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3 15:0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3000404
2023 년 3월 13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딥노이드 | |
대 표 이 사 : | 최우식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55, 1305호 | |
(전 화)02-6952-6001 | ||
(홈페이지)http://www.deepnoid.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무이사 | (성 명) 김태규 |
(전 화) 02-6952-6001 | ||
(제15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22 조에 의거 제 15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15기 정기주주총회는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하신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정관 24조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주주총회 관련 문의 : 070-4681-3356)
- 다 음 - |
1. 일 시 : 2023년 3월 30일(목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271, 벽산디지털밸리3차 B201 휴넷캠퍼스 열정룸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1) 영업보고
(2) 감사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제15기 재무제표(결손금 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정관일부 변경의 건
제 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후보자: 김세영)
제 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 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사업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예탁결제원 의결권 행사(섀도우보딩)제도가 2018년 1월 1일부터 폐지됨에 따라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전자투표 포함)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전자위임장 포함)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상법」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160조 제 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주소
: (PC/모바일)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3월 20일 9시 ~ 2023년 3월 29일 17시
( 단, 첫날은 오전 9시부터,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본인 신분증, 주주총회참석장
- 대리인 : 대리인의 신분증, 주주총회참석장, 위임장
※ 법인주주 : 위임장(법인인감 날인), 법인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2023년 3월 13일 |
주식회사 딥노이드 |
대표이사 최 우 식 (직인생략) |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박성민 (출석률: 67%) | 전석철 (출석률: 100%) | 김소희 (출석률: 33%) | |||
찬 반 여 부 | |||||
1 | 2022.02.09 | 1. 제 14기(2021.01.01 ~ 2021.12.31) 결산(안)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2 | 2022.03.10 | 1. 제 1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2. 지점 설치의 건 | 찬성 | 찬성 | 불참 |
3 | 2022.03.18 | [보고] 2021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1. 제 14기 결산(안) 재승인의 건 2.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 찬성 | 찬성 | 불참 |
4 | 2022.06.29 | 1. 지점 설치의 건 2. 정석연구재단 사무실 전대차 계약 승인의 건 3. 스타트업 투자조합 펀드 출자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해당사항 없음 (퇴임) |
5 | 2022.09.13 | 1.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2. 해외 기술기업 투자조합 펀드 출자 승인의 건 | 불참 | 찬성 | |
6 | 2022.10.28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 불참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회사는 '인류의 건강과 삶의 질적 향상에 공헌하는 인공지능'이라는 기업이념을 바탕으로의료 진단ㆍ판독 보조 및 질병 조기진단을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의료 인공지능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의료 인공지능 산업은 의료계와 기업 간 연계를 통한 연구 개발의 비중이 높습니다. 하나의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을 위해 충분한 의료 데이터 수집, 질환에 대한 이해, 데이터 프로세싱, 인공지능 모델 설계, 인허가 등이 결합되어야 하며 적어도 1~2년 이상의 개발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과정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① 의료계와 기업 간 연계를 통한 연구 개발의 비중이 높습니다. 하나의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을 위해 충분한 의료 데이터 수집, 질환에 대한 이해, 데이터 프로세싱, 인공지능 모델 설계, 인허가 등이 결합되어야 하며 적어도 1~2년 이상의 개발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과정 때문에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편입니다.
② 정부 규제 및 정책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인공지능 연구를 위해서는 법률적인 문제 및 보안 문제의 해소가 필요하며, 대부분 기술이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방향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적용된 제품의 인허가 및 상용화와 다른 부분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과 법 제정 여부에 따라 향후 제품 개발 속도나 시장 전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③ 의료 인공지능 시장은 기존에 없던 신규 시장으로, 다수 플레이어가 경쟁하는 시장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상용화 단계를 거쳐 시장을 장악한 기업은 아직까지 없습니다. 향후 해당 시장의 점유율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외 인공지능 헬스케어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18년도 BIS리서치가 발표한 '세계 인공지능 헬스케어 시장 및 전망' 리포트에 따르면 2018년도부터 2023년까지 45.1%의 연평균 성장율로 시장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의료 인공지능 산업은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수요이므로 경기변동에는 둔감하며, 계절성도 낮습니다. 다만, 전세계적으로 도입기에 해당하므로, 본 산업에 속해있는 기업들은 수요를 창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홍보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당사가 속한 의료 인공지능 시장은 이제 성장 단계에 접어든 시장입니다. 현재 형성되어 있는 한정된 파이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보다는 아직 표면화되지 않은 잠재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업체별로 타깃 고객층 및 질환, 제품 수익구조 등 독자적인 사업모델을 구축하는 움직임이 다수 발생하고 있습니다.
의료 인공지능 시장은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양질의 데이터 취득 역량이 필요하며, 의료기기인 인공지능 제품을 상용화하기 위해 식약처의 인허가를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특성상 개발 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또한 의료인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고도화하기 위해 의료인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피드백을 받아야 하므로 인적 네트워크가 필요합니다. 위 기재한 데이터, 개발 시 비용 및 기간, 인적 네트워크와 함께 지식재산권을 통한 기술보호 등이 의료 인공지능 시장의 주요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
(5) 자금조달상의 특성
의료 인공지능 시장은 성장 단계에 접어든 시장으로 현재 회사를 운영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조달은 어렵습니다. 회사는 신규산업인 보안, 산업, 교육 산업의 실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계획입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국내에서도 인공지능 발전에 발맞춰 정책적 지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식약처에서는 2017년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의 임상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허가, 심사 가이드라인’을 발간했고, 2019년 개정 안내서도 발간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 해당 여부, 성능 검증 요건 등 판단 기준 가이드라인을 통해 다수 업체가 신속한 인허가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9년 말에는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에 근거해 보건복지부의 『혁신적 의료기술의 요양급여 여부 평가 가이드라인』 이 마련되어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술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 적용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2020년 말에는 병리학 분야의 인공지능 의료기술 대상 수가 적용 가이드라인이 추가 발표되었습니다. 해당 가이드라인에 따라 의료 인공지능 제품이 기존에 제공하지 못하는 새로운 의학적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존 의료행위 대비 환자에게 제공되는 이익과 비용효과성이 입증되는 경우 건강보험 상의 추가적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국내 인공지능 의료기기에 대한 보험 적용 사례는 아직 없으나, 코로나19 이후 형성된 비대면, 인공지능 원격 진단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이에 부합하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에 따라 건강보험 수가 적용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파이프라인 개발 방식과 플랫폼 개발 방식을 병행하는 Two-track 사업모델을 구축하여 의료 인공지능 상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Two-track 사업모델의 한 요소로 파이프라인 비즈니스(파이프라인 개발 방식)는 당사가 직접 제품을 개발하는 방식으로서, 병원으로부터 의료 데이터를 구매해 내부 연구 인력을 동원하여 개발을 진행합니다.
플랫폼 비즈니스(플랫폼 개발 방식)는 병원과 의료인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데이터를활용해 인공지능 제품을 직접 개발하는 방식으로서, 당사는 인공지능 인프라와 연구 컨설팅을 제공하고 제품 판매 수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당사는 Two-track 사업모델을 동원하여 의료인의 진단ㆍ판독 보조 및 질병 조기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의료기기인 DEEP:AI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개발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인공지능 제품의 개발, 배포, 활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인공지능 효율화 툴로서 DEEP:PHI (인공지능 개발툴;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과 제품 개발에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DEEP:STORE (인공지능 마켓플레이스; 인공지능 개발 및 상용화가 완료된 인공지능 제품을 배포하여 거래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DEEP:PACS (인공지능 PACS: PACS는 병원에서 의료영상 조회, 판독, 분석에 사용하는 필수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하여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파이프라인 방식의 자체 개발 시, 그리고 의료인의 플랫폼 방식의 개발 시 공통적으로 인공지능 효율화 툴을 활용해 신속하게 인공지능 제품 다양성을 확보하고 시장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결론적으로 당사는 Two-track 사업모델을 통해 개발한 인공지능 의료기기인 DEEP:AI를 판매하는 것을 주 수익원으로 하며, 나아가 의료인의 인공지능 효율화 툴 (DEEP:PHI, DEEP:STORE, DEEP:PACS) 사용에 따른 수익을 추가적으로 획득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의료인의 인공지능 개발이 보편화되지 않은 현재에는 단기적으로 일반적인 의료 인공지능 사업의 매출 실현 방식인 파이프라인 비즈니스를 중점적으로 공략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플랫폼 비즈니스는 병원과 의료인의 인공지능 자체 개발에 대한 높은 수요 존재, 내부 개발 비용 절감 및 동시다발적인 개발을 통한 제품화 가속화 등에 대한 장점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당사의 플랫폼 방식 내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유입하고 인큐베이션 함으로써,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이용한 인공지능 생태계를 조성하고 시장 선점 효과를 누리고자 합니다.
당사는 향후에도 Two-track 사업모델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운영으로, 4개의 제품군인 DEEP:AI , DEEP:PHI, DEEP:STORE, DEEP:PACS를 통한 의료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자 합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은 크게 인공지능 의료영상 판독보조솔루션인 DEEP:AI의 서비스사업과 인공지능개발툴인 DEEP:PHI의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품목 | 용도 | 기능 및 특징 |
DEEP:AI | DEEP:AI는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으로 다양한 질환에 대한 각종 의료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질환 분류, 병변 영역 검출, 예후 예측 등 의료인의 의료행위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 의료 영상 데이터 대상 질환 분류 (Classification) - 특정 병변 기준으로 병변 영역 검출 (Segmentation, Detection) -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예후 예측 (Prediction) - 분석 결과에 대한 심층 레포트 생성 |
DEEP:PHI | DEEP:PHI는 의료 데이터를 보유한 의료인이 직접 인공지능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공지능 개발툴입니다. 특히 코딩에 익숙하지 않거나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더라도 DEEP:PHI를 이용해 쉽게 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연구에 필요한 이미지 전처리 모듈, 신경망 모듈이 기본으로 제공되고, 다양한 템플릿 프로젝트가 공유되어 쉽게 인공지능 연구개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 다양한 포맷의 의료 영상/레코드 파일 및 2D, 3D 레이블링 파일 지원 (DICOM, SVS, PNG, JPG, XLS, CSV, TIFF, NIFTI 등) - 70여 개의 전처리 기술, 50여 개의 인공지능 신경망 모듈을 지원 - 성능 지표 관리 기능 제공 (학습 및 검증 히스토리 저장 및 관리) - 컴퓨팅 자원 분산 기능 지원 - 인공지능 학습결과 테스트 및 배포 기능 지원 - 프로젝트 공유 및 복사 기능 제공 |
(2) 시장점유율
회사는 인공지능 개발 플랫폼인 DEEP:PHI를 개발하여 연구개발 및 제품화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17개의 인공지능 의료영상 판독보조 솔루션을 개발하여 인허가를 획득하였으며, 현재도 DEEP:PHI를 활용하여 다수의 의료기관과 협업하여 60여개 이상의 연구개발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다만 의료인공지능 분야는 전세계적으로 도입기에 해당되는 시장으로 관련업계의 시장 점유율이 집계되지 않았으며, 인공지능 개발 플랫폼인 DEEP:PHI는 시장에서 경쟁제품이 없기에 시장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회사의 거시적 목표시장은 의료 인공지능 시장입니다. 의료 인공지능 시장 중 세부적으로는 플랫폼 방식으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판매가 가능한 의료 인공지능 플랫폼 시장(DEEP:PHI, DEEP:STORE)과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시장(DEEP:AI) 및 PACS시장(DEEP:PACS)를 당사가 접근가능한 유효시장으로 타켓팅 하였습니다.
의료계와 기업간의 연계를 통한 연구 개발 비중이 높으며, 정부 규제 및 정책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대부분의 기술이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방향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적용된 제품의 인허가 및 상용화와 다른 부분이 많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과 법 제정 여부에 따라 향후 제품 개발 속도나 시장 전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 없던 신규 시장으로 다수 플레이어가 경쟁하는 시장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상용화 단계를 거쳐 시장을 장악한 기업은 아직까지 없습니다. 향후 해당 시장의 점유율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회사는 의료 분야에서 축적한 인공지능 기술 역량과 인공지능 개발, 배포, 활용의 전과정을 효율화하는 툴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사업영역을 의료 인공지능 사업에서 나아가 "보안 인공지능 사업"과 "인공지능 교육 사업"을 확장하고자 합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의 영업상황에 대한 내용은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3월 22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 전 개별 재무제표입니다.
- 개별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 |
제 15 (당) 기말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4 (전) 기말 :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딥노이드 | (단위: 원) |
과 목 | 제 15 (당) 기말 | 제 14 (전) 기말 | ||
---|---|---|---|---|
자 산 | - | - | - | - |
Ⅰ. 유 동 자 산 | - | 11,735,520,358 | - | 16,438,992,323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8,147,032,503 | - | 16,135,613,360 | - |
2. 단기금융상품 | 3,000,000,000 | - | - | - |
3. 매출채권 | 126,340,181 | - | 77,825,746 | - |
4. 단기기타채권 | 269,889,498 | - | 125,219,173 | - |
5. 기타유동금융자산 | 89,009,385 | - | 9,760,000 | - |
6. 기타유동자산 | 103,248,791 | - | 90,574,044 | - |
Ⅱ. 비 유 동 자 산 | - | 2,787,673,496 | - | 2,151,802,128 |
1. 유형자산 | 1,321,403,946 | - | 1,295,571,269 | - |
2. 무형자산 | 108,935,681 | - | 130,907,160 | - |
3. 사용권자산 | 581,228,129 | - | 508,972,869 | - |
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484,420,000 | - | - | - |
5.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29,372,311 | - | 145,859,001 | - |
6. 기타비유동자산 | 62,313,429 | - | 70,491,829 | - |
자 산 총 계 | - | 14,523,193,854 | - | 18,590,794,451 |
부 채 | - | - | - | - |
Ⅰ. 유 동 부 채 | - | 2,031,660,991 | - | 1,393,900,935 |
1. 매입채무 | - | - | 4,162,777 | - |
2. 단기기타채무 | 1,442,478,116 | - | 636,826,020 | - |
3. 유동성리스부채 | 201,087,415 | - | 148,384,328 | - |
4. 기타유동부채 | 388,095,460 | - | 604,527,810 | - |
Ⅱ. 비 유 동 부 채 | - | 2,452,729,411 | - | 3,449,035,696 |
1. 장기차입금 | 352,794,650 | - | 546,241,157 | - |
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441,440,743 | - | 1,373,542,579 | - |
3. 장기기타채무 | 15,000,000 | - | 3,450,259 | - |
4. 비유동성리스부채 | 371,086,476 | - | 351,726,084 | - |
5. 복구충당부채 | 38,264,584 | - | 35,907,379 | - |
6. 장기종업원급여부채 | 51,932,630 | - | 42,566,150 | - |
7. 순확정급여부채 | 1,182,210,328 | - | 1,095,602,088 | - |
부 채 총 계 | - | 4,484,390,402 | - | 4,842,936,631 |
자 본 | - | - | - | - |
Ⅰ. 자본금 | 4,658,567,000 | - | 4,638,873,000 | - |
Ⅱ. 자본잉여금 | 49,403,834,726 | - | 48,783,178,655 | - |
Ⅲ. 기타자본 | 3,729,278,562 | - | 2,949,599,769 | -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41,160,332 | - | 8,715,383 | - |
Ⅴ. 결손금 | (47,894,037,168) | - | (42,632,508,987) | - |
자 본 총 계 | - | 10,038,803,452 | - | 13,747,857,820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 | 14,523,193,854 | - | 18,590,794,451 |
- 개별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15 (당)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14 (전) 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딥노이드 | (단위: 원) |
과 목 | 제 15 (당) 기 | 제 14 (전) 기 |
---|---|---|
Ⅰ. 매출액 | 3,181,548,542 | 943,670,491 |
Ⅱ. 매출원가 | 1,632,384,018 | 690,922,664 |
Ⅲ. 매출총이익 | 1,549,164,524 | 252,747,827 |
Ⅳ. 판매비와관리비 | 7,644,946,337 | 7,904,294,567 |
Ⅴ. 영업손실 | (6,095,781,813) | (7,651,546,740) |
Ⅵ. 금융손익 | 722,405,490 | (1,260,323,827) |
1. 금융수익 | 836,255,596 | 37,245,267 |
2. 금융비용 | (113,850,106) | (1,297,569,094) |
Ⅶ. 기타손익 | 111,848,142 | 58,328,545 |
1. 기타수익 | 114,370,001 | 59,559,581 |
2. 기타비용 | (2,521,859) | (1,231,036) |
Ⅷ. 법인세차감전순손실 | (5,261,528,181) | (8,853,542,022) |
Ⅸ. 법인세비용 | - | - |
Ⅹ. 당기순손실 | (5,261,528,181) | (8,853,542,022) |
XI. 기타포괄손익 | 132,444,949 | 30,786,875 |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32,444,949 | 30,786,875 |
XII. 총포괄손실 | (5,129,083,232) | (8,822,755,147) |
XIII. 주당손실 | - | - |
기본주당손실 | (566) | (1,054) |
- 개별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 |
제 15 (당)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14 (전) 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딥노이드 | (단위: 원) |
구 분 | 자본금 | 주식발행 | 기타자본 |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 결손금 | 합 계 |
---|---|---|---|---|---|---|
2021.1.1(전기초) | 1,990,998,500 | 27,783,239,175 | 1,750,823,793 | (22,071,492) | (33,778,966,965) | (2,275,976,989) |
총포괄이익: | - | - | - | - | - | - |
당기순손실 | - | - | - | - | (8,853,542,022) | (8,853,542,022)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30,786,875 | - | 30,786,875 |
자본에 직접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 - | - | - | - | - | - |
유상증자 | 154,500,000 | 11,917,995,900 | - | - | - | 12,072,495,900 |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 | 143,800,000 | 10,573,712,864 | - | - | - | 10,717,512,864 |
주식선택권 | 30,138,000 | 861,823,556 | 1,198,775,976 | - | - | 2,090,737,532 |
무상증자 | 2,319,436,500 | (2,353,592,840) | - | - | - | (34,156,340) |
2021.12.31(전기말) | 4,638,873,000 | 48,783,178,655 | 2,949,599,769 | 8,715,383 | (42,632,508,987) | 13,747,857,820 |
2022.1.1(당기초) | 4,638,873,000 | 48,783,178,655 | 2,949,599,769 | 8,715,383 | (42,632,508,987) | 13,747,857,820 |
총포괄이익: | - | - | - | - | - | - |
당기순손실 | - | - | - | - | (5,261,528,181) | (5,261,528,181)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132,444,949 | - | 132,444,949 |
자본에 직접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 - | - | - | - | - | - |
유상증자 | - | - | - | - | - | - |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 | 19,694,000 | 620,656,071 | - | - | - | 640,350,071 |
주식선택권 | - | - | 779,678,793 | - | - | 779,678,793 |
무상증자 | - | - | - | - | - | - |
2022.12.31(당기말) | 4,658,567,000 | 49,403,834,726 | 3,729,278,562 | 141,160,332 | (47,894,037,168) | 10,038,803,452 |
- 개별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 |
제 15 (당)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14 (전) 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딥노이드 | (단위: 원) |
구 분 | 제 15 (당) 기 | 제 14 (전) 기 |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3,950,779,194) | - | (4,612,214,195) |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4,093,711,359) | - | (4,628,542,150) | - |
2. 이자 수취 | 195,930,627 | - | 35,514,100 | - |
3. 이자 지급 | (28,303,612) | - | (19,852,445) | - |
4. 법인세 환급(납부) | (24,694,850) | - | 666,300 |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4,046,235,536) | - | (1,226,737,005)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9,178,495,655 | - | 239,951,686 | - |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9,000,000,000 | - | - | - |
대여금의 감소 | 2,190,894 | - | - | - |
차량운반구의 처분 | - | - | 2,727,273 | - |
비품의 처분 | 1,707,273 | - | - |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9,760,000 | - | 35,000,000 |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164,837,488 | - | 202,224,413 |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3,224,731,191) | - | (1,466,688,691) |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12,000,000,000 | - | - | - |
대여금의 증가 | 40,000,000 | - | -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 484,420,000 | - | - | - |
특허선급금의 증가 | 25,444,720 | - | 70,535,047 | - |
장기선급금의 증가 | - | - | 11,500,000 | - |
차량운반구의 취득 | 79,506,750 | - | 17,572,606 | - |
공구와기구의 취득 | 3,500,000 | - | - | - |
비품의 취득 | 418,729,721 | - | 1,252,833,038 | - |
시설장치의 취득 | 14,350,000 | - | 5,440,000 | - |
소프트웨어의 취득 | 10,700,000 | - | 23,728,000 |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148,000,000 | - | 85,000,000 | - |
기타보증금의 증가 | 80,000 | - | 80,000 |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8,433,873 | - | 12,128,401,347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78,253,421 | - | 13,154,311,342 |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163,253,421 | - | 25,621,342 | - |
유상증자 | - | - | 12,978,000,000 | - |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 - | - | 150,690,000 | - |
임대보증금의 증가 | 15,000,000 | - | - |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69,819,548) | - | (1,025,909,995) | - |
리스부채의 상환 | 169,259,608 | - | 82,277,555 | - |
신주발행비 지급 | 559,940 | - | 943,632,440 |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 | - | (7,988,580,857) | - | 6,289,450,147 |
Ⅴ.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 | 16,135,613,360 | - | 9,846,163,213 |
Ⅵ.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Ⅳ+Ⅴ+Ⅵ) | - | 8,147,032,503 | - | 16,135,613,360 |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안) | |
제 15 (당)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14 (전) 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딥노이드 | (단위: 원) |
구 분 | 제 15 (당) 기 | 제 14 (전) 기 | ||
---|---|---|---|---|
처리예정일: 2023년 3월 30일 | 처리확정일: 2022년 3월 30일 | |||
Ⅰ. 미처리결손금 | - | (47,894,037,168) | - | (42,632,508,987) |
1.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42,632,508,987) | - | (33,778,966,965) | - |
2. 당기순손실 | (5,261,528,181) | - | (8,853,542,022) | - |
Ⅱ. 결손금처리액 | - | - | - | - |
Ⅲ.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 | (47,894,037,168) | - | (42,632,508,987)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47조(감사의 선임) ① 감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 ② 감사의 선임을 위한 의안은 이사의 선임을 위한 의안과는 별도로 상정하여 의결하여야 한다. ③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 제47조(감사의 선임) ① 감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 ② 감사의 선임을 위한 의안은 이사의 선임을 위한 의안과는 별도로 상정하여 의결하여야 한다. ③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상법 제368조의4 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로써 감사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 감사 선임 시 전자적 방법에 의한 의결권의 행사 조항 추가 |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세영 | 1981.11.20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세영 | 회계사 | 2009.10 ~ 2013.10 2013.12 ~ 현재 | 삼정회계법인 B&F 한울회계법인 1본부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세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 김세영은 감사의 자격요건(회사 및 경영진과의 독립성, 전문지식 등)에 부합하며, 고도의 전문지식과 다양한 업무경험을 토대로 회사 경영투명성 확보 및 재무건전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추천합니다. |
확인서
감사확인서_김세영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03.22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개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① 감사보고서 : www.deepnoid.com
(홈페이지 - IR - 공시정보 - 전자공시 - 감사보고서)
② 사업보고서 : www.deepnoid.com
(홈페이지 - IR - 공시정보 - 전자공시 - 사업보고서)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바랍니다.
1. 코로나19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해 당일 발열, 기침 증세가 있으신 주주님은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스크 미착용 주주님께서도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총회장 입장 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주총 집중일 개최 사유 :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 개최일정 결정 시 코스닥협회의 주주총회 분산 개최 권고에 따라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원활한 주주총회 준비를 위한 내부일정 및 외부감사인과의 감사보고서 수령일정 등 대내외 일정을 고려하여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인 2023년 3월 30일(목)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3.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법 제152조, 동법시행령 제160조에 따른 전자위임장제도를 제 15기 정기주주총회에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 : (PC/모바일) https://vote.samsungpop.com ■ 전자투표 행사 시간 : 2023년 3월 20일 ~ 2023년 3월 29일,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첫날은 오전 9시부터,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 전자투표 행사 방법 :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을 행사 ■ 수정 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 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약관 제13조 제2항)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30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