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2023-02-28 17:5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228006800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 |
2023 년 02월 28일 | |
권 유 자: | 성 명: 아이진 주식회사 주 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401, 비동 1211호 (가양동, 강서한강자이타워) 전화번호: 02-322-1687 |
작 성 자: | 성 명: 이명재 부서 및 직위: 상무이사 전화번호: 02-322-1687 |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 |||
가. 권유자 | 아이진 주식회사 | 나. 회사와의 관계 | 본인 |
다. 주총 소집공고일 | 2023년 03월 08일 | 라. 주주총회일 | 2023년 03월 23일 |
마. 권유 시작일 | 2023년 03월 04일 |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 위탁 |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 |||
가. 권유취지 | 원활한 주주총회 진행을 위해 필요한 의결 정족수 확보 | ||
나. 전자위임장 여부 | 전자위임장 가능 | (관리기관) | 삼성증권(주) |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 가능 | (전자투표 관리기관) | 삼성증권(주) |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
3. 주주총회 목적사항 | |||
□ 재무제표의승인 | |||
□ 이사의보수한도승인 | |||
□ 감사의보수한도승인 | |||
□ 주식매수선택권의부여 |
성명 (회사명)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 소유비율 | 회사와의 관계 | 비고 |
---|---|---|---|---|---|
아이진 주식회사 | 보통주 | 0 | 0 | 본인 | - |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 권유자와의 관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 소유 비율 | 회사와의 관계 | 비고 |
---|---|---|---|---|---|---|
유원일 | 최대주주 | 보통주 | 1,287,946 | 6.00 | 최대주주 | - |
조양제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765,902 | 3.57 | 등기임원 | - |
김두식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30,000 | 0.14 | 등기임원 | - |
김달현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0 | 0 | 등기임원 | - |
이명재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64,022 | 0.30 | 미등기임원 | - |
윤형수 | 특수관계인 | 보통주 | 43,984 | 0.20 | 미등기임원 | - |
계 | - | 2,191,854 | 10.21 | - | - |
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대리인 (의결권 수임인)
성명 (회사명) | 주식의 종류 | 소유 주식수 | 회사와의 관계 | 권유자와의 관계 | 비고 |
---|---|---|---|---|---|
이명재 | 보통주 | 64,022 | 미등기임원 | 특수관계인 | - |
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
성명 (회사명) | 구분 | 주식의 종류 | 주식 소유수 | 회사와의 관계 | 권유자와의 관계 | 비고 |
---|---|---|---|---|---|---|
(주)에스오피 | 법인 | 보통주 | 0 | 없음 | 없음 | - |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이 법인인 경우】
-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수탁 법인에 관한 사항
법인명 | 대표자 | 소재지 | 위탁범위 | 연락처 |
---|---|---|---|---|
(주)에스오피 | 김선우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정읍 경복대로 512번길 44-1, 제3호 | 의결권 대리행사 위임장 제공,수령 등 제반업무를 포함한 의결권 대리 행사 권유 업무 | 02-563-2500 |
가. 권유기간
주주총회 소집공고일 | 권유 시작일 | 권유 종료일 | 주주총회일 |
---|---|---|---|
2023년 03월 08일 | 2023년 03월 04일 | 2023년 03월 22일 | 2023년 03월 23일 |
나. 피권유자의 범위
아이진(주)의 제23기 정기 주주총회(2023년 3월 23일)를 위한 주주명부 폐쇄기준일(2022년 12월 31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 전체 |
원활한 주주총회 진행을 위해 필요한 의결 정족수 확보 |
가.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전자위임장)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 전자위임장 가능 |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03월 13일 오전9시 ~ 2023년 03월 22일 오후5시 |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 삼성증권(주) |
전자위임장 수여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 기간 중 24시간 접속 가능 (단, 마지막 날 (3월 22일)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
나. 서면 위임장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 권유자 등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는 방법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 O |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 O |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 O |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 O |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 (발행인에 한함) | O |
- 위임장 용지 교부 인터넷 홈페이지
홈페이지 명칭 | 인터넷 주소 | 비고 |
---|---|---|
아이진(주) 홈페이지 | www.eyegene.co.kr | 홈페이지 공지사항 카테고리 -> 공고사항 |
- 전자우편 전송에 대한 피권유자의 의사표시 확보 여부 및 확보 계획
피권유자가 이메일 또는 전화 등 적절한 방법으로 전자우편을 통하여 위임장 용지 및 참고서류를 받는다는 의결권 의사표시를 한 경우에 한하여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를 배부 할 예정임 |
□ 피권유자가 위임장을 수여하는 방법
- 위임장 접수처 ·주 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401 B동 1211호 (가양동,강서한강자이타워, 우편번호 07528) ·전화번호 : 02-322-1687 ·팩스번호 : 02-302-4359 - 우편 접수 여부 : 가능 - 접수 기간 : 2023년 3월 3일 ~ 2023년 3월 23일 제23기 정기주주총회 개시 전 |
다. 기타 의결권 위임의 방법
- |
가. 주주총회 일시 및 장소
일 시 | 2023년 03월 23일(목) 오전 09시 |
장 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60, 제1전시장 305호 회의실 |
나.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전자투표 가능 여부 | 전자투표 가능 |
전자투표 기간 | 2023년 3월 13일(월) 오전9시 ~ 2023년 03월 22일 오후5시 |
전자투표 관리기관 | 삼성증권(주) |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1. 기간 중 24시간 접속 가능 (단, 마지막 날(22일)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2.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
□ 서면투표에 관한 사항
서면투표 가능 여부 | 해당사항 없음 |
서면투표 기간 | - |
서면투표 방법 | -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 |
다.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 코로나19 감염 및 확산 방지를 위해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의결권 행사가 가능한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제도 (https://vote.samsungpop.com) 또는 의결권 대리행사 제도를 활용하여 비대면적 의결권 행사를 부탁드립니다. -주주총회 개최 전 천재지변 또는 감염병 확산 등으로 인하여 주주총회 장소 및 일시변경이 발생할 경우 정정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www.eyegene.co.kr)를 통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가.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주주총회소집공고 'III. 경영참고사항' 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나. 당해 사업연도의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았으며,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연결재무제표]
- 연결 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제 23(당)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22(전)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23(당) 기 기말 | 제 22(전) 기 기말 |
---|---|---|
자 산 | ||
유동자산 | 69,239,126,652 | 88,643,507,584 |
현금및현금성자산 | 2,045,959,631 | 2,649,130,478 |
금융기관예치금 | 59,080,000,000 | 72,68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328,542,016 | 10,840,537,706 |
매출채권 | 898,072,036 | 731,321,114 |
기타금융자산 | 486,967,637 | 296,104,371 |
기타유동자산 | 691,493,888 | 609,347,982 |
당기법인세자산 | 210,082,280 | 62,668,960 |
재고자산 | 498,009,164 | 774,396,973 |
비유동자산 | 11,733,717,528 | 16,347,637,14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632,324,532 | 4,076,175,230 |
기타금융자산 | 729,873,840 | 596,827,840 |
유형자산 | 4,664,453,690 | 4,805,646,639 |
사용권자산 | 1,077,673,179 | 1,058,738,358 |
무형자산 | 852,600,708 | 761,272,515 |
파생상품자산 | - | 5,048,976,558 |
관계기업투자 | 776,791,579 | - |
자 산 총 계 | 80,972,844,180 | 104,991,144,724 |
부 채 | ||
유동부채 | 5,031,643,074 | 9,609,227,848 |
매입채무 | 863,838,865 | 1,894,144,240 |
계약부채 | 166,666,667 | - |
신주인수권부사채 | 1,392,448,974 | 2,994,558,932 |
리스부채 | 392,852,213 | 272,626,544 |
기타금융부채 | 1,255,399,249 | 2,208,210,372 |
파생상품부채 | 830,097,371 | 2,100,500,223 |
기타유동부채 | 130,339,735 | 139,187,537 |
비유동부채 | 6,505,975,006 | 6,412,741,154 |
신주인수권부사채 | ||
전환우선주부채 | ||
리스부채 | 611,405,751 | 676,060,111 |
복구충당부채 | 139,285,653 | 129,920,870 |
순확정급여부채 | 4,613,269,753 | 4,055,121,611 |
기타장기종업원부채 | 214,298,796 | 239,052,296 |
기타금융부채 | 927,715,053 | 144,670,622 |
파생상품부채 | ||
이연법인세부채 | - | 1,167,915,644 |
부 채 총 계 | 11,537,618,080 | 16,021,969,002 |
자 본 | ||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 67,333,672,226 | 88,969,175,722 |
자본금 | 10,739,170,000 | 10,704,739,000 |
주식발행초과금 | 165,019,171,128 | 164,397,992,881 |
기타자본항목 | 19,747,023,625 | 17,722,758,241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6,347,663) | (26,927,162) |
결손금 | (128,145,344,864) | (103,829,387,238) |
비지배지분 | 2,101,553,874 | - |
자 본 총 계 | 69,435,226,100 | 88,969,175,722 |
부채및자본총계 | 80,972,844,180 | 104,991,144,724 |
-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23(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
제 22(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3(당) 기 | 제 22(전) 기 |
---|---|---|
매출액 | 5,324,175,669 | 3,242,116,197 |
매출원가 | 2,547,374,797 | 1,737,788,474 |
매출총이익 | 2,776,800,872 | 1,504,327,723 |
판매비와관리비 | 26,298,475,885 | 36,508,072,127 |
영업손실 | (23,521,675,013) | (35,003,744,404) |
기타수익 | 238,162,957 | 825,441,215 |
기타비용 | 83,131,383 | 150,072,120 |
금융수익 | 2,646,479,591 | 5,579,966,665 |
금융비용 | 5,597,689,751 | 5,904,536,855 |
지분법이익 | - | - |
지분법손실 | 23,208,421 |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26,341,062,020) | (34,652,945,499) |
법인세수익 | (1,167,915,644) | (83,990,478) |
당기순손실 | (25,173,146,376) | (34,568,955,021) |
지배기업소유지분 | (24,477,346,968) | (34,568,955,021) |
비지배주주지분 | (695,799,408) | - |
기타포괄손익 | 68,747,356 | (1,240,194,527)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61,389,342 | (1,207,675,244)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지분법자본변동 | ||
해외사업환산손익 | (92,641,986) | (32,519,283) |
총포괄손실 | (25,104,399,020) | (35,809,149,548) |
지배기업소유지분 | (24,569,988,954) | (35,809,149,548) |
비지배주주지분 | (534,410,066) | - |
주당손익 | ||
기본주당손실 | (1,174) | (1,971) |
희석주당손실 | (1,424) | (2,053) |
- 연결 자본변동표
<연 결 자 본 변 동 표> |
제 23(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
제 22(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지배지분 소유주 지분 | 비지배지분 | 총계 | |||||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 결손금 | 합계 | |||
2021년 1월 1일 잔액 | 5,824,574,500 | 58,808,305,590 | 16,313,575,215 | 5,592,121 | (68,052,756,973) | 12,899,290,453 | - | 12,899,290,453 |
당기순손실 | - | - | - | - | (34,568,955,021) | (34,568,955,021) | - | (34,568,955,021)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1,207,675,244) | (1,207,675,244) | - | (1,207,675,244) |
전환사채의 보통주전환 | 184,425,000 | 4,616,580,044 | - | - | - | 4,801,005,044 | - | 4,801,005,044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보통주전환 | 796,576,500 | 13,579,292,209 | - | - | - | 14,375,868,709 | - | 14,375,868,709 |
유상증자 | 2,097,902,000 | 83,801,920,920 | - | - | - | 85,899,822,920 | - | 85,899,822,920 |
무상증자 | 1,647,193,500 | (1,957,635,880) | - | - | - | (310,442,380) | - | (310,442,380) |
주식선택권의 행사 | 92,241,500 | 2,147,337,198 | 46,250,000 | - | - | 2,285,828,698 | - | 2,285,828,698 |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61,826,000 | 3,402,192,800 | - | - | - | 3,464,018,800 | - | 3,464,018,800 |
주식보상비용 | - | - | 1,362,933,026 | - | - | 1,362,933,026 | - | 1,362,933,026 |
해외사업환산 | - | - | - | (32,519,283) | - | (32,519,283) | - | (32,519,283) |
2021년 12월 31일 잔액 | 10,704,739,000 | 164,397,992,881 | 17,722,758,241 | (26,927,162) | (103,829,387,238) | 88,969,175,722 | - | 88,969,175,722 |
2022년 1월 1일 잔액 | 10,704,739,000 | 164,397,992,881 | 17,722,758,241 | (26,927,162) | (103,829,387,238) | 88,969,175,722 | 88,969,175,722 | |
당기순손실 | (24,477,346,968) | (24,477,346,968) | (695,799,408) | (25,173,146,376)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161,389,342 | 161,389,342 | 161,389,342 | |
전환사채의 보통주전환 | - | - | - | -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보통주전환 | 31,931,000 | 578,051,247 | - | - | - | 609,982,247 | 609,982,247 | |
유상증자 | ||||||||
무상증자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 | 43,127,000 | (46,250,000) | - | - | (3,123,000) | (3,123,000) | |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2,500,000 | - | - | - | 2,500,000 | 2,500,000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상환 | (1,461,489,927) | - | - | (1,461,489,927) | (1,461,489,927) | |||
주식보상비용 | - | - | 2,815,436,266 | - | - | 2,815,436,266 | 102,686,207 | 2,918,122,473 |
종속기업의유상증자 | 716,569,045 | - | - | 716,569,045 | 2,694,667,075 | 3,411,236,120 | ||
해외사업환산 | - | - | - | 579,499 | - | 579,499 | 579,499 | |
2022년 12월 31일 잔액 | 10,739,170,000 | 165,019,171,128 | 19,747,023,625 | (26,347,663) | (128,145,344,864) | 67,333,672,226 | 2,101,553,874 | 69,435,226,100 |
- 연결 현금흐름표
<연 결 현 금 흐 름 표> |
제 23(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
제 22(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3(당) 기 | 제 22(전) 기 |
---|---|---|
영업활동 현금흐름 | (18,805,841,744) | (30,004,305,850)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 (19,929,213,303) | (30,414,708,167) |
이자의 수취 | 1,270,784,879 | 405,255,590 |
이자의 지급 | - | (8,506,853) |
법인세의 환급(납부) | (147,413,320) | 13,653,580 |
투자활동 현금흐름 | 17,487,109,355 | (56,676,587,489) |
금융기관예치금의 증가 | (4,700,000,000) | (65,522,000,000) |
금융기관예치금의 감소 | 18,300,000,000 | 22,0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증가 | (1,312,042,660) | (12,54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감소 | 6,908,657,963 | 1,545,121,926 |
파생상품자산의 감소 | - | 524,698,277 |
기타금융자산(비유동)의 증가 | (51,000,000) | - |
기타금융자산(비유동)의 감소 | 51,000,000 | 18,936,000 |
종속기업의 취득 | (800,000,000) | |
관계기업의 처분 | ||
유형자산의 취득 | (767,861,348) | (2,377,726,394) |
유형자산의 처분 | 5,361,500 | - |
무형자산의 취득 | (147,006,100) | (449,407,298) |
무형자산의 처분 | - | 123,790,000 |
재무활동 현금흐름 | 879,971,972 | 86,623,838,581 |
유상증자 | - | 85,899,822,920 |
종속기업의 유상증자 | 3,411,236,120 | - |
무상증자 | - | (310,442,380)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상환 | (2,950,363,418) | |
전환사채의 상환 | (1,000,000,000)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 | 2,285,828,698 |
주식 전환비용 등 | (908,410) | (6,207,044) |
리스부채의 상환 | (353,136,364) | (272,800,307) |
상환의무가 있는 정부보조금의 수령 | 773,144,044 | 144,624,486 |
상환의무가 있는 정부보조금의 상환 | - | (116,987,792) |
현금의 증가(감소) | (438,760,417) | (57,054,758) |
기초의 현금 | 2,634,810,697 | 2,723,150,133 |
환율변동효과 | (150,090,649) | (16,964,897) |
기말의 현금 | 2,045,959,631 | 2,649,130,478 |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
제 23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22 기 : 2021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23(당) 기 기말 | 제 22(전) 기 기말 |
---|---|---|
자 산 | ||
유동자산 | 63,512,445,655 | 87,094,656,389 |
현금및현금성자산 | 1,708,135,407 | 1,639,744,359 |
금융기관예치금 | 54,158,000,000 | 72,158,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328,542,016 | 10,840,537,706 |
매출채권 | 898,072,036 | 731,321,114 |
기타금융자산 | 464,539,374 | 296,707,407 |
기타유동자산 | 261,610,598 | 591,279,870 |
당기법인세자산 | 195,537,060 | 62,668,960 |
재고자산 | 498,009,164 | 774,396,973 |
비유동자산 | 14,364,002,221 | 17,328,022,644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632,324,532 | 4,076,175,230 |
기타금융자산 | 678,873,840 | 596,827,840 |
유형자산 | 4,615,193,740 | 4,803,831,941 |
사용권자산 | 1,000,047,040 | 1,058,738,358 |
무형자산 | 827,333,501 | 761,272,515 |
파생상품자산 | - | 5,048,976,558 |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투자 | 3,610,229,568 | 982,200,202 |
자 산 총 계 | 77,876,447,876 | 104,422,679,033 |
부 채 | ||
유동부채 | 4,675,450,620 | 9,567,774,124 |
매입채무 | 863,838,865 | 1,894,144,240 |
계약부채 | 166,666,667 | - |
신주인수권부사채 | 1,392,448,974 | 2,994,558,932 |
전환사채 | - | - |
리스부채 | 329,003,647 | 272,626,544 |
기타금융부채 | 984,641,492 | 2,167,553,251 |
파생상품부채 | 830,097,371 | 2,100,500,223 |
기타유동부채 | 108,753,604 | 138,390,934 |
비유동부채 | 6,409,630,285 | 6,412,741,154 |
신주인수권부사채 | - | |
전환우선주부채 | - | |
리스부채 | 596,047,504 | 676,060,111 |
복구충당부채 | 139,285,653 | 129,920,870 |
순확정급여부채 | 4,535,866,975 | 4,055,121,611 |
기타장기종업원부채 | 210,715,100 | 239,052,296 |
기타금융부채 | 927,715,053 | 144,670,622 |
파생상품부채 | - | - |
이연법인세부채 | - | 1,167,915,644 |
부 채 총 계 | 11,085,080,905 | 15,980,515,278 |
자 본 | ||
자본금 | 10,739,170,000 | 10,704,739,000 |
주식발행초과금 | 165,019,171,128 | 164,397,992,881 |
기타자본항목 | 19,825,636,526 | 17,722,758,241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 |
결손금 | (128,792,610,683) | (104,383,326,367) |
자 본 총 계 | 66,791,366,971 | 88,442,163,755 |
부채및자본총계 | 77,876,447,876 | 104,422,679,033 |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23(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
제 22(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3(당) 기 | 제 22(전) 기 |
---|---|---|
매출액 | 5,337,523,594 | 3,242,116,197 |
매출원가 | 2,547,374,797 | 1,737,788,474 |
매출총이익 | 2,790,148,797 | 1,504,327,723 |
판매비와관리비 | 23,416,602,153 | 36,167,676,495 |
영업손실 | (20,626,453,356) | (34,663,348,772) |
기타수익 | 286,378,866 | 370,142,271 |
기타비용 | 1,307,120,269 | 527,120,882 |
금융수익 | 2,529,102,376 | 5,579,733,833 |
금융비용 | 5,593,509,684 | 5,904,536,855 |
지분법이익(손실) | (1,026,987,235) | (17,799,79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25,738,589,302) | (35,162,930,203) |
법인세수익 | (1,167,915,644) | (83,990,478) |
당기순손실 | (24,570,673,658) | (35,078,939,725) |
기타포괄손익 | 161,389,342 | (1,207,675,244)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61,389,342 | (1,207,675,244)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지분법자본변동 | - | |
총포괄손실 | (24,409,284,316) | (36,286,614,969) |
주당손익 | ||
기본주당손실 | (1,146) | (2,000) |
희석주당손실 | (1,395) | (2,080) |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
제 23(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
제 22(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 결손금 | 총계 |
---|---|---|---|---|---|---|
2021년 1월 1일 잔액 | 5,824,574,500 | 58,808,305,590 | 16,313,575,215 | - | (68,096,711,398) | 12,849,743,907 |
당기순손실 | - | - | - | - | (35,078,939,725) | (35,078,939,725)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1,207,675,244) | (1,207,675,244) |
전환사채의 보통주전환 | 184,425,000 | 4,616,580,044 | - | - | - | 4,801,005,044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보통주전환 | 796,576,500 | 13,579,292,209 | - | - | - | 14,375,868,709 |
유상증자 | 2,097,902,000 | 83,801,920,920 | - | - | - | 85,899,822,920 |
무상증자 | 1,647,193,500 | (1,957,635,880) | - | - | - | (310,442,380) |
주식선택권의 행사 | 92,241,500 | 2,147,337,198 | 46,250,000 | - | - | 2,285,828,698 |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61,826,000 | 3,402,192,800 | - | - | - | 3,464,018,800 |
주식보상비용 | - | - | 1,362,933,026 | - | - | 1,362,933,026 |
2021년 12월 31일 잔액 | 10,704,739,000 | 164,397,992,881 | 17,722,758,241 | - | (104,383,326,367) | 88,442,163,755 |
2022년 1월 1일 잔액 | 10,704,739,000 | 164,397,992,881 | 17,722,758,241 | - | (104,383,326,367) | 88,442,163,755 |
당기순손실 | - | - | - | - | (24,570,673,658) | (24,570,673,658)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161,389,342 | 161,389,342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보통주전환 | 31,931,000 | 578,051,247 | - | - | - | 609,982,247 |
주식선택권의 행사 | 2,500,000 | 43,127,000 | (46,250,000) | - | - | (623,000)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상환 | - | - | (1,461,489,927) | - | - | (1,461,489,927) |
주식보상비용 | - | - | 2,755,601,611 | - | - | 2,755,601,611 |
지분법자본잉여금 | - | - | 855,016,601 | - | - | 855,016,601 |
2022년 12월 31일 잔액 | 10,739,170,000 | 165,019,171,128 | 19,825,636,526 | - | (128,792,610,683) | 66,791,366,971 |
- 별도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
제 23(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
제 22(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2(당) 기 | 제 21(전) 기 |
---|---|---|
영업활동 현금흐름 | (16,217,209,021) | (30,079,419,343)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 (17,260,527,450) | (30,489,821,660) |
이자의 수취 | 1,176,186,529 | 405,255,590 |
이자의 지급 | - | (8,506,853) |
법인세의 환급(납부) | (132,868,100) | 13,653,580 |
투자활동 현금흐름 | 18,772,864,217 | (57,537,423,034) |
금융기관예치금의 증가 | (65,000,000,000) | |
금융기관예치금의 감소 | 18,000,000,000 | 22,0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 (1,312,042,660) | (12,54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6,908,657,963 | 1,545,121,926 |
파생상품자산의 감소 | - | 524,698,277 |
기타금융자산(비유동)의 증가 | (1,246,635,000) | (384,681,000) |
기타금융자산(비유동)의 감소 | 51,000,000 | 18,936,000 |
종속기업의 취득 | (2,800,000,000) | (1,000,000,000) |
관계기업의 처분 | ||
유형자산의 취득 | (713,268,421) | (2,375,880,939) |
유형자산의 처분 | 5,361,500 | |
무형자산의 취득 | (120,209,165) | (449,407,298) |
무형자산의 처분 | 123,790,000 | |
재무활동 현금흐름 | (2,487,264,148) | 86,623,838,581 |
유상증자 | 85,899,822,920 | |
무상증자 | (310,442,380)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상환 | (2,950,363,418) | |
전환사채의 상환 | (1,000,000,000)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2,285,828,698 | |
주식 전환비용 등 | (908,410) | (6,207,044) |
리스부채의 상환 | (309,136,364) | (272,800,307) |
상환의무가 있는 정부보조금의 수령 | 773,144,044 | 144,624,486 |
상환의무가 있는 정부보조금의 상환 | (116,987,792) | |
현금의 증가(감소) | 68,391,048 | (993,003,796) |
기초의 현금 | 1,639,744,359 | 2,632,748,155 |
당기말의 현금 | 1,708,135,407 | 1,639,744,359 |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 (안) |
제 23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22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3(당) 기 | 제 22(전) 기 | ||
---|---|---|---|---|
미처리결손금 |
| (128,792,610,683) |
| (104,383,326,367) |
전기이월결손금 | (104,383,326,367) |
| (68,096,711,398)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61,389,342 |
| (1,207,675,244) |
|
당기순손실 | (24,570,673,658) |
| (35,078,940,725) |
|
결손금처리액 |
| - |
| - |
차기이월 미처리결손금 |
| (128,792,610,683) |
| (104,383,326,367)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000,000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82,616,358원 |
최고한도액 | 2,0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2,500,000원 |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한 각 부여대상 임직원별 동기부여 및 장기 인센티브 성격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 회사의 기업가치 제고를 추진하고자 함.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권선종 외3명 주1) | 직원 | 이사 | 보통주 | 140,000 |
윤형수 외 23명 주2) | 직원 | 상무이사 외 | 보통주 | 307,500 |
총( 28 )명 | - | - | - | 총(447,500)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 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신주발행 교부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보통주식 447,500주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주1) 2022년 8월 1일 부여건 가) 부여 당시 행사가격 : 10,130원 나) 행사기간 : 2025년 08월 01일 ~ 2030년 07월 31일 다) 조정 후 행사가격 : 10,045원 주2) 2022년 9월 6일 부여의 건 가) 부여 당시 행사가격 : 9,423원 나) 행사기간 : 2025년 09월 06일 ~ 2030년 09월 05일 다) 조정 후 행사가격 : 9,375원 ※ 행사조건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로부터 3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5년 내에 행사할 수 있으며, 부여일로부터 3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행사할 수 있음. 다만, 3년이 경과한 후에 퇴직한 경우에는 퇴직일로부터 3월 이내에 행사하여야 한다. | - |
기타 조건의 개요 | 1. 행사가격 및 부여수량 조정에 관한 사항 : 부여일 이후 실시한 유무상 증자, 주식배당,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주식분할, 액면분할 및 병합, 합병 등을 실시하여 주식가치의 희석화가 이뤄지는 경우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계약 및 관계법령에 의해 그 행사가격 및 수량 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 조정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 결의에 따라 할 수 있음. 2.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 등에 관련한 모든 절차는 정관 및 운영규정과 관계법규등을 준수하고, 주식매수선택권 계약서에 따름. |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주식수 | 잔여주식수 |
---|---|---|---|---|
21,478,340 | 발행주식총수의100분의15의 범위 내 | 보통주 | 3,221,751 | 2,548,251 |
- 최근 2사업연도와 당해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 종류 | 부여 주식수 | 행사 주식수 | 실효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2022년 | 9월 6일 | 24명 | 보통주 | 307,500 | - | - | 307,500 |
2022년 | 8월 1일 | 4명 | 보통주 | 140,000 | - | - | 140,000 |
2020년 | 7월 31일 | 3명 | 보통주 | 80,000 | - | - | 80,000 |
계 | 총( 31 )명 | 총( 527,500)주 | 총( 0 )주 | 총( 0 )주 | 총( 527,500)주 |
※ 기타 참고사항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결의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228006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