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버원 (3568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6 16:5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118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03 월   16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싸이버원
대 표 이 사 : 육동현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 39 (방배동)

(전   화) 02-3475-4900

(홈페이지) http://www.cyberone.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김희망

(전  화) 02-3475-49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8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 제1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21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미만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31일 (금)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38동 글로벌공학교육센터 중회의실 519호

3.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관한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8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포함)
                      승인의 건 (현금배당 예정액 : 보통주 1주당 80원)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비상근감사 신용각 신규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이사회 부여분)

4.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 신분증
- 법인 : 위임장, 법인인감증명서, 사업자등록증사본, 대리인신분증


5.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http://kind.krx.co.kr)에서 조회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시행령」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3월 21일 9시 ~ 2023년 3월 30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지막날은 17시까지 가능)
 다. 본인 인증방법 : 공동인증서,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 상정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기타사항
- 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위하여 건물 및 총회장 출입시 안내데스크 통제에 따라 ①발열체크 ②손소독제 사용 ③마스크 착용 여부 확인 후 출입이 허용되오니 필히 마스크를 착용하시고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3년 3월 16일

주식회사  싸이버원
대표이사   육 동 현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동곤
(출석률: 93%)
찬 반 여 부
22-01 2022-01-05 1.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의 건
2. 회사 규정 개정의 건
3. 회사 규정 개정사항 보고의 건
찬성
22-02 2022-01-28 1. 회사 규정 개정의 건
2. 외부감사인선임위원 선임의 건
찬성
22-03 2022-02-07 1.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의 건 찬성
22-04 2022-02-16 1. 제17기(2021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17기(2021년) 현금배당 결정의 건
3. 제17기(2021년)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4.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찬성
22-05 2022-03-07 1.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의 건 찬성
22-06 2022-03-16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2. 정관 일부 변경의 건
3. 제17기 정기 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2-07 2022-03-31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회사 규정 개정의 건 
-
22-08 2022-05-27 1. 투자조합 출자의 건 찬성
22-09 2022-06-30 1. 회사 규정 제정의 건
2. 회사 규정 개정의 건 
찬성
22-10 2022-07-05 1.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의 건 찬성
22-11 2022-07-15 1. 타법인 회사채 취득의 건 찬성
22-12 2022-08-12 1. 회사 규정 개정의 건 찬성
22-13 2022-12-05 1.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인한 신주발행의 건 찬성
22-14 2022-12-09 1. 투자조합 출자의 건
2. 타법인 주권관련사채 취득의 건
3. 주주명부 폐쇄일 결정
4. 배당기준일 결정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 6 6 -

주.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포함한 전체 이사보수한도에 대한 승인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정보보호란 각종 위협으로부터 정보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는 동 산업을 '정보보호를 위한 기술 및 정보보호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개발·생산 또는 유통하거나 이에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 보호 산업은 정보보호제품을 개발·생산 또는 유통하거나 정보보호에 관한 보안관제, 컨설팅 등 서비스를 수행하는 산업으로서 기술의 적용 영역, 제품의 특성 등에 따라 정보보안, 물리보안, 융합보안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중 당사가 영위하는 정보보안은 하기와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정보보안 분류]

대분류

중분류

정보보안 관련 서비스

보안관제 서비스(당사 영위 분야)

보안컨설팅 서비스(당사 영위 분야)

보안시스템 유지관리/보안성 지속 서비스

보안교육 및 훈련 서비스

보안인증 서비스

정보보안 제품 (솔루션)

공통인프라보안 솔루션(당사 영위 분야)

네트워크보안 솔루션

앤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플랫폼보안/보안관리 솔루션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콘텐츠/데이터 보안 솔루션

(자료: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22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2022.09)

 

국내의 경우 1990년대 말 정보화시대에 접어들면서 정보를 자산으로 여기고 관리하는 활동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보안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었습니다. 다만, 과거에는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기타 기반 시설 등의 관리 및 정보 유출 사고 이후 사후 대처가 보안의 주요 역할이었다면, 최근에는 다양한 보안사고 증가 및 보안 영역 확대로 인한 예방 중심으로의 인식변화가 정보보안 산업의 주요 성장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보보안 산업은 국내 기준상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등 개별법에 근거하여 적용되었으나, 보안의 인식이 사후대처에서 예방으로 변화하고 다양한 산업분야와 융합함에 따라 보안 영역이 확대되어 개별법령외에도 각 산업 법률의 하위 조항으로 규정하여 정보보호를 제도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4차산업 시대 도래로 정보 유출, 해킹 등의 리스크가 증대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이를 대응하기 위한 정보보안 기술에 대한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어 IoT, 클라우드 등 인프라 환경 변화에 따라 정보보안의 시장 영역은 필연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2021년 글로벌 정보보안 시장 규모는 약 1,321억 5,200만 달러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년도 1,182억 6,500만 달러에서 11.7% 증가한 수준이며, 2016년 이후 연평균 11.5% 성장 하였습니다.
재택근무, 비대면ㆍ비접촉, 출입 통제 강화 등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며 안전과 보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2021년 전 세계 기업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한 주당 사이버 공격 횟수는 전년 대비 50% 증가 한 것으로 집계 되었습니다. 글로벌 정보보안 시장 규모는 2026년까지 연평균 9.6% 성장하여 2,098억 4,2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2021년 글로벌 정보보호 산업시장 동향조사, 2022.03)

2021년 국내 정보보안 시장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4.5조원 규모이며, 2015년~2021년 동안 연평균 13.7%의 성장율을 기록하였습니다.

[국내 정보보안 시장 규모]

국내 정보보안 시장 규모 (2022.09)

(자료: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22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2022.09)


정보보안산업은 크게 정보보안 제품과 정보보안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체 시장 중 규모는 정보보안제품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2017년~2021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정보보안제품이 11.3%인데 반해 정보보안서비스가 19.1%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정보보안 서비스 중 보안관제와 보안컨설팅이 2021년 기준 약 63%를 차지하고 있어 정보보안서비스 분야의 주요 산업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보보안 산업 분류별 시장 규모 현황]

(단위 : 십억원)
구분 2021년
정보보안
제품
(솔루션)
공통인프라보안 솔루션 677
앤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614
플랫폼보안/보안관리 솔루션 198
클라우드 보안 솔루션 79
컨텐츠/데이터 보안 솔루션 612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943
소계 3,123
정보보안
관련
서비스
보안관제 서비스 400
보안 컨설팅 501
보안시스템 유지관리/보안성 지속 서비스 416
보안교육 및 훈련 서비스 6
보안인증 서비스 104
소계 1,427
합계 4,550

(자료: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22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2022.09)

 

정부의 법·제도 정비, 최근 보안사고 증가로 인한 경각심 고조, 정부 및 기업의 보안 투자 강화 등 시장환경 변화에 따라 향후에도 기존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부터 융합보안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IoT의 등장으로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정보보호산업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정보보안 관련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그 중 보안관제 및 보안 컨설팅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보안관제서비스

보안관제(Security Monitoring)는 정보통신망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사이버 공격 정보를 탐지, 분석, 대응하는 일련의 활동이라고 정의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 트렌드에 상응하는 각종 정보유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하여 서버, 네트워크, 보안솔루션, 클라우드 등 고객이 보유한 정보자산시스템 및 정보보호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로그 및 이벤트 정보를 통합보안관제시스템으로 수집하여 전문 보안관제 요원이 상시 모니터링하고 이상징후 발생 즉시 대응하여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고객의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보안위협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통합보안관리서비스(MSS, Managed Security Service)로 확대 정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안관제서비스 제공을 위한 3대 핵심요소인 보안전문가, 대응프로세스, 보안관제플랫폼을 보유하고 보안기술과 서비스를 자체역량으로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의 보안관제 전문업체로서 이러한 핵심요소를 기반으로 당사 고유의 보안관제 방법론에 입각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 통합보안관제서비스 유형]

환경

구분

서비스 내용

On-premise

원격

보안관제서비스

- 원격지의 보안관제센터(당사)에서 제공하는 관제서비스

- 24시간 무중단 실시간 탐지 및 대응

- 원격을 통해 보안시스템 운영 및 관리

- 서비스 이용 고객: 일반 기업, 포털 업체 등

파견

보안관제서비스

- 보안관제 전문인력이 고객사에 위치하여 관제업무 수행

- 고객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

- 고객사의 내부 보안기획 및 관리 업무 지원

- 서비스 이용 고객: 공공, 금융권

하이브리드

보안관제서비스

- 원격관제와 파견관제가 결합된 서비스

- 원격관제센터가 보유한 다양한 위협정보 활용

- 장애 및 침해사고 발생 시 공조 체계 가동

- 서비스 이용 고객: 일반기업, 금융권

Off-premise (Cloud)

클라우드

관제서비스

-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관제

- 클라우드 내에서 일어나는 보안 위협을 On-premise
  환경과 동일하게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 고객: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게임사, 포털  
  서비스, 인터넷 쇼핑몰 등) 및 서비스 이용 기업

부가보안서비스

- 가용성탐지서비스     - 모의훈련서비스

- 취약점관리서비스     - 사고대응서비스

- 관제수준진단서비스   - Cloud SE


② 보안컨설팅

보안컨설팅은 모든 정보 기술(IT) 자산과 조직에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관리자와 조직이 그 대책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문 서비스로서 당사는 고객사의 비즈니스 및 IT 환경에 필요한 정보보호전략 수립부터 정보보호관리체계 구축, IT 정보보호 강화 모델 설계, 기타 정보보호 운영 지원 등 정보보호 전 분야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으로 지정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개인정보영향 평가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당사 고유의 정보보호 컨설팅 방법론(CCMS)을 통해 체계적인 보안컨설팅을 제공하고 다양한 업종 전반에 걸친 트랙레코드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컴플라이언스에 해당하는 각종 인증 컨설팅뿐만 아니라 수준 높은 자체 인력의 모의해킹 서비스를 통해 고객사 시스템의 취약점분석 및 보안인식제고를 위한 컨설팅을 통해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당사 보안컨설팅서비스 유형]

구분

컨설팅 유형

서비스 내용

적용대상

관리진단

컨설팅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시도행정, 철도, 교통등 정부 및 공공기관 중요 정보시스템 또는 정보통신망)에 대한 악성코드 유포, 해킹 등 사이버 위협에 대한 취약점분석/ 평가 수행, 결과에 대한 개선대책 수립 등 발견된 취약점에 대한 효과적 관리 지원 컨설팅

정보통신기반보호법에 따라 전자적 침해행위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전자금융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

금융회사의 전자금융거래 안정성,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자금융기반시설의 취약점 평가와 이에 따른 조치계획 수립 지원 컨설팅

전자금융거래법 제21조 2항에 따라 정보통신망을 이용하는 금융회사 및 전자금융업자
정보보호관리체계
(ISMS) 인증 컨설팅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의 줄임말로 특정 조직에 적합한 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하고 위험에 상시대응하기 위한 기술적, 물리적, 관리적 보호조치를 포함한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인터넷 진흥원(KISA)에서 인증을 받기 위한 컨설팅 정보통신망법 제47조 및 동법시행령 제47조~제54조에    따른 ISP, IDC 등
ISO27001 인증 컨설팅 영국표준(BS7799)에서 2005년 11월 ISO표준으로 승격된 표준 정보보호 인증으로 국제 정보보호 관리체계 규격에 따라 정보 관리가 체계적,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하는 컨설팅 공공,민간기업 등

정보시스템
진단 컨설팅

인프라 취약점 진단

서버 OS 취약점 진단, WEB/WAS 취약점 진단, DBMS 취약점 진단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계정관리, 보안 패치, 서비스관리, 권한 관리,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관리 등 보안설정을 진단하고 취약점을 도출하여 이를 통해 보안수준 및 설정을 강화 및 지원하는 컨설팅

공공,민간기업 등

모의해킹

컨설팅

모의해킹

고객의 사전 동의 후 해커의 관점에서 수행하는 진단으로 악의적 해킹에 대한 정보 자산의 실질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로 실제 해커가 사용하는 해킹도구 및 기법 등을 이용하여 정보시스템으로의 침투가능성을 진단 및 취약점 도출 지원 컨설팅

공공,민간기업 등
웹 취약점 진단

고객사의 웹 서비스에 대한 취약점 진단으로 OWASP TOP 10 및 자체 취약점 점검 항목을 통해 웹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 도출하여 서비스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컨설팅

공공,민간기업 등
앱 취약점 진단 앱(APP) 소스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파악 &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컨설팅으로 올바른 입력 값 검증, Secure Code 적용, 중요정보 노출 등 진단 컨설팅 공공,민간기업 등

개인정보보호

컨설팅

개인정보 영향평가

개인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시, 개인정보 처리가 수반되는 업무절차 변경 시, 개인정보 관리에 미칠 수 있는 침해요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도출 및 이행 여부 점검을 위한 컨설팅

개인정보보호법 제33조에
따른 공공기관
개인정보관리체계
(ISMS-P) 인증 컨설팅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일련의 조치와 활동이 인증기준에 적합하도록 관리체계 전반적인 컨설팅을 진행하여, 인터넷 진흥원 또는 인증기관을 통하여 고객사가 인증마크를 획득 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컨설팅서비스 정보통신망법 제47조의 3 및 개인정보보보법 제32조의2에 따른 개인정보운영자 등
개인정보 실태점검
컨설팅
 공공 및 기업의 개인정보 관리 수준을 확인하고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침해 예방을 위하여 기술적ㆍ관리적 보호 조치 여부를 점검 및 개선방안 지원 컨설팅 공공,민간기업 등


③ 스마트시스템
당사는 스마트카드/RFID 기반의 사물인식 기술을 영상/센서/출입통제 등 물리보안과 통합하여 스마트시스템으로 새로운 융합보안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장(병원, 학교 등)의 출입통제, 전자출결, 식수관리, 근태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있습니다. 스마트시스템은 크게 통합단말기(PROM MFIT C1-1000) 및 스마트카드발급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통합단말기(PROM MFIT C1-1000)는 당사가 직접 개발한 다기능의 터미널으로서 RFID,지문,영상,발열체크 등의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서도 출입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카드발급시스템은 스마트카드를 사용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여러가지 다양한 정보와 보안설정을 기록하는 시스템으로, 각 시스템에 적합한 데이터 갱신, 소지자 개인정보 갱신, 시스템에서 목적으로 하는 보안을 확보하기 위한 보안시스템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자체적으로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솔루션에 대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도록 안정적이고 확장성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스마트시스템을 통해 출입통제, 전자출결, 식수관리, 근태관리서비스를 고객 요청에 맞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 스마트시스템 서비스 영역 및 내용]

구분

서비스 내용

출입통제시스템

- 인증된 사용자만 출입을 허가 하고 이와 관련한 기타 출입관리 기능을 할 수 있는 시스템.
- 발열체크 기능 : 인증과 온도를 동시 또는 개별로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 출입시스템 단말기에 사용할 경우 측정 온도에 따라 설정한 허용범위에 벗어날 경우 출입을 거부할 수 있는 기능제공

전자출결시스템

- 기존의 호명식 출결 처리 대신 지문, RFID, 블루투스 등을 장착한 ID카드(학생증)을 이용하여 신속한 출결 처리를 지원하고, 사진 촬영을 통한 부정 출석을 방지하며 다양한 부가 기능을 통해 보다 첨단화 되고 선진화된 출결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식수관리시스템

- 식당에서 사용중인 식권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식권 발행 및 배포에 따른 발생할 수 있는 인력, 시간, 오류 등에 의한 업무 손실을 최소화 하는 자동관리 시스템으로서 RFID 카드를 이용 급여시스템 등과 연동 운영되는 시스템

근태관리시스템

- 기존 출퇴근 기록기의 문제점(대리체크, 수작업 정산, 출근시간 정체, Error 등)을 보완하여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높인 시스템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단위 : 백만원)
매출유형 제품명 2022년 (제18기)
매출액 비율
용역 보안관제, 컨설팅, 스마트시스템(유지보수 등) 21,515 94.55%
상품 보안솔루션, 스마트시스템 712 3.13%
제품 보안솔루션 527 2.32%
합계 22,754 100.00%



(2) 시장점유율

정보보안시장은 그 적용분야가 다양하고 관련된 연관 산업이 많은 산업의 특성으로 인하여 시장의 규모를 정의하기도 곤란하고 그에 따른 시장점유율 산출 또한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및 경쟁현황

국내 조사에 의하면 당사가 주력으로 영위하는 보안관제 및 보안컨설팅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2022년 기준 보안관제 40개사, 보안컨설팅 147개사(중복 계수)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다수의 경제업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당사와 같이 보안관제 및 컨설팅 관련 전문업체로 지정된 기업수는 보고서 제출일 기준 보안관제 20개사, 보안컨설팅 28개사, 개인정보영향평가기관 14개사입니다.

전문업체는 정보보호 관련 법 및 규정에 의거하여 그 지정 요건을 충족하여야하며, 매년 심사를 통해 사후관리 및 적격업체 여부를 평가받고 있습니다. 전문업체의 지정은 관련 업무의 전문능력과 신뢰성을 갖춘 민간업체를 통한 정보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며 주요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 등 대부분의 업체가 전문업체의 서비스를 받으려고 하기 때문에 관련 사업을 영위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와 같이 보안관제 전문기업 및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개인정보영향평가기관 모두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4개사가 있으며 당사 및 SK쉴더스, 안랩, 이글루코퍼레이션이 있습니다.

[전문기업 지정 요건 및 현황]

구분

보안관제 전문기업

정보보호 전문서비스 기업

개인정보영향 평가기관

인력요건

기술인력 15명 이상

(고급 3명, 중급6명 이상)

기술인력 10명이상

(고급 또는특급인력 3명 이상)

전문인력 10명 이상

자본요건

자본총계 20억원 이상

자본총계 10억원 이상

업무수행의 대가로 받은

금액이 2억원 이상

업무수행능력요건

업무수행능력 심사에서

기준점수(70점)이상

업무수행능력 심사에서

기준점수(70점)이상

영향평가 수행능력심사

총점 75점 이상

설비요건

없음

① 신원확인 및 출입통제 를 위한 설비

② 업무 수행하거나 지원하기 위한 설비

③ 정보보호컨설팅 관련 기록 및 자료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설비

① 신원 확인 및 출입 통제를 위한 설비를 갖춘 사무실

② 기록 및 자료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설비

기타

없음

[규정 보유 요건]

정보보호전문서비스 관리 규정 보유 및 준수

[신뢰도 평가]

신용평가등급기준

유효기간

매년 재평가

매년 재평가

인증일로부터 3년

지정기업 현황 싸이버원,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시큐아이, SK쉴더스, 롯데정보통신, 씨엠티정보통신, KTDS, 삼성SDS, 가비아, LG CNS, 시큐어원, 안랩, 에이쓰리시큐리티, 윈스, 이글루코퍼레이션, 파이오링크, 한전KDN, 피디정보통신,신한DS, 엔아이티서비스 등 20개사 싸이버원, 한국통신인터넷기술, 시큐아이, 씨드젠, SK쉴더스, 롯데정보통신, 소만사, 엔시큐어, 시큐어원, 에스에스알, 파수, 씨에이에스, 안랩, 신한DS, 라온화이트햇, 에이쓰리시큐리티, 에프원시큐리티, 윈스, 이글루코퍼레이션, 케이씨에이, 파이오링크, 한국정보기술단, 한전KDN, 한시큐리티, 보안그룹모비딕, 시큐리티허브, 엘앤제이테크, 핀시큐리티 등 28개사

싸이버원, 씨드젠, SK쉴더스, 소만사, 씨에이에스, 안랩, 이글루코퍼레이션, 케이씨에이, 키삭, 한국IT컨설팅, 대진정보통신, 에이스솔루션, 한국전산감리원, 한국정보기술단  등 14개사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자체 개발한 통합보안관제플랫폼을 기반으로 보안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전에 분리되어 각각 운영 되었던 자동화, 사고대응, 위협 인텔리전스 관리 기술을 단일 플랫폼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사이버 침해위협 정보를 통합하고 표준화된 대응을 자동화하여 탐지 및 대응력을 개선하는 기술 즉,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를 집중적으로 개발하여 진보된 통합보안관제시스템을 구축 할 계획입니다. 이 밖에도,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따른 클라우드 수요 확대에 따라 IT인프라 구축 운영 경험과 보안전문기술, 클라우드 전문가로 준비된 원스톱 클라우드 서비스를 런칭하여 사업영역 확대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2022)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영업상황의 개요는 동 공시서류의 "Ⅲ.경영참고사항-나.회사의 현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현금흐름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제 18 기말          2022.12.31 현재

제 17 기말          2021.12.31 현재

(단위 : 원)

 

제 18 기말

제 17 기말

자산

   

 유동자산

23,118,493,320

22,863,656,575

  현금및현금성자산

18,025,734,478

2,794,344,494

  매출채권

2,215,559,019 2,410,135,768

  기타채권

106,796,439

8,087,849

  기타금융자산

2,164,535,750

17,142,356,770

  기타자산

593,259,834 502,380,844

  재고자산

12,607,800

6,350,850

 비유동자산

9,507,358,374

7,293,900,541

  기타채권

365,830,000

134,830,000

  기타금융자산

2,147,734,659

144,293,118

  유형자산

6,662,302,981

6,721,667,623

  무형자산

101,631,579

72,059,975

  이연법인세자산

229,859,155

221,049,825

 자산총계

32,625,851,694

30,157,557,116

부채



 유동부채

3,846,174,218

3,268,692,825

  매입채무

1,088,995,315

1,288,627,094

  기타채무

1,999,108,247

1,573,493,788

  기타금융부채

41,270,981

33,085,678

  기타부채

296,523,844

209,182,869

  당기법인세부채

397,619,134

137,343,104

  충당부채

22,656,697

26,960,292

 비유동부채

49,759,752

43,279,421

  기타금융부채

12,474,253

3,447,027

  기타부채

37,285,499

39,832,394

 부채총계

3,895,933,970

3,311,972,246

자본


 

 자본금

2,374,865,000

2,362,115,000

 자본잉여금

10,009,023,256

9,914,006,006

 기타자본

162,525,191

95,261,250

 이익잉여금

16,183,504,277

14,474,202,614

 자본총계

28,729,917,724

26,845,584,870

자본과부채총계

32,625,851,694

30,157,557,116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제 18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17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단위 : 원)

 

제 18(당) 기

제 17(전) 기

매출액

22,753,888,786

22,185,766,040

매출원가

(17,089,432,656)

(16,588,695,165)

매출총이익

5,664,456,130

5,597,070,875

판매비와관리비

(3,795,792,942)

(3,906,771,231)

영업이익

1,868,663,188

1,690,299,644

기타수익

220,842,177

225,341,437

기타비용

(61,427,475)

(10,724,285)

금융수익

664,558,380

360,546,314

금융원가

(49,420,972)

(26,837,31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2,643,215,298

2,238,625,800

법인세비용

(555,975,235)

(264,734,687)

당기순이익

2,087,240,063

1,973,891,113

기타포괄손익

- - 

당기총포괄손익

2,087,240,063

1,973,891,113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440

448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437

437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18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17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자본  합계

2021.01.01 (기초자본)

2,000,000,000 - (1,600,602,574) 12,500,311,501 12,899,708,927

당기순이익

- - - 1,973,891,113 1,973,891,113

유상증자

320,415,000 5,526,616,276

5,847,031,276

자기주식처분

- 4,066,288,590 1,734,359,000 - 5,800,647,590

주식선택권

41,700,000 321,101,140 (38,495,176) - 324,305,964

2021.12.31 (기말자본)

2,362,115,000 9,914,006,006 95,261,250 14,474,202,614 26,845,584,870

2022.01.01 (기초자본)

2,362,115,000 9,914,006,006 95,261,250 14,474,202,614 26,845,584,870

당기순이익

- - - 2,087,240,063 2,087,240,063

주식선택권

12,750,000 95,017,250 67,263,941 - 175,031,191

현금배당

- - - (377,938,400) (377,938,400)

2022.12.31 (기말자본)

2,374,865,000 10,009,023,256 162,525,191 16,183,504,277 28,729,917,724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18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17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단위 : 원)

 

제 18 기

제 17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466,715,878

2,597,655,329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3,331,715,328

3,669,381,222

 이자의 수취

463,450,981

269,216,404

 배당금의 수취

3,813,750

7,233,750

 이자의 지급

-

(258,411)

 법인세의 납부

(332,264,181)

(1,347,917,636)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2,211,652,243

(17,860,763,978)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6,849,978,521

15,649,504,649

  기타금융자산의 감소

16,765,478,521

15,617,504,649

  장기기타채권의 감소

84,500,000

32,000,000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4,638,326,278)

(33,510,268,627)

  기타금융자산의 증가

(3,722,134,588)

(32,429,029,639)

  유형자산의 취득

(532,838,500)

(994,548,988)

  무형자산의 취득

(67,853,190)

(3,690,000)

  장기기타채권의 증가

(315,500,000)

(83,000,000)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46,978,137)

12,957,464,416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65,373,500

13,018,729,416

  유상증자

-

5,847,031,276

  주식선택권의 행사

65,373,500

224,148,640

  자기주식의 처분

-

6,947,549,5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512,351,637)

(61,265,000)

  리스부채의 상환

(134,413,237)

(61,265,000)

  배당금의 지급

(377,938,400)  -

Ⅳ. 현금의 증가(감소)(Ⅰ+Ⅱ+Ⅲ)

15,231,389,984

(2,305,644,233)

Ⅴ. 기초의 현금

2,794,344,494

5,099,988,727

Ⅵ. 기말의 현금

18,025,734,478

2,794,344,494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 18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17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18 기
(처분예정일  2023년3월31일)
제 17 기
(처분확정일  2022년3월31일)
Ⅰ.미처분이익잉여금   16,116,244,437   14,444,736,614
    1.전기이월이익잉여금 14,029,004,374   12,470,845,501  
    2.당기순이익 2,087,240,063   1,973,891,113  
Ⅱ.이익잉여금처분액   417,976,240   415,732,240 
    1.이익준비금 37,997,840
37,793,840
    2.배당금(주당 현금배당액(배당률)
     보통주 : 당기 80원(16%),
                 전기 80원(16%)
379,978,400
377,938,400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5,698,268,197   14,029,004,374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제 18기 (안) 제 17기
주당 배당금 80원 80원
배당총액 379,978,400원 377,938,400원
시가배당율 0.9% 0.6%
※ 해당 사업연도의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사업보고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6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2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2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제1항의 전환사채에 있어서 이사회는 그 일부에 대하여만 전환권을 부여하는 조건으로도 이를 발행할 수 있다.

③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은 보통주식으로 하고, 그 발행가액은 액면금액 또는 그 이상의 가액으로 사채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④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당해 사채의 발행일 후 1개월(모집외의 방법으로 발행할 경우에는 1년)이 경과하는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그러나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전환청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⑤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16조(전환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좌동)

③ (좌동)

④ (좌동)

⑤ (좌동)

 

- 자금조달 여력확보를 위한 발행한도 증액

제17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2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2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신주인수를 청구할 수 있는 금액은 사채의 액면총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사회가 정한다. 

③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발행하는 주식의 종류는 보통주식으로 하고, 그 발행가액은 액면금액 또는 그 이상의 가액으로 사채발행시 이사회가 정한다. 

④ 신주인수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은 당해 사채발행일 후 1월(모집외의 방법으로 발행할 경우에는 1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그 상환기일의 직전일까지로 한다. 그러나 위 기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써 신주인수권의 행사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⑤ 신주인수권의 행사로 발행하는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대하여는 제1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제17조(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이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 (좌동)

③ (좌동)

④ (좌동)

⑤ (좌동)

 

- 자금조달 여력확보를 위한 발행한도 증액

<부칙 신설>

제1조 (시행일)

 본 정관은 주주총회에서 승인한 2023년 03월 31일부터 시행한다.

- 부칙 신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신용각 1962.10.07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신용각 (주)기가레인 감사
(주)비스토스 부사장
2011~2017
2017~2023
2020~ 현재
2022~ 현재
KB증권 IB본부장
비상교육 사외이사
기가레인 감사
비스토스 부사장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신용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비상근감사 후보자 신용각]
기업 경영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독립성, 전문성, 윤리성을 유지하며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여 주주들의 권익보호에 높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감사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확인서(신용각)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37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주)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에는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해당 안건은 2023년 3월 16일 이사회에서 결의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내용을 제1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받기 위한 것으로, 동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와 관련된 상세내용은 2023년 3월 16일 이사회 결의일 기준에 공시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관한 신고'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부여가능
주식수
잔여
주식수
4,752,230 발행주식수의 15% 기명식 보통주 712,834 529,134

주1) 상기 총발행주식수는 보고서 제출일 기준입니다.
주2) 현재까지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 총계는 183,700주 입니다. (부여 취소 수량 차감)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
종류
부여
주식수
행사
주식수
실효
주식수
잔여
주식수
2019년 2019.11.29 58 기명식 보통주 171,500 111,400 30,800 29,300
2022년 2022.03.16 17 기명식 보통주 33,500 - - 33,500
2023년 2023.03.16 5 기명식 보통주 9,500 - - 9,500
- 총(80)명 기명식 보통주 총(214,500)주 총(111,400)주 총(30,800)주 총(72,300)주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3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2023년 3월 23일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그 내용을 홈페이지(https://www.cyberone.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하여 개최하려 하였으나, 이번 정기주주총회에 필요한 세부적인 준비와 주주총회 개최장소, 등기이사의 일정 조율 등에 따라 부득이하게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인 2023년 3월 31일(금)에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향후 주주총회에는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집중일을 피하여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 당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시행령」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3월 21일 9시 ~ 2023년 3월 30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지막날은 17시까지 가능)
 다. 본인 인증방법 : 공동인증서,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 상정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관련 안내에 관한 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확산으로 인하여 마스크 착용을 요청합니다.
또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리오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당사는 질병 예방을 위하여 주주총회 참석시 보건용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손소독  제 비치 등 방역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은 감염병 예방  
을 위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1184

싸이버원 (35689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