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ADM (187660) 공시 - 주요사항보고서 (중요한자산양수도결정(기타))

주요사항보고서 (중요한자산양수도결정(기타)) 2024-06-26 16:0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626000348


주 요 사 항 보 고 서


금융위원회 귀중 2024년 6월 26일



회       사       명 :

에이디엠코리아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김택성, 김광희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5길 19, 711호

(전  화) 02-730-1457

(홈페이지) http://www.admkorea.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지원본부장           (성  명) 김현우

(전  화) 02-730-1457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대표이사등의 확인서


Ⅰ. 보고 사유


중요한 자산양수도 결정(기타)

*중요한 자산양수도 결정(기타)는 별지서식 <제38-38호> 내지 <제38-43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중요한 자산양수도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1조 및 동법시행령 제171조에 의거하여 본 주요사항보고서를 제출합니다. 당사가 양수도 하고자하는 자산의 거래 가액 금 9,100,000,000원은 최근사업연도말(2023년 12월 31일 기준)재무제표 자산총액 (44,214,193,727원) 대비10%를 초과하는 20.58%에 해당함에 따라 본 주요사항보고서(중요한 자산양수도 결정)를 제출합니다.


Ⅱ. 보고 내용


1. 자산양수도에관한 기본사항


가. 자산양수도의 목적

(1) 거래 상대방(양도인)

구분 내용
회사명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오상기
소재지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아포공단길 106


(2) 대상자산

특허 등록번호 
특허 제목

KR 10-2378590 

PCT/KR2021/013215

KR 10-2022-7029548

AU 2021347778

BR 11 2022 016506 4

CA 3172805

CN 2021800115925

EG 13/2023

EP 21873003.4

HK 62022066010.9

ID IP00202301130

IN 202217046865

ISR 295552

 

JP 2022-54726

MX/a/2022/010597

MY PI2023000422

PH 1-2023-550071

RU 2022122486

SA 523442288

SG 11202301406V

TH 2201005205

UAE P6000310/2023

US 17/890,796 

VN 1-2022-05221

ZA 2022/08942

난용성 약물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복합체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Metal (hydr)oxide composite comprising poorly soluble dru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3) 배 경
당사는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가 보유한 특허 및 독점적 실시권을양수하여 유방암, 폐암의 항암제를 연구개발하여 그 산출물(의약품등)의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4) 회사의 경영, 재무, 영업 등에 미치는 중요 영향 및 효과

본건의 자산양수로 인해 당사의 유방암과 폐암 항암제 개발은 당사 임상사업분야와의 시너지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구축할 것입니다. 양수가액에 해당하는 91억원은 재무상태표상에 무형자산으로 계상되며, 동 금액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하여 합리적인 상각연수를 추정하여 정액법으로 무형자산상각비를 상각할 예정입니다.

(5) 향후 회사구조 개편에 관한 계획
본 자산의 양수가 회사구조 개편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나. 자산양수도의 구체적인 내용

(1) 자산양수도의 가액

[자산양수도가액]


(단위 : 원)
자산양수ㆍ도 가액 9,100,000,000



(2) 상법 제374조에 따른 “중요한 일부” 등의 해당 여부
    해당사항 없음

(3)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1조 2항에 따른 중요한 자산양수도 해당여부

양수하고자 하는 자산이 91억이며, 이는 당사의 최근 사업년도말(2023.12.31) 기준 자산총액 억 대비 20.58%이므로 중요한 자산양수도에 해당됩니다.

최근사업년도말 자산총액(A)
(2023. 12. 31 기준)
자산양수도가액(B) 비 율(B/A)
    44,214,193,727원 9,100,000,000원 20.58%

*최근사업연도말(2023.12.31) 자산총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임.

(4) 그 밖의 자산양수도의 방법상 특기할 만한 사항
1) 자산 양수도 가액  91억
 -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91억원
상기 자산양수도 가액 91억원은 2024-06-26일 이사회 결의로 전환사채 발행이 결정되어 2024-06-27일 납입될 전환사채 외부조달자금으로 지불될 예정입니다.

2) 마일스톤( Milestone Fee)
-단계별 지불금
 각 단계를 달성하는 경우 30일 이내
 1단계 : 미국 제2상 임상시험 '성공' 종료보고서 수령시 65억원
 2단계 : 미국 제3상 임상시험 '성공' 종료보고서 수령시 50억원
 3단계 : 미국 품목허가 취득 시 50억원

-경상기술료
 반기별 정산 보고서 제출일로부터 15일 이내 

  연간 순매출액 300억원 이하 구간 : 10%
 연간 순매출액 300억원 초과 1,000억원 이하 구간 : 5%
 연간 순매출액 1,000억원 초과 구간 : 3%

다. 진행경과 및 일정

구분 일정
외부평가계약체결일 2024-06-17
이사회결의일 2024-06-26
자산양수도계약일 2024-06-26
주요사항보고서(자산양수도)제출일 2024-06-26
자산양수도 기준일 2024-06-26

* 계약 체결일을 자산 양수도 기준일로 함

라. 양수도대금의 지급
자산양수도 가액 91억원은 2024-06-26일 이사회 결의로 전환사채 발행이 결정되어 2024-06-27일 납입될 전환사채 외부조달자금으로 지불될 예정입니다.


2. 자산양수도 상대방의 개요

(1) 회사의 개황

구분 양도인
명칭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오상기
소재지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아포공단길 106
설립일자 2000년 5월 25일
주요사업 바이오 화장품, 양모제 등 제조, 판매
상장여부 코스닥 상장
자본금 19,905,004,000원 (2023년 12월 31일 별도재무제표 기준)
최대주주 (주)씨앤팜


(2) 최근 3년간 요약재무정보(연결) 및 외부감사 여부

(단위: 원)
구 분 자산총액 부채총액 자본총액 자본금 매출액 당기순이익 감사인 감사의견
2023년  52,791,761,018 7,520,748,749 45,271,012,269 19,905,004,000 9,481,384,632 (14,499,357,710) 태성회계법인 적정
2022년 67,326,810,921 9,091,422,389 58,235,388,532 19,841,354,000 7,851,578,107 (15,807,267,634) 태성회계법인 적정
2021년 80,528,215,833 18,957,443,929 61,570,771,904 19,329,861,000 9,241,494,499 (20,051,086,939) 태성회계법인 적정



3. 외부평가기관의 개황

구분 내용
외부평가기관의 명칭 한울회계법인
대표이사 신상섭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8길 14, 신도빌딩 3~8층, 10층
평가책임자 (직책) 이사 (성명) 박인호

* 외부평가기관의 독립성 : 당 법인은 양수인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 4 및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 5'에 의한 특수관계에 있지 아니합니다. 또한, '공인회계사법 제21조 및 제33조'에 의한 평가 및 직무의 제한을 받지 아니합니다.



4. 자산양수도가액 및 그 산출근거


(1) 자산양수도 가액

(단위: 원)
구 분 자산총액
자산양수도 가액 9,100,000,000


(2) 외부평가

한울회계법인(이하 "본 평가인" 또는 "당 법인")은 에이디엠코리아 주식회사(이하 "회사" 또는 "양수인")와 체결한 용역계약에 따라 회사의 최대주주인 주식회사 현대바이오사이언스(이하"양도인")로부터 특허기술(특허출원 제10-2021-0053340호)을 적용하여 난용성 물질인 니클로사마이드의 생체 이용률을 개선하여 폐암 및 유방암 치료제로 활용하기 위한 독점적 실시권 양수계약(이하 "양수대상자산" 또는 "평가대상자산")과 관련하여 2024년 5월 31일(이하 "평가기준일")을 기준일로 하여 양수대상자산거래가액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본 평가의견서는 평가대상자산의 취득을 위한 회사의 내부의사결정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제출하는 주요사항보고서의 작성 및 첨부자료로 이용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그 이외의 다른 용도로 이용하거나 귀사와 고유목적관계자 외 제 3자에 의해 이용되어서는 아니되며, 당 법인은 본 의견서가 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그 과정이나 결과로 발생하는 모든 손해에 대하여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당 법인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금융감독원이 제정한 "외부평가업무 가이드라인"과 한국공인회계사회가 제정한 "가치평가서비스 수행기준"을 준수하였습니다.

당 법인은 평가대상자산의 평가를 위하여 현금흐름할인법(DCF; Discounted Cash Flow Approach)을 적용하였습니다.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함에 있어 평가대상자산이임상 진행 중인 기술 무형자산이라는 특성에 따라, 당 법인은 임상 단계별 성공확률을 과거의 통계치 등을 활용하여 향후 현금흐름에서 직접 조정하는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r-NPV: Risk Adjustment Net Present Value)을 적용하였습니다.

당 법인이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하여 평가한 2024년 5월 31일(이하 "평가기준일")현재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는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가정에 따라 22,323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4.91%, 영구성장률: 0.00%)에서 31,756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2.91%, 영구성장률: 0.00%)의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합의된 양수대상자산의 양수예정가액(반환 조건 없는 Upfront Fee 9,100만원)과 향후 조건 달성시 지급될 수 있는 Milestones Fee 및 Running royalty는 평가기준일 현재 현금흐름할인법으로 평가한 상기 평가금액 범위를 고려할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부적정하다고 판단할만한 근거가 발견되지 아니하였습니다.

평가대상기술의 가치는 74,409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4.91%, 영구성장률: 0.00%)에서 105,852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2.91%, 영구성장률: 0.00%)의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본 보고서 이용 시 다음 사항들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신약 개발의 불확실성

평가대상자산과 관련된 신약은 임상을 준비 중입니다. 본 보고서는 임상성공확률(Probability of Success, 이하 "PS") 개념을 통하여 성공 가능성을 확률적으로 계량화하여 향후 매출액을 추정하였으나, 근본적으로 신약 개발의 성공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임상통과, 신약등록(NDA), 상업화 등의 단계의 통과여부에 따라, 자산의 경제적 가치의 규모가 아닌, 자산화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사업에 내재된 불확실성과는 별도로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 법인의 상기 평가 결과는 본 의견서에 기재된 가정과 제약조건 및 의견서 이용상의 유의사항에 따라 도출된 것이며, 당 법인이 수행한 업무의 범위 및 평가의 한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본 의견서에 기술된 절차는 일반적인 회계감사기준에 따른 감사절차가 아니므로 당 법인은 본 의견서에 포함된 내용에 대하여 감사의견을 표명하지 아니하며, 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보증도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만약, 회계감사기준에 따른 추가적인 감사절차를 수행하였다면 본 의견서에 언급되지 아니한 추가적인 발견사항, 변경사항 또는 기타 예외사항이 발견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당 법인은 본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독립적인 입장에서 회사가 제시한 과거 재무정보, 미래 추정재무자료 및 관련 근거자료, 기타 외부연구기관의 시장전망자료 등에 대하여 제반 가정의 합리성과 기초자료의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회사의 양수도대상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제시자료에 대한 증빙확인 및 외부조회 등 제시된 자료의 진위 및 적정성 확인을 위한 충분한 절차를 수행하지 아니하였습니다. 따라서, 제시된 자료에 변동사항이 발생하거나 제시된 자료가 사실과 다른경우에는 그에 따라 양수도가액 평가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첨언하며, 본 양수도가액의 평가금액이 양수도대상 자산의 절대적인 가치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미래기간에 대한 추정은 평가대상자산의 경영진에 의한 경영전략이나 영업계획의 수정 등 다양한 제반 요소들의 변동에 따라 중대한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본 평가의견서상의 추정치가 장래의 실적치와 일치하거나 유사할 것이라는 것을 당 법인이 보증하거나 확인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본 평가의견서에서 사용된 것과 다른 평가방법이나 다른 제반 가정이 사용될 경우, 양수도가액의 평가결과는 본 평가의견서의 결과와 중대한 차이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연도별 추정 및 자본비용 산정시 각종 비율을 적용하여 표기함에 따라 합계 등에서 발생한 단수차이는 무시합니다.

본 평가의견서는 의견서 제출일(2024년 6월 26일) 현재로 유효한 것 입니다. 따라서 의견서 제출일 이후 본 의견서를 열람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에 양수도대상 자산의 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나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당법인이 제시하는 양수도대상 자산의 평가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또한 그러한 사항은중요할 수 있습니다. 당 법인은 평가의견서 제출일 이후 알게 된 정보에 대하여 본 평가의견서를 갱신할 의무가 없습니다.

본 평가의견서의 이용자는 평가의견서에 기술한 바와 같이 당 법인이 수행한 업무의 범위 및 한계점, 그리고 검토시 전제된 제반 가정과 가정의 상황변화에 따른 변동가능성 등을 충분히 숙지하여야 합니다.

외부평가기관의 독립성 :
당 법인은 양수인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 4 및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 5'에 의한 특수관계에 있지 아니합니다. 또한, '공인회계사법 제21조 및 제33조'에 의한 평가 및 직무의 제한을 받지 아니합니다.


평가계약일자 : 2024년  6월 17일
평  가  기  간 : 2024년  6월 18일 ~ 2024년  6월 26일
제  출  일  자 : 2024년  6월 26일
평 가 회 사 명:  한울회계법인
대  표  이  사 :  신 성 섭 (인)
본 점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88길 14, 7층(대치동, 신도빌딩)
평 가 책 임 자:

(직책) 상무 (성명) 박 인 호 (인)
(전화번호) 02-2009-5700



1. 자산양수도의 방법 및 요령

평가기준일 현재 에이디엠코리아 주식회사(이하 "회사" 또는 "양수인")는 주식회사 현대바이오사이언스(이하 "양도인")과 양도인의 지배회사인 주식회사 씨엔팜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기술(특허출원 제10-2021-0053340호)을 적용하여 난용성 물질인 니클로사마이드의 생체 이용률을 개선하여 폐암 및 유방암 치료제로 활용하기 위한 독점적 실시권을 반환 조건 없는 Upfront Fee 9,100백만원과 향후 조건 달성시 지급될 수 있는 Milestones Fee 및 Running royalty에 양수할 예정입니다.


2. 자산양수가액에 대한 평가

2.1. 양수인 및 양도인 개요

구분 양수인 양도인 양도인
회사명 에이디엠코리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씨앤팜
대표이사 김택성,김광희 오상기 정현범
주 소 본 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5길 19, 711호(당주동, 로얄빌딩)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
아포공단길 10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B-45
연락처 02-730-1457 02-1544-3194 070-7008-1046
설립연월일 2003년 10월 31일 2000년 5월 25일 2001년 1월 11일
납입자본금(*1) 2,184백만원 19,910백만원 1,568백만원
자산총액(*1) 44,107백만원 53,932백만원 144,586백만원
결산기 12월 31일 12월 31일 12월 31일
발행주식의
종류 및 수
보통주 23,480,980주 보통주 39,820,608주 보통주 15,414,789주
우선주 269,924주

※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1) 2024년 3월 31일 사업보고서기준, (주)씨앤팜은 2023년 12월 31일 감사보고서기준

2.2.  평가의 개요

 

2.2.1.  평가의 목적


본 평가의 목적은 회사가 평가대상자산을 양수함에 있어 동 양수도가액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1조 및 동법 시행령 제171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는 주요사항보고서의 첨부서류로 사용될 목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2.2.2. 평가의 방법

(1) 일반적인 평가의 방법

평가대상자산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자산가치 평가방법, 수익가치 평가방법, 시장가치 평가방법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등의 법률 및 규정에 의한 평가방법 등이 있으며, 주요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산접근법

자산접근법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순자산의 가치를 이용하여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를 결정하는 가치평가접근법입니다. 자산접근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재무상태표상모든 자산, 부채는 가치평가기준일의 공정가치로 측정되어야 합니다. 자산접근법은 그 평가방법이 비교적 단순하고 객관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장부상 반영되지 아니한 무형의 가치를 반영하기 어렵고,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기업이라는 실체가 미래 수익과 현금 창출을 목적으로 존재하는 계속 기업을 가정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수익창출 능력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2)  수익접근법

수익접근법은 기업이 평가일 현재 보유한 유ㆍ무형의 자산을 통하여 미래에 창출해 낼 것으로 기대되는 수익 또는 현금흐름을 그 수익 창출에 내재된 위험 요인을 고려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써, 현금흐름할인법(Discounted Cash Flow Method, 이하 "DCF")으로 주로 평가합니다. 현금흐름할인법은 실무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이론적으로도 가장 우수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업가치는 미래 잉여현금흐름, 가중평균자본비용, 추정기간 이후의영구가치 등의 세 가지 주요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3)  시장접근법

시장접근법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과 평가대상자산의 재무상황이나 가치창출 동인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증권시장에서 형성된 주가로 주식발행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고, 비상장기업의 가치는 객관적인 시장가치는 존재하지 않으나 동일한 업종에 속하고 규모가 비슷한 상장기업의 주가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가치(유사회사비교법)를 산정할 수 있지만, 해당 가치 평가방법은 최대주주 지분과 같이 경영권을 수반한 지분 평가시 적합하지 않은 평가방법입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상장기업의 경우 증권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에 경영권 프리미엄을 가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비상장기업의 경우 동일한 업종에 속한 회사들의 거래사례를 통해 상대적인 가치(유사거래사례비교법)를 산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비교 대상이 되는 상장기업이나 거래사례 선정 시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있습니다.


4)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평가방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평가방법은 우리나라 증권 발행 시장에서 대표적인 주식가치 평가방법으로 합병비율 평가 등의 경우 객관적인 기업의 주식가치평가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자산가치와 향후 적절한 수익가치를 가중평균하여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2) 본 평가업무에 적용한 방법

당 법인은 평가업무 시 한국공인회계사회가 제정한 "가치평가서비스 수행기준" 및 금융감독원에서 제정한 "외부평가업무 가이드라인"에 따라 자산접근법, 시장접근법, 수익접근법 등을 모두 고려하였으며, 평가대상자산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익접근법 중 현금흐름할인법에 의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습니다. 현금은 평가대상자산의 모든 활동을 경제적으로 환산시켜 주는 지표이며, 평가대상자산이 창출하는 현금흐름은 기업의 모든 기대수익과 위험을 반영한 결과물입니다. 따라서 현금흐름할인법은 일반적으로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를 가장 합리적으로 반영한다고 인정되므로, 본 평가시에 수익접근법으로 채택하였습니다.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함에 있어 평가대상자산이 임상 진입 이전 단계의 기술무형자산이라는 특성에 따라, 당 법인은 임상 단계별 성공확률을 과거의 통계치 등을 활용하여 향후 현금흐름에서 직접 조정하는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r-NPV: Risk Adjustment Net Present Value)을 적용하였습니다.

수익접근법 중 현금흐름할인법은 평가대상이 보유한 유ㆍ무형의 자산을 통해서 미래에 창출할 현금흐름을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써 계속기업의  유지 및 수익창출이 기대될 경우 가치평가모델을 정교하게 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평가에서는 평가대상자산의 미래 수익창출능력을 기초로 하는 현금흐름할인법을 평가방법으로 적용하여 평가하였습니다. 특히, 평가대상자산과 관련된 매출이 추후 임상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바, 이러한 변동사항을 중장기적으로 반영할수 있는 현금흐름할인법이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본 평가업무에서 사용하지 않은 자산접근법, 시장접근법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평가방법에서 제외하였습니다.

자산접근법은 그 평가방법이 비교적 단순하고 객관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자산접근법을 활용하여 재무상태표상의 평가대상자산을 평가할 경우, 평가대상자산을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미래 경제적 효익을 반영할 수 없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본 평가의견서에서는 자산접근법을 적용하지 아니하였습니다.

시장가치 평가방법의 경우는 동 평가대상자산이 회사나 주식의 가치가 아니며 향후에 수익을 창출하는 무형의 가치인 라이선스 지적재산권이라는 점과, 유사거래를 찾는 것이 곤란한 점을 고려하여 평가방법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또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평가방법은 이론적으로 보편적인 가치 평가방법이 아니며, 본 평가업무가 합병을 위한 업무가 아니므로 본 평가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바, 본 평가업무에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가치평가는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2.2.3.  정보의 원천

 

본 평가를 위하여 당 법인은 다음과 같은 자료를 사용하였습니다.

 

(1)  회사가 제시한 과거 재무정보 및 미래 사업계획 자료

(2)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이하 "EIU") 및 외부 시장전망자료

(3)  KISLINE 및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 기업 재무정보 및 산업분석 자료

(4)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KOFIA Bond)에서 제시된 신용등급별 채권수익률


2.2.4.  평가의견서 이용시 유의사항

 

본 의견서 이용시 충분히 고려하고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관련하여 별첨 1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평가의견서 사용목적의 한계

 

본 평가의견서는 양수대상자산의 취득을 위한 회사의 내부의사결정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시하고 자산양수와 관련한 주요사항보고서의 작성 및 첨부서류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인 바, 그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평가의견서에서 제시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사전 상의 없이 타 용도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당 법인은 그 과정이나 결과로 발생하는 모든 손해에 대하여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본 평가의견서는 양수대상자산의 양수가액의 적정성을 검토한 것으로서 본 평가의견서에 포함된 평가액 등이 평가대상자산의 절대적인 가치 혹은 장래 실적치를 제시하거나 보증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평가의견서의 이용시 평가에 적용된 방법과 한계를 충분히 고려하여야 합니다.

 

(2)  미래손익 등의 추정

 

본 평가를 위해 자료를 작성하고 제시하는 책임은 회사에 있으며, 당 법인의 업무는 회사가 제시한 사업계획 등 제반 가정의 합리성과 기초자료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양수대상자산의 가치를 평가하여 거래가액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회사에서 제시한 자료에 변동사항이 발생하거나 평가대상자산의 향후 추정실적,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시장환경과 같은 기타 국내외 거시경제환경 등 제반 가정 또는 경제환경에 변동이 있는 경우 그에 따라 검토결과가달라질 수 있으며, 그 차이는 중요할 수 있습니다.

 
(3) 가치 배분 비율 결정

회사는 최대주주인 양도인으로부터 평가대상자산의 독점적 실시권 양수계약을 통해 특허기술(특허출원 제10-2021-0053340호)을 적용하여 난용성 물질인 니클로사마이드의 생체 이용률을 개선하여 폐암 및 유방암 치료제로 사업화 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회사는 양도인으로 부터 기술 실시에 따른 로얄티 등을 지불하여야 하며 양 당사자가 양수도계약에 동의할 수 있는 가치배분율 결정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계약 대상 기술의 개발 단계에 따른 가치배분 방식을 적용하였습니다.

제약업계 라이선스 딜 가치 배분비율
단계 라이선스 수여자 라이선스 취득자
전임상 10%~20% 80%~90%
1상 20%~40% 60%~80%
2~3상 40%~60% 40%~60%
승인 60%~80% 20%~40%

※ 출처: Springer, Valuation in Life Sciences, 2010., (주)다래전략사업화센터 기술가치평가 보고서

회사의 평가대상자산에 대한 기술개발 단계는 전임상을 진행하고 있으나 평가대상기술이 코로나 적응증으로 하여 긴급사용 승인 결과를 기다리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1상의 배분비율의 평균값인 수여자 30%, 취득자 70%의 가치로 배분방식을 적용하였습니다.

(4)  기타 유의사항

 

상기 (1) 내지 (3) 이외에도 본 평가의견서와 관련하여 언급한 한계나 문제점 등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합니다.

 

3. 양수대상자산 평가결과요약


3.1. 평가결과 상세

당 법인이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하여 평가한 2024년 5월 31일(이하 "평가기준일")현재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는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가정에 따라 22,104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4.15%, 영구성장률: 0.00%)에서 32,820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2.15%, 영구성장률: 0.00%)의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금액
A. 추정기간 동안의 영업가치 90,803
B. 추정기간의 이후의 영구가치(*) -
C. 평가대상기술의 가치(C=A+B) 90,803
D. 평가대상자산의 가치(D=C*30%) 27,241

(*) 추정기간의 최종연도인 2047년 이후 현금흐름은 미래 불확실성이 높음에 따라 영구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0"으로 추정하였습니다.


3.2. 민감도분석 결과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을 변수로 하여 평가대산자산 가치의 민감도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가중평균할인율 (WACC) 
12.91% 13.91% 14.91%
A. 평가대상기술의 가치 105,852 90,803 74,409
B. 평가대상자산의 가치(B=A*30%) 31,756 27,241 22,323



4. 평가대상자산에 대한 이해

4.1. 평가대상자산 개요

평가대상자산은 특허기술(특허출원 제10-2021-0053340호)을 적용하여 전세계에 폐암 및 유방암 치료제로 활용하는 독점적 실시권으로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약 상대방 주식회사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씨앤팜
대상지역 전세계
지급금액 1) Upfront Fee(선급금): 금 9,100,000,000원 (반환조건 없음)
2) Milestone Fee(마일스톤):
-금 6,500,000,000원 (미국 제2상 임상 성공종료보고서 수령시)
-금 5,000,000,000원 (미국 제3상 임상 성공종료보고서 수령시)
-금 5,000,000,000원 (미국 품목허가 취득시)
3) 로열티: 매출에 따라 정해진 율에 의해 별도 지급
계약조건 특허기술(특허출원 제10-2021-0053340호)을 적용하여 난용성 물질인 니클로사마이드의 생체 이용률을 개선하여 폐암 및 유방암 치료제로 활용하기 위한 독점적 실시권을 계약 상대방으로부터 취득


4.2. 평가대상기술의 특징
평가대상기술은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에 기반한 항암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종래에 구충제로 알려진 니클로사마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이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한 경구제제의 암 치료제로의 개발에 관한 것입니다. 평가대상기술은 니클로사마이드의 다양한 약리학적활성 중 항암 활성을 이용하여 p53을 타깃하는 대사 항암제로 개발되고 있으며, 난용성 약물인 
니클로사마이드의 생체이용률을 개선한 제제적 특징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평가대상기술의 원료물질인 니클로사마이드는 Wnt/β-catenin, mTORC1, STAT3, NF-κB 및 Notch 신호 경로를 억제하고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표적으로 하여 세포 주기 정지, 성장 억제 및 세포 자멸사를 유도하여 다중 골수종 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며, 암 줄기세포의 여러 신호 경로를 하향 조절하여 종양 형성을 억제합니다. 또한, 평가대상기술은 신약재창출 방법을 활용하여 기본적인 약물의 안전성을 확보한 상태이고, 소수성의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생체이용률이 낮은 니클로사마이드에 나노하이브리드 기술을 적용하여 생체이용률을 극대화함으로써 P53 돌연변이 발현 암종인 폐암 및 유방암 치료에 높은 치료 성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평가대상기술은 생체친화적 미네랄 금속수산화물을 약물전달체로 활용하여 미세기공 내에 약재를 탑재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약물의함유량을 최대화하였고, 인체 내에서 물에 대한 용해 특성을 확보하였고 장시간 약물방출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기존 니클로사마이드의 약점인 난용성 특성과생체이용률을 최대화하였으며, 화학요법제, 표적치료제, 방사선 요법, 면역 요법제와의 병용치료 전략이 가능하여 유방암, 폐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에서 우수한 고형암 항암제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4.3. 회사에 대한 이해

회사는 2003년 10월에 설립된 코스닥상장기업이며, 임상시험수탁(CRO) 서비스 사업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2024년 5월 현대바이오사이언스㈜에 인수된 후 항암제 개발에 필요한 임상기획 및 인허가 역량을 기반으로 유방암 치료제, 폐암 치료제 등의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글로벌 항암제 전문기업으로 변환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대바이오사이언스(주) 및 (주)씨앤팜으로부터 평가대상기술을이전받아 전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임상2상 시험 완료 후 글로벌 파마에게 라이선스 아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4.4. 항암제 시장 동향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암 환자들에게 개선된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기업들은 새로운 항암치료제를 발견, 개발 및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항암치료제 시장은 2023년 약 1,544억 달러에서 2030년 약 2,578억 달러로 연평균 7.6%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항암치료제의 R&D연구가 확장되면서 새로운 항암치료제가 출시됨에 따라 환자의 접근과 치료제의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매우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수는 최근 5년간(2018년~2022년) 평균 5%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이는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접근이 확대됨에 따라 향후 5년간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한 암 환자 수 증가와 선진국 시장에서의 항암치료에 대한 꾸준한 주도, 저소득 시장에서의 항암치료에 대한 접근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됩니다. 선진국 시장에서 1인당 항암치료율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저소득 시장과 파머징마켓 대비 평균 5배 이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항암치료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미국·영국 등 선진국 시장에서는 증가하였습니다. 파머징마켓 및 저소득 시장은 최근 5년간 각각 8%, 12% 성장률로 가장 높은 수준의 성장을 보였으며, 이는 항암치료제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항암치료제에 대한 매출은 2022년 전 세계적으로 1,960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미국,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 시장에 75%로 집중되어 있습니다. 최근 5년간(2018년~2022년) 연평균 13.2%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이와 유사한 속도로 2027년에는 3,7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미국에서의 항암치료제 매출은 2018년 580억 달러에서 2022년 880억 달러로 증가해 전 세계 매출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저분자 및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특허 만료 등으로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4.1. 유방암 치료제 시장

유방암은 전 세계여성암 중 환자 수가 가장 많은 암종입니다. 유방암은 국내 치료 환경과 예후가 다른 암종과 비교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환자가 워낙 많고 케이스가 다양해 미충족 수요가 상존하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2020년 국제암 보고서에 따르면 유방암은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은북미, 서유럽과 함꼐 인간개발지수가 높은(HDI)21) 국가로 분류되어 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에 속한다. 유방암은 특히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질환으로2012년에 비해 2020년에는 발생률이 24.3% 증가하였다. 2020년 기준 전 세계에서 225만 명의 유방암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유방암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여성암으로 전체 여성암의 24.5%를 차지하며, 사망률 또한 15.5%로 가장 높습니다. 유방암은 국내에서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 가장 흔한 암으로, 다른 선진국들(미국, 유럽, 호주, 뉴질랜드, 일본)과 함께 암 발생률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이며, 인구 10만명 당 64.2명이 발생하여 아시아 국가 중 발생률 최상위 그룹에 속합니다.
유방암의 발생률이 세계적으로 증가하면서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방암은 여성암으로 사망하는 가장 흔한 원인암이며, 2020년 기준 684,996명이 유방암으로 사망하였습니다. 유방암 발생률은 선진국에서 높으나 선진국 외 국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유방암을 적응증으로 항암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항체약물복합체(ADC) 계열의 유방암 치료제가 등장했고, 기존 항암제도 건강보험 급여 범위 확대를 시도하면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4.4.2. 폐암 치료제 시장

폐암(Lung Cancer)은 발생률에 있어서는 국내에서 위암, 대장암에 이어 3위이지만 사망률은 2000년 이후 위암보다 높아져서 1위(2019년 기준 22.9% 비중)를 차지하고있으며, 세계적으로 폐암은 사망률 1위의 암으로 알려져 있으며, 폐암으로 인한 국내사망자는 인구 10만 명당 35.1명으로 성별을 불문하고 암으로 인한 사망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이유는 절반 정도의 환자가 다른 조직으로의 전이가 진행된 4기에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폐암은 국내외에서 발병률과 사망률이 높은 거의 난치성 질환이며, 사망률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암종에 비해서 폐암 치료제의 치료 효과가 낮아 의학적으로 뚜렷한 발전이없었던 분야 중 하나입니다. 폐암은 진단 결과에 따라 비소세포폐암(NSCLC, Non-small Cell Lung Cancer)과 소세포폐암(SCLS, Small Cell Lung Cancer)으로 구분됩니다. 비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80~85%를 차지하며, 나머지 15~20%는 소세포폐암이 차지합니다. 따라서 비소세포폐암 환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치료제 시장역시 비소세포폐암이 전체 폐암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G7 국가의 비소세포 폐암 치료 환자 수는 2020년 기준 515,010명으로 추정되며, 2030년에는 591,78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다. 비소세포폐암은 기관지에서 주로 생기는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과 폐에서 많이 생기는 선암(Adenocarcinoma), 대세포암(Large cell carcinoma)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비소세포폐암에서 선암이 40%, 편평상피세포암이 30%, 대세포암이 1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폐암은 암이 진행되는 동안 특별한 증상이 없어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수술을 받은 환자들 상당수가 재발을 경험하기 때문에 항암치료가 중요합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폐암 치료제가 개발되면서 폐암 환자들의 생존 기간도 많이 향상되었습니다. 과거 화학항암제의 평균 생존 기간은 약 10개월 정도였고, 2000년대 초반 폐암진단 후 5년 생존율이 약 25%까지 증가했습니다. 폐암환자의 생존 기간이 늘어나면서 약물 투약 기간이 연장되었고, 이에 따라 폐암 치료제 시장도 함께 성장했습니다. 많은 회사들이 항암제 1위 폐암 시장을 타겟으로 약물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5. 평가방법의 개요 및 기본가정

5.1. 평가방법의 개요

평가대상기술이 적용되는 제품은 유방암 치료제와 폐암 치료제로 가정하였으며 회사는 평가대상기술의 전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임상2상 시험 완료 후 글로벌파마에게 라이센스 아웃을 계획하고 있으며 향후 추정기간 동안 임상시험비용과 라이센싱 아웃에 따라 프론트수익(Front Fee)와 경상로열티(Running royalty), 임상비용과 경상연구비 등을 추정하고, 세전이익에 대한 법인세비용을 차감하여 세후영업이익을 추정하였습니다. 세후영업이익에 순운전자본의 증감, 자본적지출 및 감가상각비 차감하여 잉여현금흐름(FCFF; Free Cash Flow to Firm)을 산출한 후, 잉여현금흐름에 내재된 위험을 반영한 적절한 가중평균자본비용으로 할인하여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를 평가하였습니다.

5.2. 평가방법의 기본가정

5.2.1. 평가기준일

본 평가는 2024년 5월 31일을 평가기준일로 하여 수행하였습니다.

5.2.2. 현금흐름 분석기간 및 추정 방식

2024년 5월 31일을 기준일로 2024년 6월 1일부터 2046년 말까지의 현금흐름을 분석하였습니다. 산출된 각 기간의 매출액(프론트수익 및 경상로열티), 임상비용 및 경상연구비 등을 기초로 하여 연도별 자본적지출과 순운전자본이 추정되었으며, 매기의 현금흐름은 연중 균등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2046년 이후의 현금흐름은 미래 불확실성이 높음에 따라, 영구현금흐름의 가치를 "0"으로 추정하였습니다.


특허권의 존속기간은 특허출원일로부터 20년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본 평가에서는 평가대상기술의 핵심 특허로 판단되는 '평가대상특허(한국등록특허 제10-2378590호)'의 출원일을 고려하여, 평가대상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법적 보호기간을 적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평가대상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평가기준일인 2024년 5월 31일을 기준으로 특허권의 법적 잔존기간을 적용하여 산출한 결과 16년 10개월(16.8년)이며, 평가대상기술특허의 특허만료 이후 매출 소멸되기까지의 기간(대략 5.5년)을 추가 고려하였습니다. 따라서 평가대상기술의 현금흐름 추정기간(기술의 경제적 수명)은 평가기준일로부터 실질적 매출 소멸까지의 기간을 고려한 2024년 6월 1일부터2046년 12월 31일로 결정하였습니다.

5.2.3. 주요 거시경제지표

2024년부터 2028년까지의 한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 명목임금상승률 및 환율 등 거시경제지표는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의 예측치를 적용하였으며 2029년 이후부터는 2028년 경제지표와 동일하게 적용하였습니다.

 구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한국
소비자물가상승률 2.6% 2.0% 1.7% 1.9% 1.8%
명목임금상승률 3.6% 3.2% 3.9% 3.5% 3.5%
Exchange rate W:USD(av)       1,347        1,283         1,244        1,237       1,243

※ 출처: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24년 5월말 기준

5.2.4. 법인세율

평가대상기술의 현금흐름에 적용한 법인세는 한국의 법인세 및 지방세를 모두 고려하여 하기 과표구간에 따라 영구현금흐름시점의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한편 추정기간 동안 발생한 회계이익은 과세소득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법인세 비용을 추정하였습니다.

(단위: %)
과세표준 세  율 (지방소득세 포함)
과세표준 2억 원 이하 9.90
과세표준 2억 원 초과 200억 원 이하 20.90
과세표준 200억 원 초과 3,000억 원 이하 23.10



6. 양수대상자산 가치 산정결과

6.1.1. 추정기간의 영업가치

(단위: 백만원)
구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2033년 2034년 2035년
영업수익 - - - - - - 25,070 - - - 21,752 21,830
영업비용 1,505 3,484 3,584 3,431 4,162 4,216 2,396 1,011 1,026 1,041 1,250 140
영업이익 (1,505) (3,484) (3,584) (3,431) (4,162) (4,216) 22,674 (1,011) (1,026) (1,041) 20,502 21,690
법인세 - - - - - - 457 - - - 3,620 4,548
세후영업이익 (1,505) (3,484) (3,584) (3,431) (4,162) (4,216) 22,217 (1,011) (1,026) (1,041) 16,882 17,142
감가상각비 - - - - - - - - - - - -
CAPEX - - - - - - - - - - - -
운전자본변동 - - - - - - - - - - - -
FCFF (1,505) (3,484) (3,584) (3,431) (4,162) (4,216) 22,217 (1,011) (1,026) (1,041) 16,882 17,142
Period        0.29        1.08           2.08        3.08           4.08        5.08        6.08        7.08        8.08        9.08       10.08       11.08 
현가계수        0.96        0.87           0.76        0.67          0.59        0.52          0.45        0.40        0.35        0.31        0.27        0.24 
현재가치 (1,449) (3,025) (2,732) (2,296) (2,445) (2,174) 10,058 (402) (358) (319) 4,539 4,046


(단위: 백만원)
구분 2036년 2037년 2038년 2039년 2040년 2041년 2042년 2043년 2044년 2045년 2046년
영업수익 12,993 45,337 85,057 102,886 126,319 141,110 131,251 122,093 113,586 105,683 98,340
영업비용 59 61 63 66 68 70 73 75 78 81 84
영업이익 12,933 45,275 84,994 102,820 126,251 141,040 131,178 122,018 113,508 105,602 98,256
법인세 2,681 9,997 19,172 23,289 28,702 32,118 29,840 27,724 25,758 23,932 22,235
세후영업이익 10,252 35,279 65,822 79,531 97,549 108,921 101,338 94,294 87,750 81,670 76,021
감가상각비 - - - - - - - - - - -
CAPEX - - - - - - - - - - -
운전자본변동 - - - - - - - - - - -
FCFF 10,252 35,279 65,822 79,531 97,549 108,921 101,338 94,294 87,750 81,670 76,021
Period       12.08         13.08        14.08        15.08         16.08         17.08         18.08         19.08         20.08         21.08         22.08 
현가계수           0.21            0.18            0.16            0.14            0.12            0.11            0.09            0.08            0.07            0.06            0.06 
현재가치 2,124 6,417 10,510 11,148 12,003 11,766 9,610 7,849 6,412 5,239 4,281
공정가치합계 90,803


6.1.2. 양수대상자산의 가치

(단위: 백만원)
구분 금액
A. 추정기간 동안의 영업가치 90,803
B. 추정기간의 이후의 영구가치(*) -
C. 평가대상기술의 가치(C=A+B) 90,803
D. 평가대상자산의 가치(D=C*30%) 27,241

(*) 추정기간의 최종연도인 2047년 이후 현금흐름은 미래 불확실성이 높음에 따라 영구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0"으로 추정하였습니다.

6.1.3. 양수대상자산가치의 민감도 분석

당 법인이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하여 평가한 2024년 5월 31일(이하 "평가기준일")현재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는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가정에 따라 22,323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4.91%, 영구성장률: 0.00%)에서 31,756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2.91%, 영구성장률: 0.00%)의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가중평균할인율 (WACC) 
12.91% 13.91% 14.91%
A. 평가대상기술의 가치 105,852 90,803 74,409
B. 평가대상자산의 가치(B=A*30%) 31,756 27,241 22,323


6.2. 양수대상자산 가치 세부 추정내역

현금흐름할인모형에 의한 평가의 경우 평가대상의 향후 추정기간 동안의 손익을 추정한 후 세후영업이익에서 비현금손익, 순운전자본의 증감을 반영하고, 자본적지출을 차감하여 잉여현금흐름을 산정하고, 잉여현금흐름에 내재된 위험을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평가대상의 영업가치를 산정합니다.

6.2.1.  임상성공률의 추정

평가대상기술은 신약에 해당하므로 임상 단계부터 최종 제품 승인시까지 단계별 성공확률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글로벌 시장정보 기관인 Informa UK의 2021년 임상통계 보고서에서는 임상단계 별 성공확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유방암 치료제 및 폐암 치료제는 현재 전임상 시험 단계에 있습니다. 유방암 치료제와 폐암 치료제가 속하는 종양질환의 임상단계별 누적 성공확률을 적용하여 연도별 적용할 성공률을 산정하였습니다. 전임상 시험의 누적 성공확률은 69.0%, 종양질환의 임상1상 시의 누적 성공확률은 33.7%(69.0%×0.488), 임상2상 시의 누적 성공확률은 8.3%(33.7%×0.246), 임상3상 시의 누적 성공확률은 4.0%(8.3%×0.477), NDA시의 누적 성공확률은 3.6%(4.0%×0.92)로 산출되었습니다. 

임상단계별 적용한 성공확률
구분 전임상 임상1상 임상2상 임상3상 NDA
단계별 성공확률 69.0% 48.8% 24.6% 47.7% 92.0%
누적 성공확률 69.0% 33.7% 8.3% 4.0% 3.6%

※ 출처: Informa UK Ltd, "Clinical Development Success Rates and Contributing Factors 2011-2020", 2021.02)

6.2.2.  영업수익의 추정

회사는 글로벌 제약사로의 라이선스 아웃을 통해 Upfront fee를 포함한 마일스톤 수익을 창출하고, 마일스톤 수익 이외에 개발 성공 후 신약판매에 따르는 경상로열티도수령할 예정입니다.

영업수익의 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Million USD)
구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2033년 2034년 2035년
1.프론트 수익                        
 유방암치료제 - - - - - - 211,457 - - - 429,591 429,591
 폐암치료제 - - - - - - 91,200 - - - 120,932 120,932
소계 - - - - - - 302,657 - - - 550,523 550,523
2.로얄티매출                        
 유방암치료제 - - - - - - - - - - - 22,829
 시장규모($) 38,900 42,946 47,412 52,343 57,786 63,796 70,431 77,756 85,842 94,770 104,626 115,507
  환율      1,347       1,283       1,244       1,237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점유율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13%
  로열티율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폐암치료제 - - - - - - - - - - - 27,192
  시장규모($)
39,400 44,404 50,043 56,399 63,561 71,633 80,731 90,984 102,539 115,561 130,237 146,777
  환율      1,347       1,283       1,244       1,237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점유율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13%
  로열티율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소계 - - - - - - - - - - - 50,020
합계(1+2) - - - - - - 302,657 - - - 550,523 600,543
임상성공확률 69.0% 33.7% 33.7% 8.3% 8.3% 8.3% 8.3% 4.0% 4.0% 4.0% 4.0% 3.6%
영업수익 - - - - - - 25,070 - - - 21,752 21,830


(단위: 백만원,Million USD)
구분 2036년 2037년 2038년 2039년 2040년 2041년 2042년 2043년 2044년 2045년 2046년
1.프론트 수익                      
 유방암치료제 - - - - - - - - - - -
 폐암치료제 - - - - - - - - - - -
소계 - - - - - - - - - - -
2.로얄티매출                      
 유방암치료제 161,297 556,475 1,032,106 1,356,482 1,497,556 1,653,302 1,519,614 1,396,736 1,283,794 1,179,985 1,084,570
 시장규모($) 127,520 140,782 155,423 171,588 189,433 209,134 230,884 254,895 281,405 310,671 342,980
  환율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점유율 0.80% 2.50% 4.20% 5.00% 5.00% 5.00% 4.16% 3.47% 2.89% 2.40% 2.00%
  로열티율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12.72%
 폐암치료제 196,127 690,734 1,307,809 1,473,901 1,977,483 2,228,624 2,091,090 1,962,043 1,840,961 1,727,350 1,620,751
  시장규모($)
165,418 186,426 210,102 236,785 266,857 300,748 338,943 381,989 430,501 485,175 546,792
  환율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1,243 
  점유율 0.80% 2.50% 4.20% 4.20% 5.00% 5.00% 4.16% 3.47% 2.89% 2.40% 2.00%
  로열티율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11.92%
소계 357,424 1,247,210 2,339,915 2,830,382 3,475,039 3,881,925 3,610,703 3,358,779 3,124,755 2,907,335 2,705,321
합계(1+2) 357,424 1,247,210 2,339,915 2,830,382 3,475,039 3,881,925 3,610,703 3,358,779 3,124,755 2,907,335 2,705,321
임상성공확률 3.6% 3.6% 3.6% 3.6% 3.6% 3.6% 3.6% 3.6% 3.6% 3.6% 3.6%
영업수익 12,993 45,337 85,057 102,886 126,319 141,110 131,251 122,093 113,586 105,683 98,340


(1) 프론트 수익(FRONT FEE)
평가대상기술의 신약은 통상의 신약 개발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즉 전임상 시험, 임상시험을 거쳐 최종 신약의 시판허가를 득한 후 판매가 이루어 지게 되며, 회사는  라이선스 아웃을 통해 계약 체결 직후 또는 일정 기간 내에 받게 되는 금액인 선수금(Upfront fee), 개발 단계별로 성공 시 받게 되는 금액인 마일스톤(Milestones)을 포함한 프론트 수익(FRONT FEE)과 신약 매출액에 비례하는 경상로열티로 구성된 라이센싱 계약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회사는 임상2상 시험 완료 후 2030년 선수금, 마일스톤은 2034년 임상3상 시험 성공시, 2035년 NDA 신양 승인 완료시 2회에 걸쳐서 지급받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기술거래사례의 평균금액을 적용하였습니다. 

< 유방암 치료제 > (단위: 백만원,Million USD)
구분 USD KRW 임상진행단계 예상연도
Upfront fee 170 211,457 임상 2상 완료 2030년
마일스톤1 346 429,591 임상 3상 시험성공 시 2034년
마일스톤2 346 429,591 NDA 신약승인 완료 시 2035년

* 환율: 1,243원,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 forecasts, May-24

< 유방암 치료제 > (단위: Million USD)
기술거래일 라이센서 라이센시 Upfront fee
2024-05-28 Cartography Bioscience Gilead Sciences 
20
2024-01-04 Insilico Medicine Menarini Group's Stemline Therapeutics 12
2020-09-16 Wigen Biomedicine Junshi Biosciences 
5.3
2020-09-15 Systems Oncology 
Bayer 
25
2020-09-14 Seattle Genetics Merck 1600
2020-09-14 Seattle Genetics Merck 
125
2020-08-31 Polyphor Shanghai Fosun Pharmaceutical 15
2020-08-03 G1 Therapeutics 
Simcere Pharmaceutical Group 14
2020-08-03 Dynavax TriSalus Life Sciences 5
2020-07-23 Radius Health 
Menarini Group 
30
2020-07-22 G1 Therapeutics EQRx 20
평균     170

※ 출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http://www.sec.gov), FIERCE Bioetch (https://www.fiercebiotech.com), BioMedtracker(https://www.biomedtracker.com/), Russell L. Parr and Smith이 저술한 책“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Exploitation, and Infringement Damages",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 유방암 치료제 > (단위: Million USD)
기술거래일 라이센서 라이센시 Milestones
2024-01-05 Insilico Menarini Group’s Stemline Therapeutics 500
2022-09-21 Puma Biotechnology Takeda 287.3
2020-09-16 Wigen Junshi Biosciences 
64.3
2020-09-15 Systems Oncology Bayer 
345
2020-09-14 Seattle Genetics Merck 850
2020-09-14 Seattle Genetics Merck 65
2020-08-31 Polyphor 
Fosun Pharma 167
2020-08-03 G1 Therapeutics Simcere Pharmaceutical Group 156
2020-08-03 Dynavax TriSalus Life Sciences 250
2020-07-27 Daiichi Sankyo AstraZeneca 5000
2020-07-23 Radius Health 
Menarini Group 
320
2020-07-22 G1 Therapeutics 
 EQRx 290
평균     691

※ 출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http://www.sec.gov), FIERCE Bioetch (https://www.fiercebiotech.com), BioMedtracker(https://www.biomedtracker.com/), Russell L. Parr and Smith이 저술한 책“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Exploitation, and Infringement Damages",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 폐암 치료제 > (단위: 백만원,Million USD)
구분 USD KRW 임상진행단계 예상연도
Upfront fee 73 91,200 임상 2상 완료 2030년
마일스톤1 97 120,932 임상 3상 시험성공 시 2034년
마일스톤2 97 120,932 NDA 신약승인 완료 시 2035년

* 환율: 1,243원,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 forecasts, May-24

< 폐암 치료제 > (단위: Million USD)
기술거래일 라이센서 라이센시 Upfront fee
2023-04-04 Scorpion Therapeutics 
Pierre Fabre 65
2022-05-12 Cullinan Oncology Taiho Pharmaceutical 275
2020-09-16 Wigen Biomedicine Junshi Biosciences 5.3
2020-08-10 Verastem Secura Bio 70
2020-08-03 G1 Therapeutics 
Simcere Pharmaceutical Group 14
2020-07-07 Turning Point Therapeutics Zai Lab 50
2020-05-27 Arcus Biosciences Gilead Sciences 3745
2020-05-21 ACEA Therapeutics, Inc. 
Sorrento Therapeutics, Inc. 
15
2020-03-30 NanoTx Therapeutics Inc. Plus Therapeutics 0.7
2020-01-08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Verastem Inc 3
2020-01-08 Targovax AS IOVaxis Therapeutics 
0.25
2020-01-02 Pulmatrix Inc. ohnson & Johnson 7.2
평균     73

※ 출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http://www.sec.gov), FIERCE Bioetch (https://www.fiercebiotech.com), BioMedtracker(https://www.biomedtracker.com/), Russell L. Parr and Smith이 저술한 책“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Exploitation, and Infringement Damages",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 폐암 치료제 > (단위: Million USD)
기술거래일 라이센서 라이센시 Milestones
2023-04-04 Scorpion Therapeutics Pierre Fabre 553
2022-05-12 Cullinan Oncology Taiho Pharmaceutical 130
2020-09-16 Wigen Biomedicine Junshi Biosciences 64.3
2020-08-10 Verastem 
Secura Bio 
95
2020-08-03 G1 Therapeutics Simcere Pharmaceutical Group 156
2020-07-15 AnHeart Therapeutics 
NewG Lab 7
2020-07-07 Turning Point Therapeutics, Inc. Zai Lab 487
2020-07-01 EpicentRx 
SciClone Pharmaceuticals 120
2020-05-27 Arcus Biosciences Gilead Sciences 500
2020-04-20 Jiangsu Hengrui Medicine CrystalGenomics 87.75
2020-03-30 NanoTx Therapeutics Inc Plus Therapeutics 136.5
2020-01-08 Targovax AS 
IOVaxis Therapeutics 100
2020-01-02 Pulmatrix Inc. Johnson & Johnson 93
평균     195

※ 출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http://www.sec.gov), FIERCE Bioetch (https://www.fiercebiotech.com), BioMedtracker(https://www.biomedtracker.com/), Russell L. Parr and Smith이 저술한 책“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Exploitation, and Infringement Damages",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2) 시장규모의 추정

제품 판매 후 경상로열티는 매출액에 경상로열티율을 곱하여 산정되며, 매출액은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습니다. 글로벌 유방암 치료제 시장규모(출처: SkyQuest, Global Breast Cancer Market, 2023.10)는 2024년 389억 달러 규모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10.4%씩 성장하여 705억달러, 글로벌 폐암 치료제 시장규모(출처: SkyQuest, Global Breast Cancer Market, 2023.10)는 2024년 394억 달러 규모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12.7%씩 성장하여 807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유방암 치료제 시장 성장률은 10.4%, 폐암 치료제 시장 성장률은 12.7%를 적용하여 추정한 목표시장의 규모는 다음과 같다. 

(단위: Million USD)
구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2033년 2034년 2035년
 유방암치료제











 시장규모 38,900 42,946 47,412 52,343 57,786 63,796 70,431 77,756 85,842 94,770 104,626 115,507
 폐암치료제











  시장규모
39,400 44,404 50,043 56,399 63,561 71,633 80,731 90,984 102,539 115,561 130,237 146,777


(단위: Million USD)
구분 2036년 2037년 2038년 2039년 2040년 2041년 2042년 2043년 2044년 2045년 2046년
 유방암치료제










 시장규모 127,520 140,782 155,423 171,588 189,433 209,134 230,884 254,895 281,405 310,671 342,980
 폐암치료제










  시장규모
165,418 186,426 210,102 236,785 266,857 300,748 338,943 381,989 430,501 485,175 546,792


(3) 시장점유율
Ulrik Schulze와 Michael Ringel은 약물의 치료적 장점과 시장진입 순서를 변수로 하여 신약의 시장점유율을 소개하였습니다. 평가대상기술을 적용한 유방암 치료제와 폐암 치료제는 2035년경에 출시가 예상되고, 상기와 같은 상황을 고려할 때, Schulze및 Ringel의 시장진입 단계상 순서는 4번째에 해당하고, 치료적 장점은 1단계와 2단계의 중간으로 가정하였습니다. Schulze 및 Ringel의 치료적장점(평균)과 시장진입순서 매트릭스에 따른 시장점유율은 5%(8%+2%)/2)이다. 이에 최종적으로 피크시점(유방암 치료제 2039년, 폐암 치료제 2040년)에 5%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파악하였습니다. 제품판매가 시작되는 2035년부터 2041년까지 연도별 시장점유율은 기술수용수명주기(TALC) 모형을 근거로 추정하였습니다.
특허만료시점 이후에는 제네릭 의약품 등장 등으로 인해 매출이 현저히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특허 만료 이후 시장점유율 예측을 위해 McKinsey&Company의 선두 시장진입(first-in-class) 효과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였습니다. 본 자료는 27년(1986년~2012년)간 출시된 492개의 신약을 분석하여 해당 치료군에서 first-in-class 출시 10년 후 시장 진입 순서별 시장점유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유방암 치료제 시장 내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이 국내ㆍ외 다수 존재하고 있어 평가대상기술에 따른 유방암 치료제의 시장 점유율은 현금흐름추정기간의 마지막 시점은 2046년에 2%에 수렴할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연도별 시장점유율 추정
TALC 각 단계 사업화 연도 TALC 단계별 비중 누적 비중 Ceiling 시장 점유율
혁신수용단계(Innovator) 2035년 2.50% 2.50% 5% 0.13%
선각수용단계(Early Adoptor) 2036년 13.50% 16.00% 5% 0.80%
전기다수수용단계(Early Majority) 2037년 34% 50.00% 5% 2.50%
후기다수수용단계(Late Majority) 2038년 34% 84.00% 5% 4.20%
지각수용단계(Laggards) 2039년~2041년 16% 100.00% 5% 5.00%

※ 출처: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4) 로열티율

기술가치 산식에 필요한 평가 요소 중 매출액에 곱하는 적정 로율티율을 다음과 같이정의 하고 있습니다.
로열티율 = 기준 로열티율 x 조정계수1 x 기술의 비중 x 개척률

구분 기준로얄티율 조정계수1 기술의 비중  개척률 최종로열티율
유방암치료제 14.72% 150% 72% 80% 12.7%
폐암치료제 13.80% 150% 72% 80% 11.92%

※ 출처: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1) 기준로얄티율
기술거래사례를 통해 대상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술에 대한 로열티 정보를 다수 수집할 수 없는 경우, 거래시장에서 장기간에 걸쳐 수집된 업종별 기술거래 로열티 통계 정보와 다양한 다양한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로열티율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
본 평가에서 사용하는 업종별 로열티율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http://www.sec.gov), FIERCE Bioetch (https://www.fiercebiotech.com), BioMedtracker(https://www.biomedtracker.com/)), Russell L. Parr and Smith이 저술한 책“Intellectual Property: Valuation, Exploitation, and Infringement Damages”에서 최근 유방암 치료제 기술거래 사례를 조사하였습니다.

유방암 치료제 로얄티 통계
기술거래일 라이센서 라이센시 로얄티율(%)
2020-08-31 Polyphor Fosun Pharma 13
2020-08-03 G1 Therapeutics 
Simcere Pharmaceutical Group 19.5
2020-08-03 Dynavax TriSalus Life Sciences 
19.5
2020-07-23 Radius Health Menarini Group 
14.5
2020-07-22 G1 Therapeutics EQRx 10
2020-06-30 G1 Therapeutics, Inc. Boehringer Ingelheim 16
2019-08-01 Zenith Epigenetics Corp. 
Newsoara BioPharma Co. Ltd. 
3.5
2019-04-01 Immunomedics Inc. Everest Medicines Ltd. 17
2019-04-01 Janssen Biotech Inc. Immunomedics Inc. 
19.5
평균

14.72

※ 출처: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폐암 치료제 로얄티 통계
기술거래일 라이센서 라이센시 로얄티율(%)
2020-08-03 G1 Therapeutics 
Simcere Pharmaceutical Group 19.5
2020-07-14 Blueprint Medicines Roche 21.5
2020-07-07 Turning Point Therapeutics, Inc Zai Lab 18
2020-06-30 Boehringer Ingelheim G1 Therapeutics, Inc. 16
2020-05-27 Arcus Biosciences Gilead Sciences 
20
2020-05-21 ACEA Therapeutics, Inc. Sorrento Therapeutics, Inc. 16.5
2020-04-20 Jiangsu Hengrui Medicine CrystalGenomics 11
2020-03-30 NanoTx Therapeutics Inc. Plus Therapeutics 
5
2020-01-08 Targovax AS IOVaxis Therapeutics 8.5
2020-01-02 Pulmatrix Inc. Johnson & Johnson 2
평균

13.8

※ 출처: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2) 조정계수1
조정계수1은 대상기술과 기준 로열티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고려하여 기준 로열티율을 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즉, 조정계수1은 기준 로열티율을 증가하게 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조정률을 의미합니다. 조정계수1은 기술성, 권리성, 시장성, 사업성 관점에서 로열티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항목에 대한 평점평가모형을 통해 점수화하여 조정비율을 산정하며 기술평가 실무가이드에 따라 산정된 값은 150%(출처 :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입니다.


3) 기술의 비중

기술의 비중이란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전체 기술에서 대상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며, 이를 적용하는 이유는 대상기술로 구현된 제품을 구성하는 여러 기술중 대상기술만의 로열티율을 산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에 본 평가에서는 회사의 사업화 제품의 구성 및 보유한 특허권을 기준으로 사업화 제품의 구성 중 평가대상특허권으로 보호되는 구성을 산출하여 기술의 비중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비중
대분류 비중(A) 소분류 비중(B) 보호여부 A*B
유방암,
폐암치료제
100% 유효성분 50% O 50%
약물전달시스템 22% O 22%
기타성분 14% - -
제형 14% - -
총계



72%

※ 출처: (주)이크레더블 지식재산평가보고서

4) 개척률
개척률은 대상기술을 제품화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 또는 투자액 규모 수준이 로열티율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한 지표이며, 소요자금 규모가 크다 해도 사업주체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개척률은 100%로 산정할 수 있습니다. 평가대상기술은 고형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으로, 이를 개발하는 전임상, 임상 개발기간 동안 개발 자금이 필요하며 전체적인 비용 및 투자규모는 항암 치료제의 평균 개발비용과 유사하지만, 현재 사업주체의 기술제품의 개발단계가 전임상 시험 단계로 신약 승인 단계까지 많은 비용이 소용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편, 회사는 사업화를 위해 현대바이오사이언스㈜로부터 자금지원을 받고 투자 유치와 자체적인 증자를 통해서 자본을충당할 수 있지만, 자금조달이 다소 어려운 시기라 사업주체의 자금조달 능력은 보통수준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따라서 평가대상기술의 개척률은 80%로 산정하였습니다.

6.2.3. 영업비용

영업비용은 계정과목별 특성을 고려하여 임상비용, 경상연구비, 인건비로 구분하여 추정하였으며, 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2033년 2034년 2035년
임상비용 882 1,557 1,610 1,661 1,714 1,768 1,823 1,881 1,940 2,002 3,679 -
연구개발비 182 727 727 3,809 5,200 5,200 1,357 4,750 4,750 4,750 4,750 1,357
인건비성비용 441 1,199 1,246 1,560 1,615 1,671 1,730 1,790 1,853 1,918 1,985 1,086
소계 1,505 3,484 3,584 7,030 8,528 8,639 4,910 8,421 8,543 8,669 10,414 2,443
임상성공확률 100% 100% 100% 100% 48.8% 48.8% 48.8% 12.0% 12.0% 12.0% 12.0% 5.7%
합계 1,505 3,484 3,584 3,431 4,162 4,216 2,396 1,011 1,026 1,041 1,250 140


(단위: 백만원)
구분 2036년 2037년 2038년 2039년 2040년 2041년 2042년 2043년 2044년 2045년 2046년
임상비용 - - - - - - - - - - -
연구개발비 - - - - - - - - - - -
인건비성비용 1,124 1,164 1,204 1,247 1,290 1,335 1,382 1,431 1,481 1,532 1,586
소계 1,124 1,164 1,204 1,247 1,290 1,335 1,382 1,431 1,481 1,532 1,586
임상성공확률 5.3% 5.3% 5.3% 5.3% 5.3% 5.3% 5.3% 5.3% 5.3% 5.3% 5.3%
합계 59 61 63 66 68 70 73 75 78 81 84

(*) 2027년 연구개발비는 임상1상과 임상2상이 병행하여 진행되므로 각각 안분하여 성공확률을 적용하였습니다.

임상1상 이전은 100%, 임상2상은 임상1상 누적성공확률 48.8%(100% X 0.488), 임상3상은 누적성공확률 12%(48.8% X 0.246), NDA는 누적성공확률 5.7%(12% X 0.477), NDA이후는 누적성공확률 5.3%(5.7% X 0.92)로 적용하여 영업비용을 산출하었습니다. 

임상단계별 적용한 성공확률
구분 전임상 임상1상 임상2상 임상3상 NDA
단계별 성공확률 100% 48.8% 24.6% 47.7% 92.0%
누적 성공확률 100% 48.8% 12.0% 5.7% 5.3%

※ 출처: Informa UK Ltd, "Clinical Development Success Rates and Contributing Factors 2011-2020", 2021.02)

1) 임상비용

회사는 임상용역을 대행해주는 업체이므로 회사제시 2023년 임상대행 부서 비용금액에 EIU 예상 임금인상률 및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2033년 2034년
급여 995 601 1,064 1,105 1,144 1,184 1,225 1,268 1,313 1,359 1,406 2,862
퇴직급여 74 45 79 82 85 88 91 94 97 101 104 212
복리후생비 73 44 78 81 84 87 90 93 97 100 103 211
여비교통비 4 2 4 4 4 4 4 4 4 4 4 4
접대비 9 5 9 9 10 10 10 10 10 10 11 11
통신비 5 3 5 5 5 5 5 5 5 6 6 6
세금과공과금 43 26 45 46 47 48 48 49 50 51 52 53
보험료 22 13 23 23 24 24 24 25 25 26 26 27
차량유지비 3 2 3 3 3 4 4 4 4 4 4 4
교육훈련비 4 2 4 4 4 4 5 5 5 5 5 5
도서인쇄비 3 2 3 3 3 3 3 3 3 4 4 4
소모품비 8 5 8 8 8 9 9 9 9 9 9 9
지급수수료 65 39 68 69 71 72 73 75 76 77 79 80
외주용역비 30 18 32 32 33 33 34 34 35 36 36 37
광고선전비 17 10 17 18 18 18 19 19 19 20 20 21
수선비 0 0 0 0 0 0 0 0 0 0 0 0
감가상각비 109 65 114 116 118 121 123 125 127 130 132 134
 합계 1,463 882 1,557 1,610 1,661 1,714 1,768 1,823 1,881 1,940 2,002 3,679


2) 연구개발비
연구개발비는 임상비용 이외 임상시험용 의약품비용, 임상시험기관비용 등 기타 항목을 고려하여 추정하였습니다.

3) 인건비성 비용
인건비성 비용은 회사의 인력충원 계약에 따라 추정기간 동안 임직원 수를 추정한 후평가기준일 현재 임직원의 평균 인건비가 추정기간 동안 명목임금상승률만큼 증가할것이라는 가정하에 추정하였습니다. 퇴직급여는 급여의 8.3%가 각각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복리후생비는 급여의 5.2%가 각각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인건비의 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2033년 2034년 2035년
관리인원                                                                                                                                         
평균급여 113 117 121 125 130 134 139 144 149 154 160 165
관리급여 452 466 485 502 519 537 556 576 596 617 638 330
연구인원                                       11           11           11            11           11           11           11           11            
평균급여 72 74 77 79 82 85 88 91 94 98 101 104
연구급여 215 590 613 873 903 935 968 1,002 1,037 1,073 1,110 627
총급여 389 1,057 1,098 1,374 1,423 1,472 1,524 1,577 1,632 1,690 1,749 957
퇴직급여 32 88 91 114 118 122 126 131 135 140 145 79
복리후생비 20 55 57 71 74 77 79 82 85 88 91 50
합계 441 1,199 1,246 1,560 1,615 1,671 1,730 1,790 1,853 1,918 1,985 1,086

※ 출처: 회사제시자료, 한울회계법인 Analysis

(단위: 백만원)
구분 2036년 2037년 2038년 2039년 2040년 2041년 2042년 2043년 2044년 2045년 2046년
관리인원                                                                                                                                                          
평균급여 171 177 183 189 196 203 210 217 225 233 241
관리급여 342 354 366 379 392 406 420 435 450 466 482
연구인원                                                                                                                                                          
평균급여 108 112 116 120 124 128 133 138 142 147 153
연구급여 649 672 695 719 745 771 798 826 854 884 915
총급여 991 1,025 1,061 1,098 1,137 1,177 1,218 1,260 1,305 1,350 1,397
퇴직급여 82 85 88 91 94 98 101 105 108 112 116
복리후생비 52 53 55 57 59 61 63 66 68 70 73
합계 1,124 1,164 1,205 1,247 1,290 1,335 1,382 1,431 1,481 1,532 1,586

※ 출처: 회사제시자료, 한울회계법인 Analysis

6.2.4. 감가상각비 및 자본적지출

회사는 연구개발이 주 업무이며 파트너사인 보령제약이나 종근당에서 위탁생산을 통해 약물을 생산할 계획이므로 생산설비는 불필요하며, 연구개발을 위한 설비는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감가상각비 및 자본적지출은 발생하지 않는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6.2.5. 운전자본

회사는 글로벌제약사로의 라이센서 아웃을 통해 Upfront fee, 마일스톤수익 및 경상로얄티를 수령할 예정이며 인건비 등 영업비용을 즉시 지급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영업자산ㆍ영업부채는 회수 및 지급기일은 매우 단기로 판단되므로 운전자본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영업현금흐름에 반영하지 아니하였습니다.

6.2.6. 법인세 비용의 추정

법인세는 한국의 법인세 및 지방세를 모두 고려하여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한편, 추정기간 동안 발생한 회계이익은 과세소득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법인세 비용을 추정하였습니다.

과세표준 세율(법인세+지방세)
과세표준 2억원 이하 9.9%
과세표준 2억원 초과 200억원 이하 20.9%
과세표준 200억원 초과 3,000억원 이하 23.1%
과세표준 3000억원 초과 26.4%

※ 출처: 국세청

(단위: 백만원)
구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2030년 2031년 2032년 2033년 2034년 2035년
영업이익 (1,505) (3,484) (3,584) (3,431) (4,162) (4,216) 22,674 (1,011) (1,026) (1,041) 20,502 21,690
이월결손금잔액 1,505 4,989 8,573 12,004 16,166 20,381 - 1,011 2,036 3,077 - -
이월결손금공제 - - - - - - 20,381 - - - 3,077 -
과세표준 - - - - - - 2,293 - - - 17,425 21,690
법인세비용 - - - - - - 457 - - - 3,620 4,548

※ 출처: 회사제시자료, 한울회계법인 Analysis

(단위: 백만원)
구분 2036년 2037년 2038년 2039년 2040년 2041년 2042년 2043년 2044년 2045년 2046년
영업이익 12,933 45,275 84,994 102,820 126,251 141,040 131,178 122,018 113,508 105,602 98,256
이월결손금잔액 - - - - - - - - - - -
이월결손금공제 - - - - - - - - - - -
과세표준 12,933 45,275 84,994 102,820 126,251 141,040 131,178 122,018 113,508 105,602 98,256
법인세비용 2,681 9,997 19,172 23,289 28,702 32,118 29,840 27,724 25,758 23,932 22,235

※ 출처: 회사제시자료, 한울회계법인 Analysis

6.2.7.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현금흐름할인법을 이용하여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추정된 잉여현금흐름에 내재된 위험을 적절히 반영한 할인율을 추정하여야 합니다. 할인율로는 일반적으로 가중평균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이하 "WACC")이 이용되며, WACC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WACC = Ke × E/V + Kd × (1-Tc) × D/V

Ke: 자기자본비용 Tc: 한계법인세율 Kd: 타인자본비용

D: 이자부부채의 시장가치 E: 자기자본의 시장가치 V: D + E

(1)  자기자본비용


자기자본비용(이하 "Ke")은 자본자산가격모형(Capital Asset Pricing Model)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무위험이자율에 위험프리미엄을 가산하여 계산합니다.


Ke = Rf + (Rm-Rf) × Re-levered β
Rf: 무위험수익률

Rm: 기대시장수익률
Size Premium: 한국공인회계사회

β: 평가대상회사의 주식베타



구 분 산출내역 비 고
Rf 3.58% 평가기준일 기준 블룸버그 무위험이자율
Rm - Rf 8.00% 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 시장위험 프리미엄 평균값 적용
Re-levered β 1.01 회사와 동일한 업종에 있는 국내 5개 상장회사를
동종기업으로 선택한 평균 영업베타 0.90와 목표자본구조
(부채/자본 비율 16%)를 고려하여 산출함
Size Premium 3.35% 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 규모위험 프리미엄 적용
Ke 15.04% Ke = Rf + (Rm-Rf) × β


β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된 5개의 동종기업과 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Observed

Beta (*1)

시가총액 이자부부채 부채비율

Unlevered

Beta

알테오젠 1.04  9,850,491,508  139,139  0.00% 1.03 
앱클론 1.13  286,566,213  12,795,547  4.47% 1.09 
한미약품 0.76  3,594,840,669  499,432,038  13.89% 0.69 
유한양행 0.77  5,156,028,520  0.00% 0.77 
보로노이 0.93  721,138,196  12,340,851  1.71% 0.92 
평균값
0.9 

(*1) 평가기준일 기준 2년 Weekly Adjusted Beta입니다.


(2)  타인자본비용

 
신약개발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평가기준일 기준 가장 최근일의 투자적격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을 고려하여 BBB(-) 신용등급의 5년 만기무보증 공모사채 이자율 10.35%를 적용하였습니다. 한계법인세율은 법인세율(지방소득세 포함) 20.9%를 적용하였으며, 세후 타인자본비용은 8..2%로 산정되었습니다.

(3)  가중평균자본비용


가중평균자본비용은 자기자본비용(Ke)과 세후 타인자본비용(Kd)을 가중평균하여 산정하며, 가중평균을 위한 목표자본구조는 양수인의 현재 자본구조를 목표자본구조로가정하여 평균자본구조인 16%를 적용하였습니다. 산정된 가중평균자본비용은 13.91%이며, 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 {자기자본비용×자기자본비율+ 타인자본비용×(1-Tax Rate)×부채비율}

13.91% = {15.04% × 83.54% + 8.2% × (1-20.9%) × 16.46%}


6. 평가대상자산의 가치에 대한 종합평가의견

당 법인은 양수회사가 양수대상자산을 양수함에 따라 작성되는 주요사항보고서의 작성 및 첨부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양수대상자산의 가치를 평가하였습니다.

동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당 법인은 수익접근법 중 현금흐름할인법을 평가방법으로 하여 양수대상자산의 가치를 평가하였습니다. 미래 현금흐름을 추정하는데 있어서 회사가 제시한 재무제표 및 재무자료, 미래의 투자 및 사업계획, 각종 통계자료 및 관련업계의 시장 분석자료 등을 활용하였습니다.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함에 있어 평가대상자산이 임상 진행 단계의 기술 무형자산이라는 특성에 따라, 당 법인은 임상 단계별 성공확률을 과거의 통계치 등을 활용하여 향후 현금흐름에서 직접 조정하는 위험조정 순현재가치법(r-NPV: Risk AdjustmentNet Present Value)을 적용하였습니다.

당 법인이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하여 평가한 2023년 3월 31일(이하 "평가기준일")현재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는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가정에 따라 109,949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4.31%, 영구성장률: 0.00%)에서 142,255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2.31%, 영구성장률: 0.00%)의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양수예정가액(반환 조건 없는 Upfront Fee 12,000백만원)과 향후 조건 달성시 지급될 수 있는 Milestone Fee는 중요성의 관점에서 부적정하다고 판단할 만한 근거가발견되지 아니하였습니다.

당 법인이 현금흐름할인법을 적용하여 평가한 2024년 5월 31일(이하 "평가기준일")현재 평가대상자산의 가치는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가정에 따라 22,323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4.91%, 영구성장률: 0.00%)에서 31,756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2.91%, 영구성장률: 0.00%)의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합의된 양수대상자산의 양수예정가액(반환 조건 없는 Upfront Fee 9,100만원)과 향후 조건 달성시 지급될 수 있는 Milestones Fee 및 Running royalty는 평가기준일 현재 현금흐름할인법으로 평가한 상기 평가금액 범위를 고려할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부적정하다고 판단할만한 근거가 발견되지 아니하였습니다.

평가대상기술의 가치는 74,409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4.91%, 영구성장률: 0.00%)에서 105,852백만원(가중평균자본비용: 12.91%, 영구성장률: 0.00%)의 범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당 법인은 독립적인 입장에서 회사가 제시한 자료에 대하여 제반 가정의 합리성과 기초자료의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양수대상자산의 가치를 평가하였습니다. 따라서 회사에서 제시한 자료에 변동사항이 발생하거나 회사의 향후 추정실적, 경제성장률, 물가상승률, 시장환경과 같은 기타 국내외 거시경제환경 등 제반 가정 또는 경제환경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평가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차이는 중요할 수 있습니다.


별첨 1. 가치평가업무의 가정과 제약조건

1. 가치평가 결과는 평가기준일 현재, 기술된 목적만을 위하여 타당합니다.
2. 공공정보와 산업 및 통계자료는 본 평가인이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한 원천에서 입수하였습니다. 그러나 본 평가인은 이들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에 대하여 어떠한 기술도 제공하지 아니하며, 이를 입증하기 위한 어떠한 절차도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3. 미래의 사건이나 상황은 회사가 예측한대로 발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본 평가인은 회사가 예측한 성과에 대하여 어떠한 확신도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즉, 예측성과와 실제결과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예측결과의 달성 여부는경영진의 행동과 계획 그리고 경영진이 전제한 가정에 따라 가변적입니다.
4. 본 평가인의 가치평가 결과는 현재 경영진의 전문성과 효과성 수준이 유지될 뿐만아니라, 사업매각, 구조조정, 교환, 주주의 자본 감축 등에 의해 회사의 성격이 중요하게 또는 유의적으로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한 것입니다.
5. 본 의견서 및 가치평가 결과는 본 평가인의 의뢰인과 본 의견서에서 언급한 특정의 목적만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제3자의 어떠한 목적이나 본 의견서에서 언급한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본 의견서 및 가치평가 결과는 어떠한 형태로든 투자자문 또는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작성된 것이 아니며 그렇게 해석되어서도 안됩니다. 가치평가 결과는 회사가 제공한 정보와 기타의 원천을 근거로 본 평가인이 고려한 의견만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6. 가치평가 결과, 가치평가 외부전문가의 명칭이나 그 직무의 언급 등을 포함하여 본 의견서의 어떠한 부분도 본 평가인의 서면동의 및 승인 없이 광고매체, 투자홍보, 언론매체, 우편, 직접교부 또는 기타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공중에게 전파될 수 없습니다.
7. 사전에 문서로 협약되지 않는 한 이 의견서의 내용과 관련하여 법정 증언이나 진술 등 본 평가인에게 추가적인 업무를 요구할 수 없습니다.
8. 본 평가인은 회사가 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종업원의 채용, 근무에 관한 규제의 적용대상 여부나 이를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회사에 대하여 특정의 질문이나 분석을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본 평가인의 가치평가 결과는 이러한 규정의 위반시 가치평가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지 아니한 것입니다. 

9. 본 의견서의 어떠한 내용도 본 평가인 이외의 자가 임의로 변경시킬 수 없으며, 본평가인은 이러한 승인 없는 변경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없습니다.
10.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평가인은 미래의 법률이나 규정이 회사에 미칠 수 있는잠재적인 영향에 대하여 어떠한 고려나 절차도 수행하지 않았습니다.
11. 본 평가인은 회사가 제시한 추정재무정보나 이와 관련된 가정에 대하여 감사의견등 어떠한 형태의 인증도 표명하지 아니합니다. 사건이나 상황은 예상과 다르게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추정재무정보와 실제결과 사이에 차이가 존재할 수있고, 또 그러한 차이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12. 본 평가인은 회사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의 영업전망에 대하여 현재의 경영진 및 담당자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하였습니다.
13. 본 평가인은 회사가 제시한 사업계획에 반영된 주요 계약이 이행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가치평가를 수행하였고, 해당 주요 계약의 이행 또는 변경에 대하여 어떠한 확신도 제공하지 아니합니다. 주요 계약의 불이행 또는 변경으로 인한 예측성과와 실제결과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4. 회사의 재무제표에 표시되지 않은 우발채무가 존재할 경우에는 본 의견서의 자기자본 가치평가 결과는 해당 우발금액을 고려하여 감액되어야 합니다.

별첨 2. 가치평가서비스 수행기준 준수이행 점검표

점검항목 점검결과
1. 정보의 원천
○ 평가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확보하였으며, 이러한 정보의 원천을                 보고서에 제시하였는가?
ㆍ대상회사 설비ㆍ시설 방문여부 및 정도
ㆍ법률적 등록문서ㆍ계약서 등의 증거 검사여부
ㆍ재무ㆍ세무정보, 시장ㆍ산업ㆍ경제자료 등
이행함
2. 평가대상에 대한 분석
○ 재무제표와 재무정보의 분석은 충실한가?
○ 평가대상회사 및 관련 비재무정보의 분석은 충실한가?
ㆍ경영진, 핵심고객과 거래처
ㆍ공급하고 있는 재화·용역
ㆍ해당 산업의 시장현황, 경쟁, 사업위험 등
이행함
3. 평가접근법 및 방법
○ 평가접근법에 대하여 충분히 고려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재는 충실한가?
○ 평가접근법별로 실제 적용한 평가방법 및 적용에 대한 논거는 충분히 제시되           었는가?
○ 적용한 평가방법에 대한 기재는 충분한가?
ㆍ이익ㆍ현금흐름에 대한 예측
ㆍ비경상적인 수익과 비용항목
ㆍ자본구조ㆍ자본조달비용 및 할인율 선택시 고려하였던 위험요소 예측이나              추정에 대한 가정 등
* 자산(원가)기준 또는 시장기준 평가접근법 이용시 그에 적합한 내용을 점검
이행함
4. 가치의 조정
○ 조정전 가치에서 할인ㆍ할증 등 가치 조정을 해야 할지 여부를 고려하였는가?
이행함
5. 가치평가의 도출
○ 가치평가의 도출절차를 준수하였는가?
ㆍ서로 다른 평가접근법과 방법의 결과에 대해 상호관련성을 검토 비교
ㆍ평가업무 과정에서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평가접근법과 방법에서            얻은 결과의 신뢰성을 평가
ㆍ단일의 평가접근법과 방법에 의한 결과를 반영할 것인지 복수의 평가접근법과         방법에 의한 결과의 조합을 반영할 것인지 결정
이행함
6. 문서화
○ 가치평가의 주요내용을 기록하였는가?
ㆍ평가관련 문서를 보존
이행함



5. 양수도되는 자산의 내용
난용성 약물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를 이용한 항암제 중 유방암 항암제와 폐암 항암제에 대한 독점적 실시권

6. 당사회사간의 관계 

구분 해당여부 비고
계열회사 또는 자회사 등의 관계가 있는 경우 해당 양도인은 당사의 최대주주로서 계열회사 관계임
임원간에 상호겸직이 있는 경우 해당 당사의 공동대표이사 2인 중 1인 김택성대표이사는 양도인의 해외법인의 대표이사임
일방 당사회사의 대주주(특수관계인을 포함)가
타방 당사회사의 특수관계인인 경우
해당 양도인의 최대주주는 (주)씨앤팜이며,
당사와 계열회사 관계임
그 밖에 영업의 경쟁 또는 보완관계 여부 등 상호관련사항 해당사항 없음 -



7. 기타 투자자보호에 필요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626000348

현대ADM (18766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