치가 높은 환자군에서14.8개월까지의 생존기간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GV1001는 2014년 9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Eotaxin 농도가 81.02pg/mL을 초과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췌장암 환자에게 화학요법과 병용하여 투여하는 것을 요건으로 국내 21번째 신약으로 조건부 품목허가(제품명 리아백스주)를 승인 받았습니다.

당사는 2015년 삼성제약㈜과 리아백스주의 의약품 국내 품목허가 및 제조, 공급 판매권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삼성제약㈜에서 2015년 11월 환자처방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시판과 함께 국내 16개 대학병원에서 3상 임상시험을 동시에 진행하였습니다. 2020년 12월 28일 해당 임상시험의 결과 보고서(CSR; Clinical Study Report)를 수령하였으며,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해당 임상시험의 결과는 2021년 06월 04일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습니다.

다만, 보고서 제출일 현재 리아백스주의 조건부 허가는 만료되었으며, 삼성제약㈜에서 3상 임상시험의 결과보고서 및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정식 허가를 득하기 위하여 준비 중에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

GV1001을 이용한 다양한 관련 기전 연구를 통해 GV1001이 항염증 작용과 세포의 사멸 및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 및 동물실험을 수행한 결과, 알츠하이머병의 유발 단백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 베타와 타우 단백질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 및 손상을 GV1001이 회복시켜,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인지·행동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in vitro 연구를 통해 GV1001은 (1)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유도되는 뇌세포 사멸을 저해하고, (2)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3) 아밀로이드 베타 노출에 의한 신경줄기세포의 증식 능력의 손상을 보호함을 밝혀냈습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알츠하이머병의 동물모델에서 GV1001의 효력 평가를 진행하였습니다. (관련 논문: Park HH et al., Neurobiology of Aging. 2014, 35(6): 1255-1274. Park HH et al., Neurotoxicology. 2016, 55: 131-141.)


알츠하이머병의 동물 모델에서 GV1001은 (1) 알츠하이머병의 병인의 하나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주며, (2) 타우 단백질의 비이상적인 변화로 인한 neurofibrillary tangle (NFT)의 형성을 막아주며 (3) 성상교세포 (astrocyte)의 활성화에 따른 astrogliosis를 저해함과 동시에, (4) 신경세포 재생 (neurogenesis)를 촉진하였습니다.


이러한 in vivo 결과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 GV1001을 투여 시, 아밀로이드 베타의 양을 감소시키며, 타우에 의한 neurofibrillary tangle의 생성을 저해시켜 뇌세포 독성 및 성상교세포의 활성화를 감소시켜줄 뿐 아니라, GV1001에 의해 신경세포 재생을 더 활발하게 함으로써, 뇌기능의 회복 및 재활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제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6년 12월 중증도에서 중증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중 콜린성 신경계 조절 약물인 도네페질을 3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복용한 환자에서 GV1001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국내2상 임상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고, 2017년 8월 본격적인 2상 임상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2019년 12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된 알츠하이머 임상시험 콘퍼런스(CTAD; Clinical trials of Alzheimer's Disease)에서 임상시험 1차 평가변수인 SIB (Severe Impairment Battery) 점수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발표하였으며, 2020년 07월 18일 임상시험의 최종 결과보고서 (CSR; Clinical Study Report)를 수령하였습니다. 

 

2020년 11월 14일 대한치매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2상 임상시험의 결과를 성공적으로 발표하였으며, 관련 논문이 지난 3월 SCI급 국제학술지인 ‘알츠하이머 연구 및 치료(Alzheimer's Research & Therapy)’에 게재되었습니다. 또한 2021년 01월 27일 국내 3상 임상시험계획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하였으나, 시험대상자 수 및 산정근거, 공동 일차 유효성 평가변수에 대한 보완 자료 미비 등의 사유로 반려되었습니다. 2021년 06월 24일 해당 내용을 보완하여 국내 3상 임상시험계획서를 제출하였고, 2022년 01월 14일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서 GV1001의 국내 제3상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취득하였으며, 현재 임상시험 개시를 위하여 준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9년 05월 미국 FDA로부터 GV1001의 중등도의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2상 임상시험계획을 승인 받았습니다. 2021년 12월에는 해당 임상의 대상 적응증을 중등도에서 경증 알츠하이머병 환자까지 확대하는 내용을 미국 FDA로부터 승인 받았으며, 2022년 10월에는 첫 환자 등록을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해당 2상 임상시험 프로토콜(임상시험계획서)을 적용해 유럽 7개국(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네덜란드, 폴란드, 핀란드 등)에서도 동시에 임상시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 10월에 스페인, 폴란드, 12월에 네덜란드 등에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습니다.

향후 임상시험이 유럽에서 확대 진행됨에 따라 총 180명 규모 임상시험은 미국에서 77명, 유럽에서 108명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진행성 핵상마비]
당사는 2023년 03월 0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진행성핵상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이하 PSP) 치료제 GV1001의 국내 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아 임상시험 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PSP는 비전형 파킨슨 증후군으로 파킨슨 형태 중 가장 심각한 질환으로, 병의 진행속도가 빠르고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습니다. 주된 증상으로 보행장애 및 자세불안정성, 인지저하, 안구운동장애, 수면 장애 등입니다. 환자들은 목의 근육이 경직되어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이 어렵고, 쉽게 잘 넘어지기도 하는 증상을 보입니다. 발병 원인은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으나 타우 단백질 손상으로 인해 뇌 신경세포에 염증이 생기고 신경세포 사멸이 나타나는 등 전형적 신경퇴행성질환인 알츠하이머병과 병태생리학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사는 GV1001이 PSP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보고 전임상을 진행했습니다. 동물실험 결과, GV1001은 운동능력과 공간인지 능력 회복, 타우 단백질 손상 억제 등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효능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2상 임상시험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운영 관리하는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을 비롯하여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경희대학교병원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전립선 비대증]
당사는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GV1001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단일 눈가림, 평행설계, 다기관으로 실시한 국내 2상 임상시험을 2015년 8월 시작하여, 1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습니다. 전립선비대증 환자의 개선 정도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IPSS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3개의 모든 시험군에서 매 평가시점에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베이스라인 대비 30% 이상의 개선 정도를 보였습니다. 또한, GV1001을 투여한 환자군에서의 전반적인 내약성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그 외 전립선 용적, 최대요속, 잔뇨량의 변화량 등 모든 시험군에서 전반적으로 명백한 개선이 관찰되었고, 안전성 결과를 통해 GV1001은 위약만큼 안전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2019년4월에는 전립선비대증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3상 시험계획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아 현재 전국 22개 병원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1년 09월 30일 목표 한 환자수 422명의 모집을 마무리하였습니다.  2022년 03월 17일 마지막 환자 투약이 종료되었으며, 최종임상시험보고서 작성을 위한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 등 임상시험 후반작업을 진행 중 입니다.

 

2) 감염성 백신 사업 (TELOID Inc.)

① 사업의 주요특성

  당사의 미국의 자회사인 TELOID Inc.를 통해 인플루엔자 백신 및 말라리아, HIV, 간염, HPV 백신 등 감염성 질환 백신 기술을 보유 및 개발하고 있습니다.


② 진행상황 및 향후 계획

HIV 임상시험은 미국 NIH (국립보건원) 산하 기관인 미국 국립 알레르기 & 전염병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의 지원을 받아 1상 임상시험을 실시하였습니다. 말라리아 백신의 경우 NIH의 지원하에 미국 Emory 대학에서 Ichore사의 electroporation 기술 (전기천공법, 세포 내에 대한 유전자 도입법의 하나. 세포에 전기장을 가하여 막의 투과성을 증가하고 DNA를 세포 내에 도입하는 방법)을 도입하여 1상 임상시험을 실시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당사는 백신 디자인 기술인 PADRE (백신과 결합하여 백신의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목적 면역 자극성 펩타이드)와 EIS 기술(종양과 결합한 항원이나 감염된 항원의 유전정보로부터 특정 항원 Epitope를 규명하고 검증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TELOID Inc.는 HIV 백신 1상 임상시험 완료 외에도 말라리아 백신 1상 임상시험 완료, 자궁 경부암을 유발하는 인유두종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전임상 연구 완료 등 연구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및 유럽을 포함한 다수 국가에 면역백신관련 등록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출원 또는 등록한 기술의 라이센스 아웃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TELOID Inc.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치료용 백신 개발 기술 및 시장동향에도 언급될 만큼 그 보유기술이 유망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환경오염제어 사업 부문과 바이오 사업 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영업부문에 대한 상세한 시장 상황 및 내용은 상기 '업계의 현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연결실체의 매출은 환경오염제어 사업과  바이오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다만 바이오 사업 부문은 매출, 이익 등 등의 기준 미달하므로 관리목적상 별도의 보고부문을 구성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지속적 연구개발을 통하여 특수소재(Coating Resin)의 개발과 CA Filter의 국산화로 CA Filter의 확대보급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CA Filter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산업 전반에 걸쳐 당사의 기술력 및 경쟁우위로 당사가 관련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당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약 60%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이 확대에 따라 잠재적인 경쟁업체의 출현 가능성에 대비하여 현재 자체 부설연구소를 통해 핵심소재 개발 및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장점을 살려 연구기관이나 대학 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신소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납품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공정개선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제품 업그레이드 및 원가 경쟁력을 강화해 잠재적인 경쟁업체 출현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상기 '업계의 현황' 참조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상기 '업계의 현황' 참조



(5) 조직도

젬백스 조직도_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 연결실체의 매출은 환경오염제어 사업과  바이오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다만 바이오 사업 부문은 매출, 이익 등 등의 기준 미달하므로 관리목적상 별도의 보고부문을 구성하고 있지는 않으며, 매출액은 대부분 환경오염제어 사업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2년 매출액은 758억원으로 2021년의 603억원 대비 26% 증가하여 역대 최고 매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2017년~2019년 매출액이 400억원대 매출액을 유지하였던 기존 매출액 대비, 2020년~2022년 3년간 꾸준히 600억원 이상 매출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매출이익률 소폭 감소, 바이오 사업부 R&D 비용 지출 증가로 인한 판관비 증가 등으로 인하여 3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지분법 손실, 전환사채 등 금융자산 및 부채의 평가 손실 등으로 인하여 당기순손실은 189억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2년말 현재 현금 및 단기금융상품 195억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부채비율은 12%로 건전한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이며, 향후 회계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변동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1. 연결재무제표
 - 연결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25 기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4 기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25 기 제 24 기
자    산



Ⅰ.유동자산
60,136,300,936
52,612,382,952
  현금및현금성자산 15,798,355,630
18,717,612,816
  단기금융상품 3,700,000,000
3,700,000,000
  매출채권 3,842,836,692
6,822,329,142
  기타수취채권 792,404,638
2,186,819,005
  기타유동자산 1,851,342,694
602,789,215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3,313,781,020
13,080,833,853
  재고자산 10,837,580,262
7,501,998,921
Ⅱ.비유동자산
91,721,163,580
119,725,947,107
    기타수취채권 837,012,291
735,596,035
  기타비유동자산 72,000,000
72,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618,197,497
7,471,633,048
  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 44,409,210,795
75,634,556,814
  유형자산 31,358,859,440
24,884,773,835
  무형자산 8,202,726,287
7,366,781,958
  투자부동산 2,102,196,800
2,102,196,800
      사용권자산 1,120,960,470
1,458,408,617
자 산 총 계
151,857,464,516
172,338,330,059
부    채



Ⅰ.유동부채
15,824,358,744
16,139,965,989
  매입채무 1,491,230,582
2,508,823,354
  기타지급채무 6,801,573,690
5,796,386,832
  기타유동부채 90,455,765
97,049,206
  단기차입금 4,501,000,000
3,500,000,000
  전환사채 1,605,198,434
1,801,459,79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252,808,500
1,472,923,500
      리스부채 566,867,508
627,090,921
      충당부채 401,334,851
336,232,385
      계약부채 113,889,414
-
Ⅱ.비유동부채
967,252,043
2,211,972,271
      장기차입금 -
1,000,000
      기타지급채무 140,088,096
96,667,425
      기타비유동부채 149,566,771
151,079,992
    순확정급여부채 163,408,899
1,147,277,098
      리스부채 514,188,277
815,947,756
부 채 총 계
16,791,610,787
18,351,938,260
자    본



Ⅰ.자본금
19,928,978,000
19,906,431,500
Ⅱ.자본잉여금
185,986,133,814
185,372,420,910
Ⅲ.기타자본구성요소
(5,714,731,568)
(4,639,171,144)
IV.이익잉여금(결손금)
(65,134,526,517)
(46,653,289,467)
자 본 총 계
135,065,853,729
153,986,391,799
부 채 및 자 본 총 계
151,857,464,516
172,338,330,059
"별첨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5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25 기 제 24기
Ⅰ.매출 75,804,115,614 60,370,607,820
Ⅱ.매출원가 (53,942,891,972) (41,489,783,376)
Ⅲ.매출총이익 21,861,223,642 18,880,824,444
  1.판매비와관리비 (25,806,644,343) (22,509,183,851)
Ⅳ.영업이익(손실) (3,945,420,701) (3,628,359,407)
 1.기타수익 207,754,563 279,695,191
 2.기타비용 (1,162,025,307) (151,244,868)
 3.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손익 (6,289,111,664) 11,718,666,422
 4.금융수익 2,725,071,645 5,734,481,188
 5.금융원가 (10,425,264,708) (1,895,348,569)
Ⅴ.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8,888,996,172) 12,057,889,957
 1.법인세비용 - -
Ⅵ.당기순이익(손실) (18,888,996,172) 12,057,889,957
Ⅶ.기타포괄손익 6,073,163,627 484,979,273
 1.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1,017,019,803 306,544,784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624,875,734 595,403,437
  관계기업의 재측정요소 182,731,987 28,932,709
  관계기업 자본변동 209,412,082 (317,791,362)
 2.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5,056,143,824 178,434,489
  해외사업장환산 외환차이 80,222,229 145,737,990
  관계기업 자본변동 4,975,921,595 32,696,499
Ⅷ.총포괄손익 (12,815,832,545) 12,542,869,230
Ⅸ.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계속사업손익 소유주지분 (18,888,996,172) 12,057,889,957
Ⅹ. 총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12,815,832,545) 12,542,869,230
ⅩⅠ. 주당손익

 기본주당이익(손실) (479) 304
 희석주당이익(손실) (497) 280

나-2. 별도재무제표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5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4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단위 : 원)
과         목 제 25 기 제 24 기
자    산



유동자산
60,003,046,419
51,685,940,404
  현금및현금성자산 15,665,101,113
17,791,170,268
  단기금융상품 3,700,000,000
3,700,000,000
  매출채권 3,842,836,692
6,822,329,142
  기타수취채권 792,404,638
2,186,819,005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3,313,781,020
13,080,833,853
  기타유동자산 1,851,342,694
602,789,215
  재고자산 10,837,580,262
7,501,998,921
비유동자산
92,334,137,322
130,716,692,797
    기타수취채권 835,301,436
733,995,610
  기타비유동자산 72,000,000
72,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618,197,497
7,471,633,048
  종속및관계기업투자 45,023,895,392
86,626,902,929
  유형자산 31,358,859,440
24,884,773,835
  무형자산 8,202,726,287
7,366,781,958
  투자부동산 2,102,196,800
2,102,196,800
      사용권자산 1,120,960,470
1,458,408,617
 자 산 총 계
152,337,183,741
182,402,633,201
부    채



유동부채
15,818,478,523
16,133,294,694
  매입채무 1,491,230,582
2,508,823,354
  기타지급채무 6,796,252,424
5,789,715,537
  기타유동부채 89,896,810
97,049,206
  단기차입금 4,501,000,000
3,500,000,000
  전환사채 1,605,198,434
1,801,459,79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252,808,500
1,472,923,500
      리스부채 566,867,508
627,090,921
      충당부채 401,334,851
336,232,385
      계약부채 113,889,414
-
비유동부채
967,252,043
2,211,972,271
      장기차입금 -
1,000,000
      기타지급채무 140,088,096
96,667,425
      기타비유동부채 149,566,771
151,079,992
  순확정급여부채 163,408,899
1,147,277,098
      리스부채 514,188,277
815,947,756
 부 채 총 계
16,785,730,566
18,345,266,965
자    본



      자본금
19,928,978,000
19,906,431,500
      자본잉여금
134,083,103,241
133,469,390,337
      기타자본구성요소
(8,196,195,856)
(1,855,079,526)
      이익잉여금(결손금)
(10,264,432,210)
12,536,623,925
 자 본 총 계
135,551,453,175
164,057,366,236
부 채 및 자 본 총 계
152,337,183,741
182,402,633,201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5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단위 : 원)
과         목 제 25 기 제 24 기
매출 75,804,115,614 60,370,607,820
매출원가 (53,942,891,972) (41,489,783,376)
매출총이익 21,861,223,642 18,880,824,444
판매비와관리비 (24,933,454,923) (21,100,061,608)
영업이익(손실) (3,072,231,281) (2,219,237,164)
 1.기타수익 600,029,811 278,997,678
 2.기타비용 (1,162,025,307) (151,244,868)
 3.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손익 (12,091,413,957) 6,782,281,086
 4.금융수익 2,724,973,573 5,734,061,861
 5.금융원가 (10,425,264,708) (1,895,348,569)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23,425,931,869) 8,529,510,024
법인세비용 - -
당기순이익(손실) (23,425,931,869) 8,529,510,024
기타포괄손익 624,875,734 595,403,437
 1.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624,875,734 595,403,437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624,875,734 595,403,437
총포괄손익 (22,801,056,135) 9,124,913,461
주당손익

 기본주당이익(손실) (594) 215
 희석주당이익(손실) (612) 191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단위: 천원)
과   목 당기 전기
(처분예정일:2023년 03월 30일) (처분확정일:2022년 03월 31일)
I. 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분결손금)
(10,510,804)
12,290,252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12,290,252
3,165,339
 2. 보험수리적이익(손실) 624,876
595,403
 3. 당기순이익(손실) (23,425,932)
8,529,510
II. 이익잉여(결손)금이입액 -
-
III. 이익잉여(결손)금처분액 -
-
Ⅳ.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10,510,804)
12,290,252



 - 최근 2사업연도 중 배당 내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상재 1966-12-05 - - 대표이사 이사회
김기호 1967-01-23 - - 계열회사 임원 이사회
공경선 1968-02-20 - - 계열회사 임직원 이사회
김성열 1975-05-25 - - 계열회사 임직원 이사회
시원혁 1975-12-24 - - 계열회사 임직원 이사회
정진엽 1955-03-10 사외이사 - -
총 6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상재 경영인/
의학박사
1992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해당사항
없음
2012 한양대학교 의학과 생리학전공 박사
2012~현재 젬백스앤카엘 대표이사
2017~현재 젬백스링크 대표이사
2015~현재 삼성제약 대표이사
김기호 경영인 1989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해당사항
없음
2000 Case Westerm Reserve University MBA 졸
2017~현재 삼성제약 대표이사
2019~현재 젬백스앤카엘 사장
공경선 경영인 1990 연세대학교 간호학과 졸업 해당사항
없음
1995~2000 삼성의료원 암센터 연구간호사
2000~2003 국제백신기구 과장
2003~2009 한국와이어스 이사
2011~2012 크리스탈제노믹스 이사
2012~2015 파렉셀 이사
2015~2019 유한양행 임상개발이사
2019~2022 드림씨아이에스 대표이사
2022~현재 젬백스앤카엘 부사장
김성열 젬백스앤카엘
상무
1998 대전산업대 졸업 해당사항
없음
2000~현재 젬백스앤카엘 상무
시원혁 젬백스앤카엘
미등기 이사
2002 국민대학교 졸업 해당사항
없음
2014~현재 젬백스앤카엘 이사 (미등기)
정진엽 의학박사/
전 보건복지부 장관

서울대학교 의학박사 해당사항
없음
2005-202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008~2013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원장
2015~2017 보건복지부 장관
2018~2022 학교법인 이화학당 이사
2020~현재 인당 의료재단 부민의료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상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김기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공경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김성열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시원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정진엽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자 정진엽]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의료인으로 쌓아온 전문적 지식을 바탕 및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며 축적한 다양한 식견을 바탕으로 회사의 의사결정이 최선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주어진 직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직을 수행함에 있어 최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투명하고 독립적으로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을 하고자 함

 

3. 회사의 이익 보호

본 후보자는 경영진이나 특정 주주의 이익이 아닌 회사 전체의 이익을 보호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것임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임.특히 정도 경영과 투명 경영의 원칙을 준수할 것임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내후보 후보자 김상재]
김상재 사내이사 후보자는 의학박사이자 당사의 대표이사로서 당사가 진행중인 GV1001 신약개발 및 경영 전반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겸비하여, 당사의 사업현안에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하여 연임을 추천함.

[사내후보 후보자 김기호]
김기호 사내이사 후보자는 계열회사의 대표이사 및 당사 재무 및 관리 업무를 다년간 역임하며 경험과 지식을 갖춘 전문경영인으로서, 회사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경영 및 관리의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하여 이사직에 추천함.

[사내후보 후보자 공경선]
공경선 사내이사 후보자는 임상시험 관련 의료업계 경험부터 다양한 바이오기업 임상시험 담당 및 CRO 직무 경험 등 풍부한 경험 및 지식을 겸비한 임상시험 전문가로서 당사의 신약개발 등 사업 진행에 전문적인 의사결정을 할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하여 이사직에 추천함.

[사내이사 후보자 김성열]
김성열 사내이사 후보자는 당사 환경오염제어 사업부에서 다년간 종사하여 해당 사업분야 및 당사에 대한 높은 이해도 및 경험을 갖추고 있어, 당사 환경오염제어 사업부 등 당사 제조업 전반에서 전문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하여 이사직에 추천함.

[사내이사 후보자 시원혁]
시원혁 사내이사 후보자는 경영기획 및 IR 등 상장기업 관리업무에 다양한 경험 및 지식을 갖추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본시장과 기업공시에 높은 이해도를 겸비하고 있어 당사의 경영관리 및 주요 의사결정에 적합한 후보자라 판단하여 이사직에 추천함.

[사외이사 후보자 정진엽]
정진엽 사외이사 후보자는 의학박사로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및 분당서울대학교병원장으로 재직하며 의학 및 의료기관 운영 등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전문가이자, 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서 의료보건 행정 분야에도 탁월한 식견을 겸비하여 당사의 신약개발 사업 등 관련 의사결정에 큰 도움을 줄 전문가라 판단하여 이사직에 추찬함.


확인서

s30c-0i23031514500


s30c-0i23031514280_0002


s30c-0i23031514280_0003

s30c-0i23031514280_0005


s30c-0i23031514280_0004

s30c-0i23031514280_0006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2023년도)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7 (2)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4,000 백만원


(2022년도)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772 백만원
최고한도액 4,000 백만원

* 상기 지급된 보수총액은 퇴임한 이사의 보수가 포함된 금액임.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2023년)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2022년)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4 백만원
최고한도액 10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2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 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www.gemvax.com)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향후 사업보고서는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내용이 변경되거나, 정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따른 당사의 대응 안내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발열 등이 의심되는 경우, 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분들께서는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로서 추후 감사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 참여 여부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국내 및 해외 종속회사가 포함된 연결결산 일정준수 및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준비를 위해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활용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이에,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직접 참여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관리시스템 인터넷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 전자투표 행사 / 전자위임장 수여 기간 : 2023년 03월 21일 09시 ~ 2023년 03월 29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투표 가능)
- 공동인증, 카카오페이인증, 휴대폰인증 등을 통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21000238

젬백스 (08227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