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8-08 13:4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08000152
2023년 08월 08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더메디팜 | |
대 표 이 사 : | 신범용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화성시 병점중앙로 156(진안동) | |
(전 화)02-2186-1300 | ||
(홈페이지)http://www.themp.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이사 | (성 명)김민서 |
(전 화)02-2186-1300 | ||
(제15기 임시)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16조에 의하여 제15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3년 8월 23일 (수) 오전 09시
2. 장소 : 경기 화성시 마도면 마도북로 387
(화성마도문화센터 1층강당)
3. 회의목적사항
가. 의결사항
- 제1호 의안 : 정관일부 변경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상법」 제368조의4제1항의 전자적 결의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음을 2015년 소집결의시 포괄적으로 결의하도록 가결하였으나 15기 임시주주총회에서는 활용성등을 고려하여 전자투표제 도입하지 않기로 가결하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주주 및 대리인의 신분증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내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사외이사 | ||||
---|---|---|---|---|---|---|---|---|---|
신범용 (출석률: 100%) | 강수현 (출석률:100%) | 이정미 (출석률: 100%) | 김세연 (출석률: 100%) | 김규남 (출석률: 100%) | 김윤철 (출석률: 85.7%) | 장정인 (출석률: 81.8%) | |||
찬 반 여 부 | |||||||||
1 | 2023.02.09 | - 별도재무제표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2 | 2023.02.17 | - 금전대여 결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3 | 2023.02.28 | - 연결재무제표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4 | 2023.02.28 | - 제14기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 및 대표 이사의 운영실태 보고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5 | 2023.03.02 | - 제1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6 | 2023.03.02 | - 지점이전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불참 | 불참 |
7 | 2023.03.14 | - 제1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정정)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8 | 2023.03.21 | - 대표이사의 보수액(연봉)결정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불참 | 불참 |
9 | 2023.03.22 | - 연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10 | 2023.03.22 | - 별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11 | 2023.03.22 | - 제13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12 | 2023.04.06 | - 금전대여 연장 결정의 건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13 | 2023.05.02 | - 지점폐지의 건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14 | 2023.06.30 | -금전대여 연장의 건 | 찬성 | - | - | 찬성 | 찬성 | 찬성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이사의 수(사외이사) | 4(1) | 1,000 | 84 | 21 | - |
(주1)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 총원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주2)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지급총액을 반기 인원으로 단순평균하여 계산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차입 | (주)초록뱀컴퍼니(지배기업등) | 2022.12.29 ~ 2024.06.30 | 90 | 6.9 |
대여 | 최혁 | 2022.04.29 ~ 2023.09.30 | 20 | 1.5 |
(*) 상기 비율은 2022년 별도재무제표 기준 자산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주)초록뱀컴퍼니(지배기업등) | 차입 | 2023.01.01 ~ 2023.06.30 | 92 | 7.1 |
채권 | 2023.01.01 ~ 2023.06.30 | 23 | 1.7 |
(*) 상기 비율은 2022년 별도재무제표 기준 자산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가. 업계의 현황
당사는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메디컬사업부문, 생활건강사업부문, 의약품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사업부문 | 회사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의약품 | (주)더메디팜 | 의약품 |
메디컬 | (주)더메디팜 | 의료기기, 의료용품 |
무선디바이스 | (주)인포마크 (주)마크아이 | 무선통신 디바이스 제조 |
투자부문 및 기타 | 데미안투자조합 비케이엘투자조합 더드림온투자조합 초록뱀플랫폼신기술조합 | 경영컨설팅 및 투자 등 |
[메디컬 사업부문 : 의료기기]
(1) 산업의 특성
의료기기산업은 국내·외적으로 경제적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입니다. 인간의 건강, 생명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보다 품질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이 중시되어 유명제품을 지속 사용하려는 보수적인 경향을 보이는 분야입니다.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두뇌집약적 산업으로 정밀성과 안전성이 요구되며, 높은 의학수준과 이와 연관된 정밀부품산업의 발전이 필수적입니다. 컴퓨터, 통신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바이오, 나노 기술 등 각 부문 간 융합화 현상이 가속화 되고 있는 복합첨단산업으로 높은 소득탄력성과 초기 투자비 집중, 다품종소량생산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첨단 의료기기의 경우 의술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미래가치 또한 매우 높다고 판단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고령인구의 증가와 소득증대에 따른 보건의료에 대한 욕구의 증가, 그리고 복지수준의 향상으로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타 국가 대비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시간이 빠르지만 의료관련 지출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하여 의료관련 지출은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른 의료시설의 증가 또한 산업의 성장요인이 될 것입니다. 또한 국민소득의 증가와 복지혜택의 범위 증대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체적으로 시장의 외형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노령인구의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실버산업의 발달 등으로 투자가 증가하고 많은 연구와 관심이 높아져 빠른 성장을 보일 것입니다. 특히 예방 의학분야의 중요성의 부각으로 관련 의료기기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전망입니다.
2018년 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2017년 대비 8.2% 증가한 약 3,899억 달러이며(Fitch Solutions, 2019), 2015년 성장률이 감소했지만 2016년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역별 시장 규모는 2018년 북미·남미 지역이 1,855억 달러(47.6%)로 가장 큰 점유율을 보이며, 2013년 이후 연평균 4.9% 성장하였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서유럽이 971억 달러(24.9%)로 연평균 2.4%,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태평양은 818억 달러(21.0%)로 연평균 5.4% 성장하였으며, 중동지역도 2013년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8년 미국의 시장규모는 1,641억 달러로 세계시장의 42.1%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20개 국가가 전체시장의 89.0%를 차지하였습니다. 시장규모 상위국가는 미국을 이어 독일이 288억 달러(7.4%), 일본 287억 달러(7.4%), 중국 252억 달러(6.5%), 프랑스 156억 달러(4.0%)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의 2018년 시장 규모는 세계 9위(67억 달러)로 세계의료기기 시장에서 1.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018년 우리나라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6조 8,179억 원 규모로 2017년 6조 1,978억 원 대비 10.0% 증가하였으며,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연 평균 8.0%의 성장세를 지속해왔습니다. 2018년 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2017년 대비 8.2% 증가한 약 3,899억 달러이며, 그 중 우리나라의 시장 규모는 세계9위(67억 달러)로 세계의료기기 시장의 1.7%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9 의료기기산업 분석보고서」, 2019년 12월). 특히 신종 감염병 발생 증가로 질병에 대한 신속한 진단이 필요해짐 에 따라 체외진단기기 산업도 꾸준히 성장하여 2015년 기준 5억 7,400만 달러의 국내 시장 규모 가 2025년에는 약 7억 6,200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박혜경, 「차세대 체외진단기기 산업의 현황 및 동향」, 「융합 FOCUS」, 제161권, 2020년 1월). 2020년 5월 「의료기기산업법」과 「체외진단의료기기법」의 시행과 함께 정부는 범부처(과기정통·산업·복지부·식약처) 의료기기 전주기 연구개발사업을 추진(과기정통·산업·복지부·식약처의 4개 부처가 공동으로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총 6년간 1조 2,000억 원 규모로 이루어지는 사업)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안전성이 입증된 기존의 제품을 사용하려는 속성 때문에 신규업체의 진입이 어려운 분야입니다. 이와 반대로 일단 확보한 시장은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에 덜 민감하고 꾸준한 매출 발생이 가능한 보수적인 시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계절적 요인에 의한 영향도 적게 받는 안정적인 수급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당사의 메디컬사업부문은 정형외과 병원에 최적화된 공급시스템을 확보하여 직접적인 의료행위 이외에 인공고관절, 인공슬관절 등, 병의원 전반에 필요한 의료소모품을 제공하는 의료MRO 전문 회사로써 인공관절을 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인공관절은 정상관절과 비슷한 모양과 기능을 갖춘 인공보철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에 따른 의료기기 품목 분류 기준에 따라 인공슬관, 인공고관절, 인공어깨관절, 기타관절로 구분됩니다. 인공관절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인구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인류수명 증가와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른 인공관절 관련 수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추세입니다.
2018년 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산업브리프(인공관절)”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체 인공관절 시장규모는 2014년 1,131억원에서 2016년 1,291억원으로, 연평균 (2014~2016년, CAGR) 6.84%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런 추세로 2021년에는 1,689억원의 시장규모를 추정됩니다. 한편, 국내 인공관절 시장에서 국산 제품 점유율은 9%, 수입비중은 91%로 추산하고, 또한 수출입 현황을 비교할 시, 국내 인공관절 생산업체에서 총 생산액은 182.5억원, 수출액은 98.6억이다. 전반적으로 국내시장 제품은 수입의존도가 높습니다.
국내 인공관절 시장은 2009년 이전까지는 Zimmer, Stryker, DePuy 등 다국적 기업에 의해 지배되는 시장이었으나, 2011년 하반기부터 (주)코렌텍이 국내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수치는 생산부문의 수치로써 당사의 사업부문은 인공관절 유통이므로 정확한 시장점유율을 산정하기가 어렵습니다.
[국내 인공관절 시장규모]
국내 |
세계인공관절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2014년 약 160억 달러에서 2016년 약 172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2014년~2016년, CAGR) 3.68% 성장하였으며, 2016년 이후 연평균 5.53% 성장률을 보이면서 2021년 약 225억 달러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세계 인공관절 시장규모]
세계 |
인공관절 산업의 세계 시장점유율 현황은 미국의 Zimmer, DePuy, Stryker 등 3개사와 영국의 Smith&Nephew 의 4개 업체가 80%를 장악하고 있으며, 해당 수치는 생산부문의 수치로써 당사의 사업부문은 인공관절 유통이므로 정확한 시장점유율을 산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업체명 | Zimmer | Stryker | DePuy | Smith & Nephew | 기타 |
점유율 | 27.7% | 22.4% | 17.4% | 10.1% | 22.4% |
국적 | 미국 | 미국 | 미국 | 영국 | - |
(출처: Orthoworld Orthopaedic Industry Annual Report 2020)
The Orthopedic Industry Annual Report에 의하면 2009년도 인공관절 관련 시술 건수를 기반으로 세계 시장 규모는 인공관절 수술이 약 250만 건으로, 그 중에서 인공 고관절이 약 140만 건, 인공 슬관절이 약 110만 건이 시술 되었습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인공관절 시장의 성장 요소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인공관절 성장 요소는 근골격계 관련 질환의 증가. 인공 관절 수술 대상자는 주로 관절염의 질환을 겪는 사람들로 세계적으로 약 3억 5,500만 명의 중증 관절염 질환자들이 그 주요 대상이며 그 중 약 42%인 1억 5,000만 명은 골관절염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약 80%는 어떠한 형태로든 관절 운동의 제약 및 장애를 겪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골관절염 질환은 대부분이 퇴행성으로 기인되며 따라서 환자들의 나이에 비례하며 증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성장 요소는 고령화와 기대 수명의 증가입니다. Arthritis Care & Research에 발표된 분석 자료에 따르면 인공관절 시술은 전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로 인공관절 시장이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 예로 전체 인공 관절 시술자의 약 60% 이상이 65세 이상의 연령대이며 그 인구 비중이 세계적으로 약 8% 대에 이르고 있고, 선진국일수록 그 연령대의 비중은 더욱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예를 들면 2020년까지 65세 이상의 연령층이 약 전체인구의 2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특히 한국은 2000년도부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부터는 초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제 성장에 따른 의료 수준의 질적 향상과 기대 수명 증대로 시장확대가 예상됩니다. OECD 자료 중 EU 국가별 인공 고관절과 인공 슬관절 시술 건수 비교하면 각 국의 경제 여건에 따른 기대 수명의 증가와 수술비에 대한 경제적인 여력에 따른 성장 요인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성장 요소는 환자들의 식생활 개선에 따른 비만 문제입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비만 여성의 경우 인공 슬관절 치환술을 받을 확률이4배 증가하고, 남성의 경우5배 증가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5kg 체중 증가는 인공 관절, 특히 슬관절 치환술을 받을 확률이 약35% 증가 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5) 경쟁요소 및 제한 사항
현재 의료기기산업은 연구개발 능력 및 투자가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국내 산업기반 또한 점차적으로 강화되어가는 단계에 있습니다. 당사는 의료기기시장의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21년 3월 (주)에이치바이오앤컴퍼니의 주식 전량을 인수하였고, 사업부문의 전문화와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의료기기부문에서 높은 매출액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의료기기사업부문은 종합병원의 인공관절재료 및 의료 소모품 공급으로 축적된 데이터는 향후 의료기기사업 확대에 좋은 레퍼런스가 될 것입니다.
향후 노령인구의 증가와 영업 네트워크의 확장,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계획 중이지만, 당사는 현재 인공관절에 특화되어있는 종합병원만 물품을 공급하는 제한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부분, 최종소비자에 직접 납품하지 않고 의료기관를 통한 유통구조의 특수한 환경에 따른 제약등에 따른 사업에 한계가 존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의약품 사업부문]
(1) 산업의 특성
의약품 유통은 일반적인 재화의 유통과 차별성이 있는 바, 의약품은 사적재화인 동시에 공적재화로써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의약품의 유통은 유효성, 안전성, 안정성, 편의성 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또한 의약품은 개발 및 제조, 유통, 판매, 소비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 정부의 제도적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소량의 다품종 상품이 다빈도로 거래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히, 인구의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노인질환과 관련된 품목의 생산 및 판매가 증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만 Solution 및 미용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 보조제, 건강 기능 식품 등의 관심 및 매출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의약품 시장은 국민소득수준의 향상, 고령화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고조 및 실버산업의 확장 그리고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따른 수요의 증가로 지속적인 신장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국내 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국내 제조업 GDP의 평균성장율을 상회하는 성장성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valuate Pharma(World Preview 2019)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8년 기준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430억로 전체의약품 대비 28%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어 향후 5년 ('19~24년)간 연평균 6.6% 성장하여 2024년에는 $3,880억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 난치성 및 퇴행성 질환의 발병률 증가로 인해 바이오의약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바이오신약 시장의 성장을 촉진시킬 것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1)치료 가능한 질병의 수 증가 2)생명공학 제품 관련 시장 확대 3)블록버스터 의약품의 증가 4)희귀질환 치료를 위한 FDA의 바이오의약품 승인건수 증가 5) 새로운 또는 다양한 질병에 대한 표지 증가 6)파이프라인 상의 혁신적인 제품들 7)협력체제 구성 또는 M&A 증가 등이 주요한 요인이며,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규모는 이 같은 요인들에 의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국내 바이오의료산업은 그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업들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급속도의 성장과 변화를 실현하였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빠른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바이오의약품을 포함 전체의약품 시장 규모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중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시장이 2017년 기준 약 4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백신, 세포치료제 등의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시장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또한 선진 의약품 시장은 의약품 거래규모의 80% 이상을 도매업에서 유통하고 있으며 국내는 제약사의 직거래 비중이 높으나 점차 도매업 유통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국내 도매업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높다 할 수 있습니다.
< 의약품 유통시장 현황>
(단위 : 개소, 억원, %) |
구분 | 전체 공급업체 | 상위 5% 공급업체 | B/A | |||||
업체수 | 공급금액 | 평균 공급 금액(A) | 업체수 | 공급금액 | 평균공급 금액(B) | 공급금액 점유율 | ||
전체 | 3,317 | 709,541 | 214 | 166 | 491,655 | 2,962 | 69% | 14 |
도매상 | 2,888 | 397,814 | 138 | 77 | 240,018 | 3,117 | 60% | 23 |
제조사 | 256 | 231,029 | 902 | 67 | 190,276 | 2,840 | 82% | 3 |
수입사 | 173 | 80,698 | 466 | 22 | 61,361 | 2,789 | 76% | 6 |
(Source: 2019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집,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2019년도 국내 의약품 유통액은 709,541억원으로 그중 56%인 397,814억원이 도매상에 의해 유통되었으며, 그중 상위 5%의 도매상에 60%인 240,018억원이 유통 되었습니다.
2019년 의약품 유통단계별 공급금액 |
2019년도에 도매상 공급액 중 도매상에 공급되는 금액은 14.3조원이며, 요양기관에에 공급하는 금액은 25.2조원입니다.
< 도매상 공급 현황>
(단위 : 억원) |
구분 | 공급금액 | |||
총계 | 요양기관공급 (도매상→요양기관) | 도매공급 (도매상→도매상) | ||
2019년 | 전체 | 395,353 | 252,294 | 143,059 |
종합병원급 | 62,438 | 62,438 | - | |
병원급 | 14,358 | 14,358 | - | |
의원급 | 11,901 | 11,901 | - | |
약국 | 161,150 | 161,150 | - | |
기타 | 2,447 | 2,447 | - | |
2018년 | 전체 | 356,373 | 235,333 | 121,040 |
종합병원급 | 58,019 | 58,019 | - | |
병원급 | 13,800 | 13,800 | - | |
의원급 | 10,791 | 10,791 | - | |
약국 | 150,643 | 150,643 | - | |
기타 | 2,080 | 2,080 | - | |
2017년 | 전체 | 322,350 | 215,200 | 107,150 |
종합병원급 | 53,480 | 53,480 | - | |
병원급 | 12,572 | 12,572 | - | |
의원급 | 9,999 | 9,999 | - | |
약국 | 137,160 | 137,160 | - | |
기타 | 1,989 | 1,989 | - |
(Source: 2019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집,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도매상 공급액은 전년대비 2018년도 11%, 2019년도 11% 성장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도매공급액 역시 13%, 18%로 매년 큰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 도매상 공급금액 증가율>
구분 | 공급금액 | |||
총계 | 요양기관공급 (도매상→요양기관) | 도매공급 (도매상→도매상) | ||
2019년 | 전체 | 11% | 7% | 18% |
종합병원급 | 8% | 8% | | |
병원급 | 4% | 4% | ||
의원급 | 10% | 10% | ||
약국 | 7% | 7% | ||
기타 | 18% | 18% | ||
2018년 | 전체 | 11% | 9% | 13% |
종합병원급 | 8% | 8% | | |
병원급 | 10% | 10% | ||
의원급 | 8% | 8% | ||
약국 | 10% | 10% | ||
기타 | 5% | 5% |
(Source: "2019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집,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정보 분석)
(3) 경기변동의 특성
의약품산업은 국민경제에 공헌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또한 의약품산업은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계속 안정적 성장이 가능한 산업이다. 그러므로 선진국에서는 일찍이 의약품산업을 국가의 핵심적 기간산업으로 육성하였고 제약업계도 이에 부응하여 첨단 과학을 응용한 신약개발에 지속적인 집중 투자를 행하고 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의약품 도매업은 다수의 제약회사에서 다품종 의약품을 대량 구매하여 약국 및 병원에 납품하는 업종을 의미합니다. 의약품 도매업체들은 유통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약사의 재고 부담을 덜어주고, 제약사 영업활동에 따른 인건비 및 판촉비의 과다지출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제비 상승 문제를 해소하여 구매사에게 합리적인 가격에 의약품을 제공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의약품 도매시장 규모는 2019년을 기준으로 하여 약 25조원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의약품 제작사와 수입사 간의 직접 거래 비중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의약품 도매시장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의약품 도매상은 약 2,900여개로, 해외 의약품 도매시장에 비하여 국내 의약품 도매시장은 중소형 업체들이 난립해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해외사례에 비추어 볼 때, 점차 국내시장도 대형화 및 집중화될 전망입니다. 미국의 의약품 도매상은 1970년 144개사에서 2010년 20여개사로 통합되었으며, 이 중 상위 4개사의 매출이 전체 의약품 유통매출의 약 90%를 차지할 정도로 거대화되어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정부 정책 및 과다 경쟁에 따른 이익 저하 등의 이유로, 의약품 도매상이 1988년 418개에서 2010년 144개로 그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해외 추세와 같이 국내도 일부 업체들을 중심으로 점차 의약품 도매시장의 통합화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약품 도매업 시장은 매년 꾸준한 성장을 보여왔으며, 앞으로도 성장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보건복지부 통계수치에 따르면 국내 의료비 증가속도가 국민소득 증가율을 상회하여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통계청 2019년 생명표 기준 국내 인구의 기대수명(남자 80.3년, 여자 86.3년)이 OECD국가 평균 기대수명(남자 78.1년, 여자 83.4년)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즉, 국내 의료비 증가 속도와 빠른 고령화 사회 진입 속도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사는 의약품사업을 확대하기 위하여 2021년 3월 제이앤에스팜을 인수하였습니다.제이앤에스팜은 2018년 종합병원에 의약품 공급을 위하여 설립된 회사로 현재 의약품 도매업체와 제약사로부터 의약품을 구매하여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기존 고객외에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자 노력 중에 있습니다.
국내 의약품 유통시장은 2019년 상위 5%에 해당하는 업체들이 전체 시장의 6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자료: 2019 완제의약품 유통정보 통계집,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낮은 진입장벽으로 인하여 다수의 중소업체들이 난립하고 있는 상황이며, 의약품유통신문에서 금융감독원의 공시 자료를 토대로 발행한 '2019년도 의약품유통업체 경영실적' 자료를 보면 2019년 국내 170개 의약품 도매업체의 매출 규모는 약 24조원입니다. 24조원을 기준으로 제이앤에스팜의 시장점유율은 약 0.5%입니다.
(5) 경쟁요소 및 제한 사항
당사는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품목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시대 트렌드를 반영한 비만치료제 등을 전략적인 품목으로 지정하여 영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의약품 사업과 더불어 제이앤에스팜을 추가 인수하여 제약사로부터의 구매력에 의한 단가 경쟁력도 상승하며 대형화에 따른 평판 향상으로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의약품유통신문에서 금융감독원의 공시 자료를 토대로 발행한 '2019년도 의약품유통업체 경영실적' 자료를 보면 2019년 상위 10개업체의 인당 매출액(총매출액/종업원수)은 평균 70억원이며, 당사와 비슷한 규모(연매출 100억~200억)의 15개업체의 인당 매출액은 평균 13억원으로 매출액 증대에 따른 인원수가 단순 비례하지 않는 사업이며, 또한 제이앤에스팜의 경우 법인 설립시부터 파트너관계를 유지해 온 위수탁업체에 물류대행을 진행하고 있기에 물류시스템을 직접 운용하는 타의약품 업체와는 달리 매출액 증대에 따른 추가 인력이 필요하지 않는 구조이며, 구매와 영업에 집중하여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의료기기사업부문에 언급하였듯이 최종소비자에 직접 납품하지 않고 의료기관를 통한 유통구조의 특수한 환경에 따른 제약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당사와 종속회사는 연결실체를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의약품사업부문, 메디컬사업부문, 무선디바이스사업부문, 투자부문 및 기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2년 12월에 (주)인포마크 지분을 추가 취득하여 보고서 작성일 기준으로 연결 범위에 포함하였으나, 손익은 연결재무제표 작성범위에서 제외하여 (주)인포마크 및 자회사에 관한 사항의 기재를 생략한 부문이 있습니다.
가. 연결실체의 사업부문 현황
사업부문 | 회사 |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의약품 | (주)더메디팜 | 의약품 |
메디컬 | (주)더메디팜 | 의료기기, 의료용품 |
무선디바이스 | (주)인포마크 (주)마크아이 | 무선통신 디바이스 제조 |
투자부문 및 기타 | 데미안투자조합 비케이엘투자조합 더드림온투자조합 초록뱀플랫폼신기술조합 | 경영컨설팅 및 투자 등 |
나. 사업의 개요
(1) 의약품사업부문
당사는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품목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시대 트렌드를 반영한 전략적인 품목으로 지정하여 영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의약품 사업과 더불어 제이앤에스팜(주)을 추가 인수하여 제약사로부터의 구매력에 의한 단가 경쟁력도 상승하며 대형화에 따른 평판 향상으로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해당사업부문의 2020년 매출액은 6,266,728천원, 2021년 매출액 16,732,686천원, 2022년도 매출액은 16,171,237천원으로 연결 매출액 대비 84.7%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메디컬사업부문
당사는 의료기기시장의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21년 3월 (주)에이치바이오앤컴퍼니의 주식 전량을 인수하였고, 사업부문의 전문화와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의료기기부문에서 높은 매출액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의료기기사업부문은 종합병원의 인공관절재료 및 의료 소모품 공급으로 축적된 데이터는 향후 의료기기사업 확대에 좋은 레퍼런스가 될 것입니다.
해당사업 2020년 매출액은 2,160천원, 2021년 매출액 1,853,052천원, 2022년도 매출액은 2,927,090천원으로 연결 매출액 대비 15.3%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 무선디바이스사업부문
최근에는 퀄컴 테크놀러지 Inc.와 5G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모바일 라우터, 산업용 라우터(CPE), 웨어러블 디바이스, AI 디바이스 등 다양한 5G 통신 단말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KT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 확산 사업'에 5G 단말 공급 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 확산 사업은 5G 네트워크를 국가기관에 우선 적용하여 유선망 기반 업무환경을 무선망 기반으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주)인포마크는 보안성이 강화된 5G 모바일 라우터를 공급하는 역할을 맡아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4) 투자부문 및 기타
현재 당사는 투자자산의 다변화를 통해 직접투자 비중을 늘려가며 투자수익 극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5)사업부문별 매출현황
<매출실적_연결기준>
(단위 : 천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제14기 | 제13기 | 제12기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계 | - | 19,098,327 | 100.0 | 18,613,345 | 100.0 | 26,895,986 | 100.0 |
의약품 | 상품 | 16,171,237 | 84.7 | 16,732,686 | 89.9 | 6,266,728 | 23.3 |
메디컬 | 수수료매출 | 2,927,090 | 15.3 | 1,853,052 | 10.0 | 2,160 | 0.0 |
생활건강 | 상품, 제품 | - | - | 27,607 | 0.1 | 353,027 | 1.3 |
스토리지(주1) | 상품, 용역 | - | - | - | - | 20,274,765 | 75.4 |
기타 | 기타 | - | - | - | - | (694) | 0.0 |
(주1) 전기 중 중단사업으로 분류되어 연결재무제표에는 재계산된 매출액이 반영되었습니다.
(6) 본점 및 지점 현황
명칭 | 중요사업내용 | 소재지 |
화성본점 | 의료용품 판매 외 | 경기도 화성시 병점중앙로 156(진안동) |
서울지점 | 의료용품 판매 외 |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414, 14층(청담동, 한성청담빌딩) |
서초지점 | 의약품 판매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43길 46, 4층 403호(양재동, 서원메디텍) |
서대문지점 | 의료용품 판매 |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86, 12-4(순화동, 바비엥3차) |
(2) 조직도
조직도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조(상호) 본 회사는 주식회사 더메디팜라 한다. 영문으로 THE MEDIPHARM Co.,Ltd.라 표기한다.
| 제1조(상호) 본 회사는 주식회사 에스메디라 한다. 영문으로 SMEDI Co., Ltd.라 표기한다. | - 상호변경 |
제4조(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당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www.themp.co.kr)에 게재한다. | 제4조(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당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www.smedi.net)에 게재한다. | -홈페이지 변경 |
(신 설) | 제7장 투 자
제43조(결의 방법) 회사는 다음 각 항의 투자를 하려는 경우, 본 정관 제4장(주주총회)에 따른 주주총회 결의로 정한다.
① 회사의 사업(영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거나 경영참여 목적이 아닌 법인ㆍ조합 등에 대한 단순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지분증권의 취득
② 회사의 사업과 관련해 경영참여 목적이 아닌 단순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주권 관련 사채권의 취득
③ 본 조 제①항 및 제②항과 유사한 증권 등의 취득 | - |
(신 설) | 부 칙 이 정관은 제15기 임시 주주총회에서 승인한 날부터 시행한다.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주1) 15기 임시주주총회에서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첨부하지 않았습니다.
15기 반기검토 재무제표는 8월 14일 보고하는 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해당사항 없음.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안내사항 - 발열(37.5도 이상) 및 호흡기 증상, 자가격리대상, 확진자 밀접접촉 등에 해당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08000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