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월드 (08468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9 14:3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329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3월     9일


회   사   명 : (주)이월드
대 표 이 사 : 방병순, 이수원
본 점 소 재 지 : 대구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00(두류동)

(전   화)053)620-0001

(홈페이지)http://www.eworld.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이사 (성  명)박위근

(전  화)053-620-000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8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가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16조 규정에 의거 제1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4일 (금) 오전 10시

2. 장  소 : 대구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00(두류동) 이월드 83타워 3층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4)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8기(2022.1.1~2022.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1명)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등 비치 및 공시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의 본점, 하나은행증권대행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 및 공시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하나은행증권대행부(명의개서 대행회사(대리인))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본인이 참석하는 경우에는 본인의 신분증을 지참해 주시고 대리인이 주주총회에 참석하는 경우 주주 본인의 정당한 위임을 득하였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도록 반드시 주주본인과 대리인의 인적사항 및 총회 안건별 찬반 여부를 표시한 위임장을 작성한 후 주주본인의 인감을 날인하고 인감증명서를 첨부한 위임장과 대리인의 신분증을 지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당사는 상법 제363조(소집,통지공고) 및 당사 정관 제4조(공고방법), 제18조(소집통지 및 공고)에 의거하여 이번 주주총회의 소집통지 및 공고는 당사의 홈페이지,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별도로 지급하지 않으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3월  9일




                                        주식회사 이 월 드

                                        대표이사 방 병 순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순복
(출석률: 80%)
성중탁
(출석률: 66%)
찬 반 여 부 찬 반 여 부
1 2022.01.28 1. 이사회운영규정 제정의 건
2. 감사규정 제정의 건
3. 2022년 테마파크사업부 안전보건관리계획 승인의 건
4. 2021년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결과 보고 승인의 건
5. 2021년 사업년도 재무제표(안) 승인의 건
찬성 -
2 2022.03.10 1. 2021 사업년도 재무제표(안) 정정 승인의 건
2.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3. 정기주주총회 부의안건 확정의 건
4. 제17기 재무제표 승인 위임의 건
5.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6.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대출 160억원 대환의 건
7.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대출 50억원 기한연장의 건
8. 2021년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 평가 결과 보고의 건
찬성 -
3 2022.04.27 신규사업 투자의 건 찬성 찬성
4 2022.07.20 1.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 150억 대환의 건
2. 이랜드월드 350억원 차입 연장의 건
불참 찬성
5 2022.09.28 1. 이사회운영규정 개정의 건
2.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 기한연장 및 대환의 건
찬성 불참

※ 당기중 2022. 03. 25 주주총회에서 새로 이사로 선임된 성중탁 사외이사의 경우 선임일 이후의 이사회에 대하여 출석률을 산정하였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000,000,000
(사내이사 포함 총 승인 금액)
47,810,771 23,905,386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 전원의 보수한도 승인금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자금차입 ㈜이랜드월드
(최상위지배기업)
2022.08.17  ~ 2024.08.17 35,000 27.83

※ 상기 비율은 2021년 회사의 개별 재무제표 기준 매출총액(125,778백만원)에 대한 백분율입니다.
※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자료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이랜드월드
(최상위지배기업)
자금차입 22.08.17~
24.08.17
35,000 27.83
 합      계 - 35,000 27.83

※ 상기 비율은 2021년 회사의 개별 재무제표 기준 매출총액(125,778백만원)에 대한 백분율입니다.
※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자료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변동될 수 있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회사는 테마파크부문, 쥬얼리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문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테마파크부문]
(1) 산업의 특성
테마파크산업의 경우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테마파크의 사업적 특성으로는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과 소프트웨어 부문 이용주기의 단명, 입지선정의 중요성, 높은 비중의 인건비, 입장객 체류시간과 소비단가의 비례, 이용자 수 예측의 어려움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첫째, 테마파크의 건설에는 막대한 초기 투자비용이 소요된다. 테마파크의 효과적인 주제 표현을 위해서는 대규모로 조성되고, 인력과 시설도 대규모로 투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장 이후에도 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추가 시설 도입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투자금액의 회수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므로 대기업 중심으로 편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둘째, 테마파크는 소프트웨어 부문의 이용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편입니다. 테마파크의 영업에서 하드웨어적인 시설투자 비중이 크지만 소프트웨어 부문의 진부함이 예상보다 빠르기 때문에 단기간의 감가상각을 감안해야 합니다.  

   셋째, 테마파크는 지역 산업적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투자자가 테마파크를 계획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바로 적정 입지이며, 배후시장의 규모가 사업의 타당성을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테마파크의 입지에 따라 테마의 설정, 운영, 마케팅 방법 등이 달라지므로 입지지역과 관련이 있는 지역 산업적 성격을 가지게 됩니다.  

   넷째, 테마파크는 노동집약형 산업으로 인건비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은 비용과 대규모의 시설 투자가 이루어지면, 노동력이 줄어드는 데 비하여 테마파크는 더욱 많은 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서비스가 중시되는 사회변화와 테마파크의 독특한 정감 표현에 사람의 힘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테마파크에서는 인력의 교육훈련 등을 위한 투자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섯째, 테마파크는 대규모의 장치산업적 특성으로 넓은 토지 위에 일정한 테마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설이 설치되어야 합니다. 예컨대 주제물에 맞는 건축물과 Attraction시설, 주차장 등의 고객 편의시설, 폐기물 처리등의 시설들이 필요하며,이러한 시설이 모여 대규모의 주제표현을 위한 장치가 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테마파크 산업은 성숙기에 진입하여 최근 저성장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산업의저성장은 1) 테마의 한정성, 2) 중/고등학생 이하 자녀를 보유한 주요 고객군(25~54세의 가장)의 절대수 감소, 3) 체험 및 교육 등 다양성에 기반을 둔 중소형 지역축제로의 수요 분산 등에 기인합니다. 더불어 최근 대형 복합쇼핑몰 등 대체재의 지속적 증가 및 미세먼지로 인한 외부활동 자제 등의 영향으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산업의 저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가족 중심의테마파크화, 독특한 테마중심의 중소형화, 최첨단 기술과의 결합 등 최근 산업 트렌드 변화가 테마파크의 성장성을 회복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테마파크 산업은 산업의 특성상 필수적인 소비보다는 소비자의 의사에 따라 그 소비 여부 및 규모가 결정되는 수의적인 소비로서 개인 구매력 및 소비성향에 민감한 영향을받고 있습니다. 이는 실질가계경제의 침체가 나타날 경우 테마파크 산업의 성장세가 둔화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테마파크 산업은 계절적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국내 테마파크 업체들의 월별 입장객수는 가정의 달인 5월, 여름방학철인 7~8월,행락철인 10월의 입장객 비중이 가장 높은 편이며 추워지기 시작하는 11월부터 2월에는 입장객 비중이 가장 낮은 특성을 보입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가) 경쟁상황
국내 테마파크 시장은 상위 업체가 과점하고 있는 형태로 경쟁구도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테마파크는 초기투자가 막대하고 개장 후에도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추가적인 시설도입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설비의 개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추가비용 증가 등은 개장 후 경영수지를 악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입니다. 이같이 테마파크 사업은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기 때문에 자금동원력이 뛰어난 대기업이 아니면 운영하기 어려운 사업으로 신규 사업자의 시장 진입이 어려운 편입니다.

(나) 경쟁 요인
테마파크의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입장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해야 하며이를 위해서는 타 테마파크 대비 입지, 규모, 가격, 놀이기구 및 기타 엔터테인먼트 수준, 서비스, 안전성, 식음료 등 여러 가지 경쟁요소가 종합적으로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집객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신규놀이기구(어트랙션) 도입이 필수적입니다.


[쥬얼리부문]


(1) 산업의 특성

쥬얼리 산업은 사치품의 성격을 가지며 그에 따라 경기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발달에 따라 쥬얼리 산업도 지속적으로 성장하였으며, 디자인 및 브랜드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전통적인 제조중심의 개인귀금속시장에서 2000년대 이후 다양한 규모와 유통형태를 가진 브랜드 쥬얼리시장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쥬얼리 산업은 주로 여성을 타겟으로 하며 개인의 다양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과 브랜드 이미지가 중시되므로 많은 기업은 높은 브랜드 충성도를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개성의 브랜드를 생산하고, 광고를 통해 소비자에게 접근함으로써 브랜드 고유의 정체성과 가치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쥬얼리 시장 규모는 2013년 4조 9,622억원에서 2017년 6조 2,237억원으로 연평균 6.3%씩 성장했습니다. 동기간 평균 GDP성장률이 4.9%였음을 감안할 경우 쥬얼리 산업이 타 산업군에 비하여 높은 성장을 해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결혼의 감소로 인하여 예물시장의 규모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비예물시장의 성장이 쥬얼리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시계 / 쥬얼리 복종은 계절적 요인에 따른 성수기/비수기 영향이 적으며, 혹서기 및 혹한기의 쇼핑 유동인구 변화에 영향을 받습니다

시계 / 쥬얼리는 사치품의 성격으로 비목적구매(충동구매) 비중이 높고, 목적구매의 경우 계절적 요인에 따른 목적구매 보다는 선물TPO등의 요인에 따른 목적구매의 비중이 더 높은 편입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세계 쥬얼리 시장 규모는 2011년 1,641억 달러에서 2016년 2,073억 달러로 연평균 5.1%씩 성장했습니다. 세계 쥬얼리 시장의 Keyplayer로는 Tiffany&Co., Cartier, LVMH, Swarovski 등이 있고 전세계 10대 쥬얼리브랜드는 전세계매출의 12%를 차지합니다. 쥬얼리 시장은 유행에 민감하고 역동적인 시장으로 지역별 유행과 개성의 반영이 중요해 소수의 세계적인 브랜드가 아닌 국가별 유명브랜드 및 중소규모의 기업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세계 쥬얼리 시장규모는 2014년 이후 성장세가 주춤하였으나 Statista등에 따르면 2021년 까지 북미는 2%, 유럽은 0.2%, 중국은 17년대비 18년 3%의 성장이 전망되고있습니다. 세계경제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개선에 따라 자신의 개성과 다양함을 표현하기 위한 욕구가 커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쥬얼리 산업은 점차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쥬얼리 산업의 주요 Keyplayer는 스타럭스(판도라,아가타,시계편집샵(구찌포함) 등) / 이월드(로이드, 그레이스, 오에스티, 클루) / 우림에프엠지 (스톤헨지,로즈몽,갤러리어클락(시계편집샵) 등) / 제이에스티나(쥬얼리,시계,가방,화장품) / 골든듀 / 스와로브스키코리아 등 (매출규모순서) 이며, 시장규모는 공시실적을 바탕으로 6조시장 가운데, 럭셔리시장 2조(명품,하이엔드), 브랜드시장 1조(백화점,가두점 브랜드) 수준으로 추정 됩니다.

한국갤럽이 20~30대 여성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쥬얼리 및 시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채널은 매장 32.0%, 온라인 29.5%, 지인 23.8%, 기타(잡지,신문,TV광고등) 14.7% 등으로 온라인은 쥬얼리 정보 획득의 주요 채널입니다. 특히쥬얼리 시장의 주요 고객인 20대 여성들의 쥬얼리 정보 획득 채널이 온라인인 것을 감안하면, 온라인 쥬얼리 시장이 점차 확대 될 것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공시대상 사업부문

주요사업 내용
테마파크부문 유원지 및 테마파크
쥬얼리부문 쥬얼리 및 패션잡화의 제조 및 판매


[테마파크부문]

테마파크사업부는 1995년 3월28일 개장한 이월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타워와 파크가 어우러진 유럽식 도시공원으로서 파크에는 다양한 모험과 스릴을 즐길 수 있는 30여개의 어트랙션, 튤립과 라벤더, 코스모스가 만발하는 플라워가든, 동물과 함께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주주팜과 버드파크, 국내 최대 규모의 북(book) 조형물에서 즐기는 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컨텐츠를 갖추고 있으며, 타워에는 대구 시내 전경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 소중한 사람과 기념일을 함께하는 회전레스토랑 뉴욕뉴욕바이켄싱턴, 4계절 이용이 가능한 아이스링크 등이 있습니다.

이월드는 피크닉블라썸(봄)부터 일루미네이션(겨울)까지 다양한 볼거리, 즐길거리를 고객분들에게 제공하여 2022년 누적 테마파크 사업부의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62% 성장한 406억 달성하였으며 입장객은 77% 성장한 320만명 달성하였습니다.

고객 소리에 집중하여 고객이 불편한 것과 고객이 원하는 것 중심으로 변화하며 고객 지향적인 파크로 변화를 꾀하였습니다. 22년 중반기부터 진행했던 테마파크 전역의 화장실 리뉴얼을 완성했으며 고객안전을 위해 파크 내 계단을 전부 수리, 보수하였습니다. 또한, 고객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분수광장 리뉴얼을 통한 대구 최초 미디어 아트를 선보였으며 세계 희귀 앵무새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버드파크도 오픈했습니다. 앞으로도 가족고객을 위한 어트렉션 3기종 추가, 아이들이 교육과 전시를 체험할 수 있는 에듀케이션센터, 즐길거리 가득한 타워 리뉴얼로 고객에게 더욱 사랑받는 테마파크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23년 국내 NO.1 테마파크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 고객 중심 다양한 컨텐츠 구현하고 재무구조는 더욱 굳건히 하겠습니다. 대구를 뛰어넘는 국내최고 테마파크로 우뚝 설 수 있도록 계속 발전하는 모습 보여드리겠습니다.


[쥬얼리부문]


   회사는 (주)이랜드월드의 사업부문 중 쥬얼리 제품 도소매사업을 담당하는 쥬얼리 사업부를 2019 사업년도 중 양수도 하였습니다. 

   쥬얼리사업부는 Jewelry&Watch 브랜드인 "LLOYD(로이드)",  “GRACE(그레이스)”, "OST(오에스티)", “CLUE(클루)”를 보유하고 있으며 216개 매장이 영업 중 입니다.

   로이드와 오에스티는 브랜드인지도와 매출규모가 국내 상위권에 속하는 브랜드이며, 로이드는 2018년 그레이스 라인 런칭을 통해 4050 중년여성 타겟까지 확장하여 어덜트쥬얼리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브랜딩을 통한 시장지배력 유지, 온라인 비중 확대를 집중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해외(중국) 확장을 병행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조직도
[테마파크부문]

이월드테마파크사업부조직도_20221231


[쥬얼리부문]

이월드쥬얼리사업부조직도_2022123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 제1호 의안 : 제18기 (2022.1.1~2022.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의 나. 회사의 현황 "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중인 개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되는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제18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17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이월드   (단위: 원)
  과         목 주  석 제 18 (당)기말 제 17 (전)기말
자산  



Ⅰ.유동자산  
46,776,319,544
50,134,099,015
  현금및현금성자산 4,5,6,9 8,838,820,904
8,836,716,944
  매출채권 4,5,6,10,33 7,234,424,566
6,402,186,504
  기타채권 4,5,6,10,33 2,554,864,404
2,983,965,633
  당기법인세자산
-
2,021,480
  기타유동자산 12 446,266,975
456,139,315
  재고자산 11 27,701,942,695
31,453,069,139
Ⅱ.비유동자산  
384,928,695,156
383,040,626,926
  장기기타채권 4,5,6,10 315,369,691
754,453,82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5,6,14,32 1,055,600,000
-
  유형자산 13,32,33 240,497,236,585
236,463,844,630
  사용권자산 33,34 1,873,916,233
2,631,087,987
  무형자산 15,33 141,186,572,647
143,191,240,485
자산 총계  
431,705,014,700
433,174,725,941
부채  



Ⅰ.유동부채  
123,652,911,198
116,778,536,776
  매입채무 4,5,6,16,33 1,934,830,208
2,594,091,315
  기타채무 4,5,6,16,33 12,369,019,670
15,025,439,974
  차입금 4,5,6,17,32,33 101,000,000,000
90,642,000,700
  미지급법인세
128,216,808
-
  충당부채 20 403,388,434
502,621,708
  계약부채 7 3,949,690,500
3,407,037,330
  리스부채 4,5,6,33,34 1,527,596,060
1,892,401,245
  기타유동부채 18 2,340,169,518
2,714,944,504
Ⅱ.비유동부채  
61,699,677,043
77,545,511,003
  장기기타채무 4,5,6,16 428,238,614
347,751,045
  차입금 4,5,6,17,32 38,000,000,000
53,000,000,000
  리스부채 4,5,6,33,34 337,344,836
750,250,073
  이연법인세부채 21 15,495,631,681
14,892,602,160
  확정급여부채 19 7,425,844,855
8,541,482,417
  충당부채 20 10,855,671
10,843,018
  기타비유동부채 18 1,761,386
2,582,290
부채 총계  
185,352,588,241
194,324,047,779
자본  



Ⅰ.자본금 22
141,806,193,000
141,806,193,000
Ⅱ.기타불입자본 22
126,174,522,395
126,174,522,395
Ⅲ.기타포괄손익누계액

61,002,296,647
60,230,115,677
Ⅳ.기타자본

(931,819,912)
(931,819,912)
Ⅴ.결손금 25
(81,698,765,671)
(88,428,332,998)
자본 총계

246,352,426,459
238,850,678,162
자본과 부채 총계

431,705,014,700
433,174,725,941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8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7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이월드 (단위: 원)
과          목 주  석 제 18 (당)기 제 17 (전)기
매출액 7,8,33
126,461,962,948
125,777,554,615
매출원가 26,33
76,437,433,138
80,917,135,130
매출총이익  
50,024,529,810
44,860,419,485
  판매비와관리비 26,28 35,414,099,424
42,926,150,478
영업이익 8
14,610,430,386
1,934,269,007
  기타수익 29 457,359,417
311,684,973
  기타비용 29 2,346,580,327
18,321,880,133
  금융수익 6,30 155,182,752
88,619,225
  금융비용 6,30,33 5,567,435,565
3,334,232,618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7,308,956,663
(19,321,539,546)
  법인세비용(수익) 21
1,675,952,883
(5,510,099,104)
당기순손익  
5,633,003,780
(13,811,440,442)
기타포괄손익  
1,868,744,517
9,063,395,748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보험수리적손익 19 1,096,563,547
483,372,465
  자산재평가차익 13 772,180,970
8,580,023,283
당기총포괄손익  
7,501,748,297
(4,748,044,694)
주당순손익 24
 

 기본주당보통주순손익  
40
(192)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자 본 변 동 표
제18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7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이월드 (단위: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신종자본증권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기타자본  결손금  계
2021.1.1 (전기초) 141,806,193,000 126,204,000,635 109,995,951,760 51,650,092,394 (931,819,912) (66,099,515,021) 362,624,902,856
소유주와의 거래






  상환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25,430,000) - - - - (25,430,000)
  기타자본변동 - (4,048,240) 4,048,240 - - - -
  자산 재평가 - - - 8,580,023,283 - - 8,580,023,283
  신종자본증권의 이자지급 - - - - - (9,000,750,000) (9,000,750,000)
  신종자본증권의 상환 - - (110,000,000,000) - - - (110,000,000,000)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익 - - - - - (13,811,440,442) (13,811,440,442)
  보험수리적손익  - - - - - 483,372,465 483,372,465
2021.12.31 (전기말) 141,806,193,000 126,174,522,395 - 60,230,115,677 (931,819,912) (88,428,332,998) 238,850,678,162
2022.1.1 (당기초) 141,806,193,000 126,174,522,395 - 60,230,115,677 (931,819,912) (88,428,332,998) 238,850,678,162
소유주와의 거래






  자산 재평가 - - - 772,180,970 - - 772,180,970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익 - - - - - 5,633,003,780 5,633,003,780
  보험수리적손익  - - - - - 1,096,563,547 1,096,563,547
2022.12.31 (당기말) 141,806,193,000 126,174,522,395 - 61,002,296,647 (931,819,912) (81,698,765,671) 246,352,426,459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현 금 흐 름 표
제18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7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이월드 (단위: 원)
과                  목 제 18 (당)기 제 17 (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16,437,825,311
19,034,375,123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주31) 22,206,906,019
20,886,311,214
  이자수취 98,560,681
11,413,855
  이자지급 (5,417,606,179)
(1,869,468,736)
  법인세납부 (450,035,210)
6,118,790
투자활동 현금흐름
(9,141,060,071)
(1,853,860,754)
  대여금의 감소 -
50,000,000
  유형자산의 처분 46,915,423
6,644,430
  유형자산의 취득 (8,357,537,977)
(2,025,124,634)
  무형자산의 취득 (426,733,587)
(815,647,850)
  보증금의 증가 (132,000,000)
(595,000,000)
  보증금의 감소 728,296,070
1,525,267,3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1,000,000,000)
-
재무활동 현금흐름
(7,294,622,644)
(12,364,268,668)
  단기차입금의 차입 21,825,100,000
105,841,003,450
  단기차입금의 상환 (26,467,100,700)
(48,199,002,750)
  장기차입금의 차입 -
53,000,000,000
  리스료의 지급 (2,652,621,944)
(3,980,089,368)
  상환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25,430,000)
  신종자본증권의 이자지급 -
(9,000,750,000)
  신종자본증권의 상환 -
(110,000,000,000)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38,636)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2,103,960
4,816,245,701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8,836,716,944
4,020,471,243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8,838,820,904
8,836,716,944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단위: 천원)
구   분 제18(당) 기 제17(전) 기
Ⅰ.미처리 결손금
(81,698,765,671)   (88,428,332,998)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88,428,332,998)   (66,099,515,021)  
  2.보험수리적손익 1,096,563,547   483,372,465   
  3.신종자본증권 이자 0   (9,000,750,000)  
  4.당기순손익 5,633,003,780   (13,811,440,442)  
Ⅱ.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81,698,765,671)   (88,428,332,998)


주석

제18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17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이월드


1. 일반 사항

 

주식회사 이월드(이하 '회사')는 2005년 7월 4일을 기준일로 하여 주식회사 우방의 유희시설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00(두류동)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2005년 7월 26일자로 주식을 한국증권거래소에 재상장하였으며, 2011년 3월 25일자 정기주주총회에서 상호를 주식회사 우방랜드에서 주식회사 이월드로 변경하였습니다.

회사는 해외시장 진출 및 신규 사업부문으로의 확장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2019년 1월 31일을 기준일로 하여 주식회사 이랜드월드의 쥬얼리사업부문을 양수 하였습니다.

2022년 12월 31일 현재 회사의 자본금은 141,806백만원(보통주자본금 141,806백만원) 이며 회사의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소유주식수 지분율
㈜이랜드파크 80,482,113 56.76%
㈜이랜드월드 19,629,440 13.84%
윤성대 20,000 0.01%
장영학 9,540 0.01%
자기주식 355,773 0.25%
기타주주 41,309,327 29.13%
141,806,193 100.0%


2. 중요한 회계정책

 

다음은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됩니다.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회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 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특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파생상품 포함),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특정 유형자산

-

확정급여제도와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사외적립자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

2.2.1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


회사는 2022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에 시행되는 기준서와 개정사항을 최초 적용하였습니다. 회사는 공표되었으나 시행되지 않은 기준서, 해석서, 개정사항을 조기적용한 바 없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개정 - 손실부담계약의의무이행 원가

손실부담계약은 계약상 의무 이행에 필요한 회피 불가능 원가가 그 계약에서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효익을 초과하는 계약입니다. 동 개정사항은 계약이 손실부담계약인지 판단할 때 재화나 용역을 제공하기 위한 계약과 직접 관련된 원가는 계약을이행하는 데 드는 증분원가(예: 재료원가 및 노무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그 밖의 원가 배분액(예: 그 계약을 이행하는데 사용하는 유형자산 항목에 대한 감가상각비 배분액이나 그 계약을 관리ㆍ감독하는 데 드는 원가의 배분액)을 모두 포함하도록 합니다. 일반 관리 원가는 계약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으며 계약에 따라 거래상대방에게 명시적으로 부과될 수 없다면 제외됩니다.

회사는 이 개정 기준서를 최초 적용하는 회계연도의 시작일에 아직 의무를 모두 이행하지는 않는 계약에 적용합니다. 

회사는 당기 중 이 개정사항의 적용 범위에 해당하는 손실부담계약이 없으므로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개정 -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참조

동 개정사항은 이전에 발표된 '재무제표의 작성과 표시를 위한 개념체계'를 2018년 3월에 발표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참조로 변경시, 유의적인 요구사항의 변경이 없도록 합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 또는 기업회계기준해석서제2121호 '부담금'의 적용 범위에 해당되는 부채와 우발부채에서 day 2 손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의 인식 원칙에 예외를 추가하였습니다. 이 예외사항은 취득일에 현재의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개념체계 대신에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 또는 기업회계기준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의 기준을 적용하도록 요구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또한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될 수 없다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에 새로운 문단을 추가하였습니다. 

회사는 당기 중 이 개정사항의 적용 범위에 해당하는 우발자산, 부채 및 우발부채가 없으므로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의 개정 - 의도한 사용전의 매각금액

동 개정사항은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동안 발생하는 재화의 순매각가액을 원가에서 차감하지 않도록 합니다. 대신에, 기업은 그러한 품목을 판매하여 얻은 수익과 품목을 생산하는데 드는 원가를 각각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개시일 또는 그 이후에 사용할 수 있게 된 유형자산에서 생산된 재화의 판매가 없으므로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최초채택기업인종속기업

동 개정사항은 종속기업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문단 D16(1)을 적용하기로 선택한 경우 종속기업이 지배기업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전환일에 기초하여 지배기업이 보고한 금액을 사용하여 누적환산차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동 기준서 문단 D16(1)을 적용하기로 선택한 관계기업 또는 공동기업에도 적용됩니다.

회사는 종속기업이 없으므로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5)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 관련 수수료

동 개정사항은 새로운 금융부채나 변경된 금융부채의 조건이 기존의 금융부채의 조건과 실질적으로 다른지를 평가할 때 기업이 포함하는 수수료를 명확히 합니다. 이러한 수수료에는 채권자와 채무자 간에 지급하거나 수취한 수수료와 채권자와 채무자가 서로를 대신하여 지급하거나 수취한 수수료만 포함됩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39호 '금융상품: 인식과 측정'에 대한 제한된 유사한 개정사항은 없습니다.

회사 내 금융상품에 변경된 사항이 없었기 때문에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6)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 공정가치 측정 시 세금 고려

동 개정사항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립어업'의 적용 범위에 해당되는 자산의공정가치를 측정할 때 세금 관련 현금흐름을 포함하지 않는 문단 22의 요구사항을 삭제하였습니다. 회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동 기준서의 적용 범위에 해당하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동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2.2.2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회계기준

회사의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현재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아 회사가 채택하지 않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제ㆍ개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2017년 5월, IASB는 보험계약의 인식과 측정을 포함하여 보험계약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회계기준인 IFRS 17 '보험계약'을 공표하였으며, 해당 기준서는 보험계약의 인식과 측정을 다룹니다. 이 기준서가 시행되면,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은 2005년에 공표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보험계약'을 대체합니다. 이 기준서는 보험계약을 발행한 기업의 유형과 관계없이 모든 유형의 보험계약(예:생명보험,손해보험, 원수보험계약 및 재보험계약)에 적용되며, 특정 보증과  재량적 참가 특성이 있는 투자계약에도 적용됩니다. 적용범위에서 제외되는 계약은 매우 적을 것입니다. 이 기준서의 전반적인 목적은 보험자에 대하여 더욱 유용하고 일관된 보험계약에관한 회계모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대체로 각 국가의 기존 회계정책에 기초하는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의 요구사항과 달리, 이 기준서는 보험계약에 대한 포괄적인 모형을 제시합니다. 이 기준서의 핵심은 일반모형이며, 다음의 사항이 추가됩니다.

- 직접 참가 특성이 있는 계약에 대한 특수한 적용 (변동수수료접근법)

- 주로 보장기간이 단기인 계약에 대한 간편법 (보험료배분접근법)

이 기준서는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시행되며 비교 재무제표가 공시가 되어야 합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을 이 기준서 최초 적용일 이전에 적용한 기업은 이 기준서를 조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ㆍ비유동 분류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문단 69~76에 대한 개정사항은 부채의 유동ㆍ비유동 분
류에 대한 다음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합니다.

-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의미

- 연기할 수 있는 권리가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존재해야 함

- 기업이 연기할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할 가능성은 유동성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전환가능부채의 내재파생상품 자체가 지분상품일 경우에만 부채의 조건이 유동성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소급 적용합니다. 회사는 개정사항이 현행 실무에 미칠 영향과 기존의 대출 약정에 재협상이 필요한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 회계추정치의 정의

개정 기준서는 회계추정치의 변경, 회계정책의 변경과 회계 오류수정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정 기준서는 기업이 회계 추정치를 개발하기 위해 측정기법과투입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이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이 시점 이후에 발생하는 회계정책 변경과 회계추정치의 변경에 적용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회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회계정책 공시

동 개정사항은 회사의 회계정책 공시를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요구사항과지침을 제공합니다. 기준서 제1001호는 회사의 유의적인 회계정책을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개정사항은 '유의적인' 회계정책을 '중요한' 회계정책으로 변경하고,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였습니다. 회사가 회계정책 공시에 대하여 결정할 때, 보다 유용한 회계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회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5)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개정 - 단일 거래에서 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생기는 경우의 이연법인세

동 개정사항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에 따른 최초 인식예외의 적용범위를 축소하여 동일한 금액으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생기는 거래에 적용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 이후에 이루어진 거래에 적용합니다. 또한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에 리스와 사후처리 및 복구 관련 부채와 관련된 모든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이연법인세자산(충분한 과세소득이 있는 경우)과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여야 합니다. 회사는 현재 이 개정사항의 영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 기타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주주총회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상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자료이며,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1) 당기의 결손금처리계산서는 2023년 3월 24일 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 (전기 확정일 : 2022년 3월 25일).

2)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수원

1980.12.12

사내이사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수원 ㈜이월드
대표이사

2012.07 ~ 2014.04

이랜드주니어 브랜드장

없음

2014.05 ~ 2016.09

티니위니 브랜드장

2016.10 ~ 2017.02

㈜이랜드월드 본부 내실경영 실장

2017.03 ~ 2018.12

㈜이랜드월드 내의사업부 본부장

2019.01 ~ 2020.04

㈜이랜드월드 여성사업부 본부장(겸)

2019.11 ~ 2020.04

㈜이랜드월드 온라인사업부 부문장(겸)

2020.05 ~ 현재 ㈜이월드 대표이사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수원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는 현재 쥬얼리사업부의 대표로서 코로나19 팬데믹의 파고속 어려운 경영 여건하에서도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통한 수익성 확보를 견인해 온 바, 이사회는 동 후보자가 회사와 이해관계자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 갈 것이라 판단함


확인서

확인서_주주총회소집공고제출용_이수원사내이사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8명(  2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8명(  2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80,737,013
최고한도액 1,000,000,000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8,043,590
최고한도액 150,000,000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6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회사는 2023년 3월 16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회사 홈페이지(http://www.eworld.kr)
 '회사소개' 내 '공시정보'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당사는 내부결산 일정 및 당사가 포함된 연결결산 일정,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과 경영진 및 이사진의 일정을 고려하여 주주총회일을 결정하였습니다. 여러 당사자 사이에 일정 조율 결과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일인 2023년 3월 24일(금)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329

이월드 (08468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