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코 (3613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2-27 14:45: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227004493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02월     27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제노코
대 표 이 사 : 유 태 삼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군포시 농심로 72번길 1(당정동, 제노코빌딩)

(전   화) 031-428-6000

(홈페이지)http://www.genohc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 사 (성  명) 김 현 중

(전  화) 031-428-600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0기 정기주주총회)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하여 제20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4조에 의거하여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전자공시시스템)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03월 25일 (월)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군포시 농심로 72번길 1, 5층 제네시스 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
   가.   보고사항 : 

           - 제20기(2023.01.01~2023.12.31) 영업보고 및 감사보고

           - 제20기(2023.01.01~2023.12.3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보고

           - 제20기(2023.01.01~2023.12.3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감사
                                                             의 평가보고

    나.   부의안건 : 

 

           ■ 제 1호 의안 : 제20기(2023.01.01~2023.12.31) 결산 재무상태표,
                                  포괄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 제 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유동석 재선임(重任)의 건
          ■ 제 3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 제 4호 의안 : 2024년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 5호 의안 : 2024년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 6호 의안 : 현금 배당의 건 

           


4. 주주총회 소집통지 공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 등 관련법규에 따라, 주주총회 소집통지 공고사항 및 의결권대  
리행사에 관한 사항을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genohco.com)와 전자공    시시스템에 게재 하고, 본점 및 명의개서 대행회사(KB 국민은행 증권대행사업부)에 비치하고,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공시하였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관한 법률시행령 제160조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및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3월 15일 ~ 2024년 3월 24일
      (위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하며,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접속가능)

 다.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의 종류 : 증권거래전용 공인인증서,
       은행 공인인증서, 범용 공인인증서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총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주주 본인의 신분증 실물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 대리행사: 위임장(주주본인과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본인의 인감날인),
                 위임인(주주본인)의 인감증명서1부, 대리인의 신분증 실물


7.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지점과 국민은행증권 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 규 식
(출석률: 100 %)
이 원 철
(출석률: 50%)
찬 반 여 부
1 2023-02-17 제 1호 의안 : 제 19기 결산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 추천의 건
제 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 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 5호 의안 : 현금 배당 지급의 건
제 6호 의안 : 제19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제 7호 의안 : 정기예금 상품 운영의 건
제 8호 의안 : 임직원 정기 승진의 건
찬성 -
2 2023-06-13 제1호 의안 : KB국민은행 20억 한도대출 기한 연장 승인 요청의 건
제2호 의안 : 확정기여형 퇴직연금규약 제정의 건
찬성 찬성
3 2023-07-20 제1호 의안 : 기 부여 주식매수선택권 취소에 대한 승인 요청의 건
제2호 의안 : 핵심인원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찬성 찬성
4 2023-09-15 제1호 의안 : 임직원 추석선물 지급의 건
제2호 의안 : 사내 보안규정 개정의 건
찬성 찬성
5 2023-10-27 제1호 의안 : 신규사업 수주에 따른 운영자금 및 운전자본 확보를 위한 30억 차입 승인의 건 찬성 -
6 2023-12-15 제1호 의안 : 운영자금 및 운전자본 확보를 위한 10억 차입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원화정기예금 10억 예금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배당기준일 확정의 건
제4호 의안 : 10억 한도대출 기한연장 승인의 건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500,000,000 24,000,000 12,000,0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위성산업]

- 위성산업의 정의

위성산업은 발사체, 위성의 제작 및 운용, 관련 정보를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 공급과 관련된 모든 산업을 의미합니다. 인공위성 시스템은 위성을 이루고 있는 위성체, 위성을 임무 궤도까지 올려주는 발사체, 위성과 교신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안테나, 수신기, 지상 통신 장치 등의 지상장비로 구성됩니다. 위성산업은 위성체, 발사체, 지상장비 그리고 위성활용서비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위성산업의 특성

① 정부개입이 많은 올드 스페이스시대로부터 뉴 스페이스시대로의 전환

위성산업은 국가안보차원에서 중요 역할을 할 수 있는 핵심산업으로써, 생산 및 기술능력의 해외 종속을 피하기 위해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산업은 연구개발 및 사업화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분야로 정부의 장기 투자 등 정부 의존성이 큰 산업입니다. 위성제조산업은 1, 2, 3차 산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재적 성격의 기간산업으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습니다.

과거 위성사업은 정부 주도가 대부분이었지만, 2016년 이후에는 미국 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민간 기업이 추진하는 주요 활동은 민간 우주 여행, 소형 위성 발사 산업, 관측 위성을 통한 지상 데이터 판매 및 개발, 우주 자원 탐사활동 등입니다. 국내의 경우 2019년 1월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우주개발 추진체계를 정부ㆍ출연 중심에서 민간이 주관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국내외 시장 확대 및 우주분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는 ‘대한민국 우주산업전략’을 발표하였습니다.


② 기술집약적 시스템 종합산업

위성제조산업은 다양한 분야(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재료공학 등)의 첨단기술이 집약된 시스템 종합산업으로 ‘제조업의 꽃’으로 비유되기도 합니다. 시스템구현을 위한 부품의 수가 다양하고, 부품들의 공급원이 모든 산업에 걸쳐있는 대규모 시스템 산업으로 높은 기술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항공기 산업의 기술적 파급효과는 자동차 산업의 3배에 이른다는 조사결과가 있습니다.


③ 연구개발 집약형 산업

집중적인 연구개발비용과 최고급 연구인력이 투입되어 기술개발이 추진되는 최첨단 연구개발 집약형 산업입니다. 우주산업의 핵심요소기술은 극한 환경에서도 운영될 수 있도록, 동시대 최고수준의 기술 성능을 요구합니다. 산업특성상 인적자원의 암묵적 지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연구개발 인력의 확보뿐만 아니라 관리도 중요합니다.


- 위성산업의 연혁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초석은 1996년에 수립된 최초의 국가우주개발계획인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입니다. 기본계획에서는 국가 우주개발의 방향을 나타내고 국내 산학연관 우주개발기술 역량을 결집시키는 국가차원의 종합계획입니다. 

 

2005년에는 국가 우주개발 진흥을 위한 “우주개발진흥법”이 제정되었으며, 동 법에 근거한 “제1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이 2007년 수립되었습니다. 이후 2011년 “제2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였고, 2013년 국내외 여건변화에 의한 신 우주개발 방향 마련 필요성에 따라 2040년까지의 장기적인 국가 우주개발 비전을 담은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2018년 수립한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의 주요 주진전략은 ①우주발사체 기술자립, ②인공위성 활용서비스 및 개발 고도화, ③우주탐사 시작, ④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⑤우주혁신 생태계 조성, ⑥우주산업 육성과 우주일자리 창출의 6대 중점 전략 분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근에는 제4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이 수립되었으며 5대 장기 우주개발 미션 설정을 통해 2045년 우주경제 글로벌 강국실현을 목표화 하였습니다. 5대 우주개발 미션은 ①우주탐사확대, ②우주수송완성, ③우주산업창출, ④우주 안보 확립, ⑤우주 과학 확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2018년~2022년

2023년~2030년

2031년~2040년

위성개발 정지궤도 위성

(한반도 상시 모니터링)

천리안 위성 2A('18)- 기상

천리안 위성 2B('20)- 대기/해양

조기경보위성('24)

자료중계위성('27)

통신(방송)위성(미정)

천리안(관측)위성('28, '29)

통신(방송) 3기, 조기경보 2기(~'40)

천리안2호 후속 및 신규 위성(~'40)

다목적 실용위성

(초정밀 위성 영상)

6호('21) 레이더 영상

7호('21) 지상/적외선 영상(0.3m)

7A호('23) 지상ㆍ적외선 영상(0.3m)

8호('27) 레이더영상

9호('28) 지상/적외선영상(0.1m)

9A(광학/IR), 10(SAR), 11(광학/IR), 

11AㆍB(광학/IR), 12(SAR),
13(광학/IR)호(7기, ~'40)

차세대 중형위성

(국토/기상/삼림/수자원)

1호('20), 2호('20) 국토종합관리용

4호('22) 산림관측

5호('22) 기상관측

3호('23) 발사체 검증용

6호('25) 수자원

추가 19기(~'30)

추가 43기(~'40)

차세대 소형위성

(기술검증/과학임무)

1호('18) 기술검증

2호('22) 소형 SAR(레이더)

3호('24) 기술검증

4호('26) 소형SAR(레이더)

5호(미정) 기술검증

6호(미정) 레이저 관측

7호(미정) 영상분광기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방위산업]

- 방위산업의 정의

방위산업이라 함은 국가를 방위하는 필요한 무기, 장비품 기타 물자를 생산하는 산업을 의미합니다. 즉, 군이 필요로 하는 무기체계, 전력지원체계를 군이 원하는 시기와 장소에 배치시키는 제반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국가 방위를 위하여 군사적으로 소요되는 물자의 생산과 개발에 기여하는 산업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는'군수산업'으로 해석되었으나 전쟁개념이 방위 전 개념으로 발전하면서 방위산업이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법률에서는 '방산물자를 제조, 수리, 가공, 조립, 시험, 정비, 재생, 개량 또는 개조하거나 연구개발 하는 업' 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 방위산업의 특성

① 국가 안보와 직결된 전략산업

 

방위산업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전략산업이면서도 안보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중추적 산업으로, 국가 안보를 위한 국가 수요에 의한 공공재적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자국의 국력 및 국가 방위에도 연관이 깊은 관계로 정부로부터 인증 받은 업체만이 방위산업을 영위할 수 있는 규제 산업입니다. 또한 해외 기술 및 제품에 대한 종속이 심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 지원에 따른 국산화 제품 개발, 육성이 중요한 산업입니다.

 

대한민국은 건국 이래부터 현재까지 방위력개선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왔습니다. 이는 경기동향 및 정권 교체시기에 국방비 증감여부가 변화하는 미국 등 다른 국가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과거 국가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지출여력이 확대되기도 했고, ‘지정학적 특성’과 ‘북핵의 위협’라는 특수성 등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② 자본집약형 산업

 

방위산업은 생산을 위해서는 초기의 대규모 자본 투자 및 연구개발 비용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즉, 초기의 대규모 설비 투자를 통한 생산 시설을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에 높은 고정비를 부담해야 하며 수익성을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 효과가 중요합니다. 또한 제품의 양산단계 이전의 연구개발 단계에 투입되는 비용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대기업이 아닌 기업이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기 힘든 환경입니다.

 

③ 파급효과가 큰 산업

 

또한, 고부가 및 파급효과가 큰 산업입니다. 방위산업제품들은 자동화 시스템 도입이 불가능한 부분이 많아 수작업이 많은 산업으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한편, 방위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전쟁 시에 발생 가능한 어떠한 상황 속에서도 본래의 기능을 발휘 해야 하기 때문에 성능의 고도화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기술향상을 위한 개발이 항상 이루어지며 신기술의 경우 타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파급 효과가 있는 산업입니다.


- 방위산업의 연혁

[방위산업 연혁]

단계

내용

태동기

(1950년대~1960년대)

- 국방부 소속 국방부건설본부 설치(1960년)

- ‘자주국방력 확보’ 라는 목표 아래 국방과학연구소 설립(1968년)

- '자주국방'을 목표로 기본 무기류의 국산화 정책 추진(1969년)

수입대체기

(1970년대)

- 소화기, 탄약류 등 재래식 무기들을 국산화(1970년대말)

- 「국방 8개년 계획(1974년~1981년)」을 수립(1974년)

보호육성기

(1980년대)

- 독자개발보다는 미국으로부터의 무기구매 정책을 주로 추진(1980년)(국방 R&D 예산 축소 등 정책적 지원 크게 감소)

- 방산육성기금 신설(1980년)

- 최초 방산물자 수출(1982년)

- 전문화ㆍ계열화 제도 등 시행(1983년)

성장기

(1990년대)

- 국내 연구개발을 우선하는 정책 추진(국내 독자기술 활용)(1990년)

K-9 자주포, 잠수함(KSS-Ⅱ), 구축함(KDX-Ⅱ급), KT-1 및 T-50, 유도무기체계 등 대규모 방위산업육성 본격화하기 시작

도약기

(2000년대)

- 기업 간의 경쟁 촉진 및 수출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2000년)

- 방위사업청 출범 및 '방위사업법'의 제정(2006년)

- 전문화ㆍ계열화 제도 폐지(2008년)

수출산업화기

(2010년대)

- 방위산업육성정책 발표(미래기획위원회)(2010년)

- 방위산업육성 기본계획(2013년)

- 글로벌 방위산업 10위권 달성(2015년)


2010년 미래기획위원회가 발표한 방위산업육성정책(2010년)과 방위산업육성 기본계획(2013년) 등을 통해 현재까지 방위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국방부는 2020년 8월 10일,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총 300조 7,000억원(연평균 증가율 6.1%)의 국방비를 투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2021-2025 국방중기계획'을 발표한 바 있어 국내 방위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013년부터 2017년 사이 세계 무기 수출 시장의 1.2%를 점유하며 세계 12위의 방위산업 수출국으로 성장하는 등 새로운 도약의 시기를 맞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위성산업]

①  전세계 위성시장 규모 및 전망

2018년 세계 위성산업의 시장규모는 2009년 1.610억 달러 대비 1,164억달러 증가한 2,774억달러로 연평균 6.2% 성장하였습니다. 2018년 기준 우주산업 중 규모가 가장 큰 부분은 위성활용 서비스분야로 1,265억 달러의 규모이며, 다음으로는 지상장비 시장이 1,252억 달러입니다. 위성체 제작시장은 195억 달러, 발사체 제작시장은 62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전세계 위성 산업의 규모]
(단위: 십억달러)

전세계 위성 산업의 규모_1


(출처: 과학기술부, State of the Statellite Industry Report(2019))


위성산업 세부분야에 따라 위성서비스 및 지상 장비 분야가 전체 우주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35%로 위성서비스의 경우 전년 대비 22억 달러 감소한 반면 지상 장비의 경우 54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이 분야의 강세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나머지 위성체 제작 및 발사 산업 분야 역시 각각 40억 달러, 16억 달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위성서비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최근 6년 간 위성산업 중 위성활용 서비스 시장과 지상장비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왔으나, 위성체 제작 시장은 2016년 하락 후 2017년 다시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반면에 발사체 제작 시장은 62억 달러를 정점으로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세계 위성시장 규모]
(단위: 십억달러)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위성활용서비스

118.6

123

127.4

127.7

128.6

126.5

121.8

위성체 제작

15.7

16

16

13.9

15.5

19.5

13.5

발사체 제작

5.8

6.2

5.4

5.5

4.6

6.2

5.4

지상장비

91.2

101.8

106

113.4

119.8

125.2

130.0

합계

231.3

247

254.8

260.5

268.5

277.4

270.7

(출처: The Tauri Group, BRYCE)


지상장비 시장은 전 세계 우주산업에서 위성활용 서비스 시장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지상장비 시장은 크게 소비자 장비(소비자가 사용하는 위성TV, 라디오, 브로드밴드장비 등 포함), GNSS 장비 (단독 내비게이션 장비, 모바일에 지역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칩셋, 항공·철도·해양 등에 이용되는 교통정보시스템 등 포함), 네트워크장비 (게이트웨이(gateways), 네트워크운영센터(NOCs) 위성정보 수집장비(Satellite news gathering equipment)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등 포함)으로 구분됩니다. 지상장비 시장은 2018년을 기준으로 2013년 912억 달러 대비 34억 달러 증가한 1,252억 달러로 연평균 6.5% 성장하였습니다. 지상장비의 세부 시장을 보면, 네트워크 장비의 성장률이 연평균 9.4%로 가장 빠르고, 소비자 장비의 시장이 3.0%로 전체 시장 성장률 5.4%를 하회하고 있습니다.

 

[세계 지상장비 시장 규모]
(단위: 십억달러, %)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F

2020F

2021F

CAGR

Consumer Equipment

15.6

17.9

18.3

18.5

0

18.1

18.0

17.8

17.7

3.0%

GNSS Equipment

66.8

74.6

78.1

84.6

108.0

93.3

96.4

99.6

102.9

6.9%

Network Equipment

8.8

9.3

9.6

10.3

11.8

13.8

15.2

16.8

18.5

9.4%

합계

91.2

101.8

106.0

113.4

119.8

125.2

130.0

134.2

139.1

6.5%

(출처: The Tauri Group, BRYCE, State of the Statellite Industry Report(2019))


② 국내 위성시장 규모 및 전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통계에 따르면 국내 위성산업이 속하여 있는 전체 우주기기 및 우주활용 시장의 2018년 시장규모는 3조 9,324억원이며 2014년부터 2018년 간 연평균 성장률은 8.4%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우주기기 및 우주활용 시장 중 우주기기 제작분야로 분류되는 위성체 제작, 발사체 제작, 지상장비 등의 시장규모는 8,778억원으로 약 22.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중 동사의 핵심기술 적용 제품인 위성 탑재체가 포함되는 목표시장은 위성체 제작시장으로써, 전체 우주 시장 중에서도 성장세가 가장 뚜렷하며 동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26.7%에 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우주산업 분야별 시장규모]
(단위: 억원)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우주기기

제작

위성체 제작

1,485

2,780

3,354

3,949

3,824

발사체 제작

1,851

3,376

3,822

3,504

3,070

지상장비

지상체 및 시험시설

302

552

833

976

855

발사대 및 시험시설

1,225

1,392

1,402

894

817

우주보험

222

144

122

254

212

소계

5,085

8,243

9,533

9,577

8,778

우주활용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22,777

22,308

24,813

30,516

29,536

과학연구

546

600

608

629

609

우주탐사

104

80

250

730

401

소계

23,426

22,988

25,671

31,875

30,546

합계

28,511

31,231

35,204

41,452

39,324

(출처: 우주산업실태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년))


[방산산업]

①  전세계 방위산업의 규모 및 전망

세계 군사비 지출은 2019년에 1조 9,170억달러에 도달한 것으로 추산되었습니다. 이는 냉전 종식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자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2.2%에 해당하며 1인당 평균 지출액으로 환산하면 251달러에 해당합니다. 세계 총 군사비 지출은 2018년 대비 비용 기준으로 5.2% 정도 상승하였고 2016년부터 2019년까지 CAGR 성장율은 4.4% 수준으로 지속 증가하였습니다. 전 세계 국방비 지출은 1999년부터 2011년까지 13년 연속 증가하고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소폭 감소하다가 최근 3년간 연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북미의 국방비 지출은 2011년부터 6년 연속으로 하락하다가 2017년에 상승세로 전환되었으며, 2019년에 전년도 대비 12.5% 상승하였습니다. 아시아ㆍ오세아니아는 지난 30년간 연평균 4.4%로 꾸준히 국방비 지출이 증가되는 추세이며, 2019년은 2018년 대비 3.2% 증가하였습니다. 2019년 IHS Jane's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국방예산은 2018년 1조 7,420억 달러 수준에서 2023년 2조 2,140억 달러로 약 2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군사비지출 추이]
(단위: 십억달러)

구분

2016연도

2017연도

2018연도

2019연도

아프리카

      37.9 

      42.6 

      40.6 

       41.2 

    북아프리카

      18.7 

      21.1 

      22.2 

       23.5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9.2 

      21.6 

      18.4 

       17.7 

미주

    693.0 

    695.0 

    735.0 

     815.0 

    중미 및 카리브해

       7.8 

       7.6 

       8.6 

        8.7 

    북미

    626.0 

    630.0 

    670.0 

     754.0 

    남미

      58.8 

      57.0 

      55.6 

       52.8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450.0 

    477.0 

    507.0 

     523.0 

    중앙아시아 및 남아시아

      73.3 

      82.7 

      85.9 

       90.3 

    동아시아

    308.0 

    323.0 

    350.0 

     363.0 

    오세아니아

      26.6 

      29.9 

      29.1 

       29.0 

    동남아시아

      41.9 

      41.1 

      41.9 

       40.5 

유럽

    334.0 

    342.0 

    364.0 

     356.0 

    중앙유럽

      21.0 

      24.1 

      28.3 

       31.5 

    동유럽

      75.4 

      72.9 

      69.5 

       74.0 

    서유럽

    237.0 

    245.0 

    266.0 

     251.0 

전세계

  1,686.0 

  1,739.0 

  1,822.0 

   1,917.0 

(출처: 출처: SIPRI 2017~2020 Yearbook)


국방비는 안보를 위해 국방정책과 연계된 사업을 집행할 때 지출하는 비용입니다. 다양한 안보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국방태세 확립에 적정한 국방비를 확보해야 합니다. 국방비의 적정규모는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강한 군대를 육성하고 운영 및 유지하는 데 수반됩니다. 한국정부도 국방태세 비용가 국가의 재정 부담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5년간 국내총생산(GDP)과 정부 재정에서 국방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일정합니다. 한국 정부의 GDP 대비 국방비 비중은 2.3%로 영국(1.98%), 프랑스(1.89%), 중국(1.26%) 대비 높고 파키스탄(3.21%), 이란(3.75%), 이스라엘(5.33%), 미국(3.11%) 대비 낮습니다. 


[주요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 규모]

주요국 국내총생산 대비 국방비 규모_1


(출처: The Military Balance 2018, 국제전략문제연구소, 2018년 2월)


②  국내 방위산업의 규모 및 전망

한국 방위사업체들은 타 산업 대비 비교적 국가 및 정부로부터 보호받는 사업환경을 통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방위산업체는 미국 혹은 유럽 등에 위치한 선진 기업 대비 수주환경이 안정적입니다. 대한민국은 지정학적 특성상, 정부수립 이래 일관성 있게 국방비를 증가시키고 있는 국가입니다

 

국방예산은 크게 방위력개선비와 전력운영비로 구분됩니다. 방위력개선비는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화력, 함정, 항공기 등의 전력화 예산이며, 전력운영비는 주로 인건비, 급식, 피복, 정보화, 군수지원 및 교육 훈련 등에 소요되는 예산입니다. 방산업체의 매출액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국방예산은 방위력개선비 및 전력운영비 내의 정비예산입니다.

 

방위력개선분야는 "전방위 안보위협에 주도적 대응이 가능한 첨단 과학기술 기반의 전력 증강"을 위해 감시ㆍ정찰분야에서 영상ㆍ신호정보 수집능력을 획기적으로 확충하고 한국형 미사일방어분야에서 한반도 전역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복합다층방어가 가능하도록 탐지ㆍ지휘통제ㆍ요격에 이르기까지 탄도탄 대응전력 전단계를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2019년 46조 6,971억원 대비 2020년 국방예산이 7.4% 증가한 50조 1,527억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전방위 안보위협 대비 첨단전력 확보 및 국내 방위산업 육성ㆍ지원을 도모하기 위한 방위력개선비는 16조 6,804억원으로 늘어났으며, 첨단전력 가동 보장ㆍ숙련도 확보, 실전 중심 교육훈련 강화 및 병 봉급 인상 등 장병복지 개선을 위한 전력운영비는 33조 4,723억원까지 증가하였습니다.


[연도별 국방예산 추이] [연도별 방위력개선비 예산 추이]
(단위: 조원, %) (단위: 조원, %)

연도별 국방예산 추이_1


연도별 방위력개선비 예산 추이


(출처: 한국방위산업진흥회(2020.08))


정부는 국방개혁 2.0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미래를 대비하고, "평화를 지키고 평화를 만드는" 혁신 강군으로 거듭나기 위해 향후 5년간 총 300.7조원(연평균증가율 6.1%)을 배분했습니다. 이는 지난 10년간 국방예산 연평균증가율인 5.4%를 상회합니다.


[2021~2025 국방중기계획]
(단위: 조원, %)

구분

2020년

대상기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중기계획

국방비

50.2

53.2 

      56.5 

      59.8 

       63.6 

67.6

300.7

(증가율)

7.5%

6.0%

6.2%

5.8%

6.4%

6.3%

6.1%

방위력개선비

16.7

17.1 

      18.2 

      19.7 

       21.6 

23.6

100.1

(증가율)

8.4%

2.4%

6.4%

8.2%

9.6%

9.3%

7.2%

전력운영비

33.5

36.1 

      38.3 

      40.1 

       42.0 

44

200.6

(증가율)

7.0%

7.8%

6.1%

4.7%

4.7%

4.8%

5.6%

(출처: 국방부, 기획재정부)


'21~'25 국방중기계획에 따르면 첨단 전력 증강을 통한 강군 건설을 위해 방위력개선비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여 100.1조 원(33.3%)을 투입하고, 부대구조와 전력구조의 변화에도 안정적인 국방운영이 될 수 있도록 전력운영비에는 200.6조 원(66.7%)을 투자할 예정입니다.

[무기체계별 예산 추이]
(단위: 억원, %)
구분

지휘정찰

기동화력

함정

항공

유도무기

정책지원

기타

전체

2018년

13,125 

23,790 

21,728 

34,497 

25,562 

15,340 

1,161 

   135,203 

9.7%

17.6%

16.1%

25.5%

18.9%

11.3%

0.9%

100.0%

2019년

12,924 

21,754 

22,589 

52,178 

26,996 

16,054 

1,238 

   153,733 

8.4%

14.2%

14.7%

33.9%

17.6%

10.4%

0.8%

100.0%

2020년

18,763 

23,254 

28,326 

55,880 

20,370 

18,559 

1,652 

   166,804 

11.2%

13.9%

17.0%

33.5%

12.2%

11.1%

1.0%

100.0%

CAGR

19.6%

-1.1%

14.2%

27.3%

-10.7%

10.0%

19.3%

11.1%

(출처: 국방부, 한화투자증권)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현재 당사가 주력으로 생산하는 FPCA는 스마트폰 생산에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당사의 매출은 전방산업인 스마트기기 시장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판매 전략은 고가의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신흥국 고객을 위한 중저가형의 A시리즈의 생산계획을 함께 확대하는 투트랙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는 삼성전자의 갤럭시A 시리즈 제품에 들어가는 모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당사가 생산하고 있는 모델의 수요 또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계절적인 물량변동이 뚜렷하지는 않으나, 가을시즌에 신규모델 출시가 많아, 5월~7월에 매출이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당사의 매출은 출시시기를 다소 선행하여 양산이 시작되기 때문에 주로 출시일 이전에 매출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4) 규제환경

[위성산업]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초석은 1996년에 수립된 최초의 국가우주개발계획인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입니다. 기본계획에서는 국가 우주개발의 방향을 나타내고 국내 산학연관 우주개발기술 역량을 결집시키는 국가차원의 종합계획입니다. 

 

2005년에는 국가 우주개발 진흥을 위한 "우주개발진흥법"이 제정되었으며, 동 법에 근거한 "제1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이 2007년 수립되었습니다. 이후 2011년 "제2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였고, 2013년 국내외 여건변화에 의한 신 우주개발 방향 마련 필요성에 따라 2040년까지의 장기적인 국가 우주개발 비전을 담은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2018년 수립한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의 주요 주진전략은 ①우주발사체 기술자립, ②인공위성 활용서비스 및 개발 고도화, ③우주탐사 시작, ④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⑤우주혁신 생태계 조성, ⑥우주산업 육성과 우주일자리 창출의 6대 중점 전략 분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방위산업]

[국내 방위산업 정책의 발전과정 및 주요 내용]

단계

정책 중점

내용

태동기

(1950년대~1960년대)

- 미국 의존형 국방 정책

- 육군 병기공장 창설(1948)

- 과학기술연구소 설립(1950) 등

수입대체기

(1970년대)

- 본격적인 방위산업 육성시작

- 자주국방을 목표로 기본무기류 국산화정책 적극 추진

- 방위산업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1973)·방위세 신설(1975)

- 방산물자·업체 지정제도 시행(1973)

- 방산물자 원가계산 기준규정 제정(1978)

- 국방과학연구소 신설(1968)

- 율곡사업 시작(1974)

보호육성기

(1980년대)

- 해외무기 및 기술 도입정책으로 선회

- 미국 지원하 기술도입 및 공동생산 적극 추진

- 한·미 방산기술협력양해각서 체결(1988)

- 전문화·계열화 제도 시행(1983)

- 절충교역 제도 도입 (1982)

성장기

(1990년대)

- 무기시장 다변화 및 일부 무기·부품의 독자개발 추진

- 유도정밀무기 등 첨단기술 R&D에 중점

- 절충교역을 통한 선진기술 도입 적극 추진

-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 시행(1998)

도약기

(2000년대)

- 방위사업청 개청 및 방위사업법 제정(2006)

- 방산수출 정책 추진

- 방위사업청 개청(2006)

- 방위사업법 제정(2006)

- 전문화·계열화 제도 폐지(2008)

- 방산수주 10억 달러 달성(2008)

수출산업화기

(2010년대)

- 방위산업의 신경제동력화 정책 추진

- 국방산업 G7 미래전략 추진(2010)

- 미래기획위원회 국방산업 T/F가동(2010)

- 방위사업법 개정(2010~)

- 2020년까지 방산수출 40억 달러 및 고용창출 5만명 정책목표 추진 중(2010~)

(출처: KIET)


나. 회사의 현황


1. 사업의 개요

가. 개요

당 사는 위성통신부품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군 전술정보통신체계(TICN)사업의 핵심부품인 비접촉식광전케이블을 주력으로 제조하고 있고, 국가우주개발사업에 참여하여 X-Band Transmitter(주파수 X대역(8.025~8.4GHz) 송신기) 등의 위성탑재체분야 국산화 개발과 위성탑제체를 구성하고 있는 전자장비, 군위성통신체계-II(ANASIS-II)위성의 자세 및 중계기를 관리하는 위성운용국, 소형무장헬기(LAH)사업 및 대한민국 차세대 전투기(KF-X)사업 등의 항공전자장비를 중점으로 제조ㆍ공급해오고 있습니다. 

 

당 사의 핵심기술력은 위성탑재체 초고속 전송, 변조 및 처리기술, 항공전자장비의 3D 모델링 기반의 기구설계 및 해석기술, 위성운용 및 지상데이터 통신기술 등입니다. 특히 이러한 강점을 기반으로 개발된 당사의 주요 제품들을 글로벌 독과점 기업인 L3 Harris Technologies, GE Aviation 등의 제품을 대체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우주ㆍ항공 분야 경쟁력을 제고하고 자국국방 실력 양성 및 부품국산화에 기여하는 국가안보 차원의 공공가치 증대에도 많은 기여를 해오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위성통신 사업에서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혁신사업으로의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무인기 사업, 2020년부터 친환경 관련 통신사업을 지속적으로 개척하고습니다. 제노코는 우주ㆍ항공 산업분야에서 기술혁신에 끊임없이 도전하여, 우주ㆍ항공 산업의 국산화를 위하여 지속적인 사업 포트폴리오의 다변화 및 경쟁력 제고를 통해 궁극적으로 글로벌 Top-tier 위성통신부품 회사 및 무인기 선도기업으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구분

제품

기능 및 특징

위성탑재체/본체/발사체 X-Band Transmitter
(320Mbps)

- 위성체에 탑재되어 고해상도/대용량 데이터를 8GHz 대역의 반송파에 변조하여, 증폭 및 전송

- 전송속도 320Mbps급 FM(Flight Model) 제품, 우주부 성능 및 환경시험을 모두 완료

X-Band Transmitter
(720Mbps)

- 전송속도 720Mbps급 EQM(Engineering Qualificaiton Model) 제품

위성운용국

ANASIS-I/II
위성운용국 등

- ANASIS-I 부운용국 SHF대역 및 Ka대역 안테나/RF시스템 설계, 구축 및 시험(대구(부운용국))

- ANASIS-I의 위성운용국 2개소와 위성지상국 16개소를 설계 및 구축하여 정부(방위사업청 및 체계업체 등)에 납품

- ANASIS- II망운용 및 망관리, 위성체 관리 및 제어, EMP 방호 기능 구현

항공전자 FA-50/T-50 CIB(DA) - FA-50/T-50에 장착되는 항공전자시스템 내 전자장비간 통신주파수가 중복되어 통신오류 및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
-  1PPS의 신호를 항공기 내 장비(IFF, RALT, EW, FCR, TACAN, EGI)의 신호로 입력 및 분배하는 기능

KF-21 보라매 IBU
(개발중)

- KF-X에 장착되는 항공전자시스템 내 전자장비에 1PPS 신호를 입력/분배 기능

- 항공전자시스템 내 상황에 따라 Blanking 출력신호, Receiver look-through 출력신호 등을 제공

- 과전류 또는 오동작을 방지하여 송/수신기를 보호 

소형무장헬기 ICS

- 조종사 및 탑승자간 내부통화 또는 조종사 및 탑승자와 지상통제센터와의 외부통화기능 제공

- 헬기의 상태에 따라, 모드 조정 및 볼륨 조절 기능, 음성경고 기능을 포함

- 항공전자시스템의 타 항전장비들과 연동

EGSE/
점검장비 

차세대중형위성
XTX EGSE

- X-Band Transmitter의 기능 및 성능을 측정하는 EGSE 개발

- X-Band Transmitter EGSE는 랙타입의 형태의 점검장비 개발

육군/해군/공군
정비장비 개발

- 군 무기체계 점검장비 개발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점검장비개발에 독자기술로 설계 및 개발

- 시험이 완료되면 시험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시스템으로서, 검사시간을 단축되고, 사용자의 효율이 증가되는 자동화 기능이 적용

방위산업
핵심부품

TICN체계 광/광전복합
케이블

- 기저대역장비 또는 주장비와 원격무선유닛간 광 테이터(광신호) 전송

- AC 220V Feeding

KF-X 광케이블
(개발중)

- 전투기 내 장비와 장비간 테이터(광신호) 전송


나. 회사 성장과정

당사는 군통신위성 발사로 인한 정부기관의 위성통신망 구축 사업이 활발한 시장 여건을 인식하고 군 전용위성에 적합한 제품을 주요전략으로 제안하며 설립기를 시작하였습니다. 위성통신 이후 시장규모가 축소되어, EGSE/점검장비 및 항공전자분야의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위성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정책 수립(미래창조과학부 등) 및 시장 형성이 상황을 인식하고 축적된 항공전자분야 사업의 경험을 토대로 위성탑재체 분야사업으로 확장하였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제품 현황

[제품별 기능 및 특징]

구분

제품

기능 및 특징

위성탑재체 X-Band Transmitter
(320Mbps)

- 위성체에 탑재되어 고해상도/대용량 데이터를 8GHz 대역의 반송파에 변조하여, 증폭 및 전송

- 전송속도 320Mbps급 FM(Flight Model) 제품, 우주부 성능 및 환경시험을 모두 완료

X-Band Transmitter
(720Mbps)

- 전송속도 720Mbps급 EQM(Engineering Qualificaiton Model) 제품

위성운용국

ANASIS-I/II
위성운용국 등

- ANASIS-I 부운용국 SHF대역 및 Ka대역 안테나/RF시스템 설계, 구축 및 시험(대구(부운용국))

- ANASIS-I의 위성운용국 2개소와 위성지상국 16개소를 설계 및 구축하여 정부(방위사업청 및 체계업체 등)에 납품

- ANASIS- II망운용 및 망관리, 위성체 관리 및 제어, EMP 방호 기능 구현

항공전자

KF-X IBU
(개발중)

- KF-X에 장착되는 항공전자시스템 내 전자장비에 1PPS 신호를 입력/분배 기능

- 항공전자시스템 내 상황에 따라 Blanking 출력신호, Receiver look-through 출력신호 등을 제공

- 과전류 또는 오동작을 방지하여 송/수신기를 보호

- 국내 유일한 국산화 제작업체인

소형무장헬기 ICS

- 조종사 및 탑승자간 내부통화 또는 조종사 및 탑승자와 지상통제센터와의 외부통화기능 제공

- 헬기의 상태에 따라, 모드 조정 및 볼륨 조절 기능, 음성경고 기능을 포함

- 항공전자시스템의 타 항전장비들과 연동

EGSE/점검장비 

차세대중형위성
XTX EGSE

- X-Band Transmitter의 기능 및 성능을 측정하는 EGSE 개발

- X-Band Transmitter EGSE는 랙타입의 형태의 점검장비 개발

육군/해군/공군
정비장비 개발

- 군 무기체계 점검장비 개발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점검장비개발에 독자기술로 설계 및 개발

- 시험이 완료되면 시험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시스템으로서, 검사시간을 단축되고, 사용자의 효율이 증가되는 자동화 기능이 적용

TICN 광/광전복합케이블 

TICN체계 광/광전복합
케이블

- 기저대역장비 또는 주장비와 원격무선유닛간 광 테이터(광신호) 전송

- AC 220V Feeding

KF-X 광케이블
(개발중)

- 전투기 내 장비와 장비간 테이터(광신호) 전송


나. 주요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

(단위 : 천원)
품목 2019년(제16기) 2020년(제17기) 2021년(제18기) 2022년(제19기) 2023년(제19기)

항공전자CIB

12,480

12,409 12,409 12,409 12,409
TICN점검장비

601,219

650,745 650,745 650,745 650,745
TICN광케이블

2,031

1,922 1,922 1,922 1,922
TICN 광전복합케이블

1,247

1,200 1,200 1,200 1,200
주1) 제노코는 모든 양산 제품에 대한 가격 적절성을 방위사업청과 체계업체를 통하여 방산원가에 대한 이윤을 보장 받고 있습니다. 상기 표에는 사업/품목별 체계업체 및 방위사업청으로 검증된 품목당 판매 단가를 기재하였습니다.

주2) TICN 광케이블, 광전복합케이블은 여러 납품품목 중 대표적인 1종에 대한 단가를 기재하였습니다.

(TICN 광케이블 : 50214920 / TICN 광전복합케이블 : 50218487)

주3) 정비장비, 위성단말, 위성탑재체 등 당사의 대부분 사업분야는 제품이 규격화되어 양산하지 않고 프로젝트 별로 고객사에 견적을 제시하고 해당 견적에 맞추어 제품을 제작/납품하고 있어, 제품별 가격변동 추이가 산정 가능한 제품을 대상으로 단가를 기재하였습니다.
주4) 수출 품목은 없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원재료 및 생산 설비

(1) 원재료 매입현황

(단위 : 천원)

매입
유형

품목

구분 2020년
(제17기)
2020년
(제17기)
2021년
(제18기)
2022년
(제19기)
2023년
(제20기)

원재료

전자부품

국내

3,031,370 3,031,370 6,619,449 6,645,703 6,368,044

수입

198,418 198,418 433,788 835,183 612,914

소계

3,229,789 3,229,789 7,053,238 7,480,886 6,980,958
계측장비

국내

4,796,266 4,796,266 9,578,340 4,219,700 2,733,992

수입

1,874,827 1,874,827 864,786 174,390 2,322,201

소계

6,671,093 6,671,093 10,443,126 4,394,090 5,056,193
케이블조립체

국내

5,877,131 5,877,131 9,922,578 10,129,913 10,383,410

수입

54,480 54,480 18,728 33,112 61,968

소계

5,931,611 5,931,611 9,941,306 10,163,026 10,445,378
기구물

국내

2,003,953 2,003,953 3,124,661 3,580,975 4,777,986

수입

- - - - 1,807,340

소계

2,003,953 2,003,953 3,124,661 3,580,975 6,585,326
기타품목

국내

788,153 788,153 1,042,749 619,431 1,674,610

수입

1,163,090 1,163,090 4,506 - 668,342

소계

1,951,243 1,951,243 1,047,255 619,431 2,342,952
원재료 합계

국내

16,496,874 16,496,874 30,287,777 25,195,723 25,938,042

수입

3,290,815 3,290,815 1,321,809 1,042,685 5,472,765

소계

19,787,689 19,787,689 31,609,585 26,238,407 31,410,807
외주
가공비

전자부품조립

소계

370,264 370,264 384,549 627,369 372,081

회로기판 코팅

소계

10,776 10,776 5,537 55 1,252
수리 외주가공 소계 - - 821,614 1,266,054 656,025

기타 외주가공

소계

- - 947,022 3,117,080 44,558
외주
용역비

케이블제작외주용역

소계

46,040 46,040 930,326 717,536 809,322

현장설치외주용역

소계

1,101,096 1,101,096 63,900 121,467 3,669,822

기타 외주용역

소계

880,568 880,568 269,734 251,315 3,650,480
총 합 계

국내

16,440,472 22,415,765 33,710,460 31,296,598 35,141,583

수입

5,428,782 3,290,815 1,321,809 1,042,685 5,472,765

합계

21,869,254 25,706,580 35,032,268 32,339,283 40,614,348

주1) 외주가공비 및 외주용역비의 수입 금액이 미미하여, 국내금액에 포함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주2) 2017년은 외주가공비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모두 외주용역비 계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해당되는 공정(전자부품조립, 코팅 등)은 외주용역비의 기타 외주용역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3) 2021년 1분기 부터 납품 장비 수리 등에 대한 비용은 외주가공 계정으로 처리되었습니다. 


나.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현황

제노코가 보유하고 있는 양산 설비는 2006년도부터 도입되어, 2007년부터 군 위성통신의 본격적인 양산이 이루어졌으며 사업 확장에 따른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생산라인이 증설되었습니다. 그 결과, 위성탑재체, 위성지상국, EGSE/점검장비, 항공전자 이외에도 기타 전자장비, 케이블 생산 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최근 3년간 변동사항

단위 : 천원

설비자산명

취득(처분)가액

취득(처분)일

취득(처분)사유

용 도

취득(처분)처

위성 라인 설비

124,500

2018. 04 21

설비 증설

위성탑재체

ASSCON 外

케이블 라인 설비

55,283

2017. 08. 16

설비 증설

제작,시험

Cablescan 外

주) 위성탑재체 분야 사업 확장으로 설비 증설과 제품 생선성 향상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환경시험 설비, 케이블 자동시험 계측설비를 구축 하였습니다.

<위성라인 설비투자 현황>

설비명

수량

단가(₩/천원)

합계(₩/천원)

Reflow Machine(VP800)

1

68,000

68,000

AUTO BGA Rework Station(TR3000-IRV)

1

42,000

42,000

현미경 SZ30

2

800

1,600

고주파인두기 MFR-PS1100

4

500

2,000

국소배기장치(NSS-1 비표준 2인용-납땜용)

1

900

900

Solder Paste Inspection Parmi SPI50T

1

7,000

7,000

Solder 교반기 SH-100

1

3,000

3,000

합  계

124,500


<케이블라인 설비투자 현황>

설비명

수량

단가(₩/천원)

합계(₩/천원)

케이블스캐너(SERIES 90 H8)

1

22,325

22,325

단면검사기(PFM-PKG-GE)

1

2,325

2,325

렌즈모듈 세척장비(FCL-1000)

1

3,500

3,500

인장시험기

1

2,850

2,850

자동절단기

1

2,850

2,850

연마JIG 2종

1

3,800

3,800

Cleanblast 외 2종

1

17,633

17,633

합  계

55,283


다.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단위 : 백만원)

품목

2019년(제16기) 2020년(제17기) 2021년(제18기) 2022년(제19기) 2023년 (제20기)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생산능력

161,325

35,679

159,750 42,368 191,221 95,863 233,933 66,130

230,513

69,721

생산실적

147,781

32,684

128,196 34,000 150,262 75,330 178,995 50,600

185,146

56,000

가동율

91.60%

80.25%

78.58%

76.52%

80.32%

주1) 당사의 생산은 군 사업과 관련해 주문에 의한 사업기간 내 다품종 소량의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생산설비, 인력, 제조설계 등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구체적인 생산 능력 산출이 불가능합니다.

주2) 생산능력은 사내 직/갑접 인력에 대한 가동 시간을 표시 하였습니다.

주3) 생산실적은 사내 직/간접 인력의 실 가동 시간을 표시 하였습니다.

주4) 생산설비의 현황(생산라인, 설비, 인력, 생산방식 등)을 고려하여 해당년도 매출액을 생산실적으로 기재하였습니다.


라. 생산능력 산출 근거

(1) 생산능력 산출 기준

 

1) 평균 사내 직,간접인력 가동 가능시간을 기준으로 생산능력을 계산하였습니다.

2) 사내 직,간접 인력 일일 가동시간은 10시간으로 계산하였습니다.

3) 실적 및 능력은 완제품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2) 연간 생산능력 산출 방법

 

(단위: 시간, 일)
품목 1일 평균 가동시간 월평균 가동일수 연간 가동일수
생산능력 10시간 22.5일 270일

주1) 일 평균 근무시간 10시간 기준

주2) 월 근무일수 22.5일 기준

주3) 년 근무일수 22.5일 * 12개월(270일)

주4) 년 생산능력 = 년근무일수 * 일평균시간 * 직,간접 인력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당사는 위성탑재체 분야, 위성(단말)지상국, 항공전자, EGSE/점검장비, 핵심부품개발 사업 등 총 5개 사업분야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은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기확보 사업등을 통해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당해년도 발생하는 신규 사업등을 통해 추가적인 매출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해당 내용으로 매출인식을 하고 있으며 향후 해외시장 판로 개척으로 수출을 통한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매출유형 품목 구분

2019년
(제16기)

2020년
(제17기)
2021년
(제18기)
2022년
(제19기)
2023년
(제20기)
제품 위성통신 내수 13,825 4,241 6,212 17,329 18,870
합계 13,825 4,241 6,212 17,329 18,870
항공전자 내수     1,345 2,002 5,199 3,234 4,306
합계     1,345 2,002 5,199 3,234 4,306
EGSE/
점검장비
내수     9,878 13,323 16,889 9,422 6,571
합계     9,878 13,323 16,889 9,422 6,571
핵심부품 내수 7,880 14,523 17,339 20,719 25365
합계 7,880 14,523 17,339 20,719 25,365
합계 내수   32,927 34,089 45,639 50,705 55112
합계   32,927 34,089 45,639 50,705 55,112



나. 판매경로

(1) 판매조직


구분

업무

사업본부장

-. 최종 영업 결정권자

사업부본부장 -. 총 거래처 관리 업무
사업1팀

-. 주거래처(국내): 한화시스템, 한국항공우주산업, LIGNex1, 휴니드테크놀러지스, STX엔진, KAI,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外

-. 국내외 거래선 관리 업무, 납품 및 마감 업무

사업2팀

-. 주 거래처(국내) :  방위사업청, 국기연, KT SAT, AIRBUS D&S, 대한항공,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ETRI, KARI, 국군지휘통신사령부, SK C&C 外

-. 국내외 거래선 관리 업무, 납품 및 마감 업무

사업3팀 -, 잠재거래처(해외) : AIRBUS D&S, Raytheon, Northrop Grumman, Lockheed Martin 등
-, 해외시장 조사, 절충교역, 해외 거래선 확보


(2) 판매경로

당사는 대부분 정부주도 사업인 방위사업/우주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방위 분야에서는 한화시스템의 협력사로 등록되어 있고 그밖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디펜스, ㈜한화,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우주항공산업(주), (주)휴니드테크놀러지스등과도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주개발 분야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 한국우주항공산업(주)와 협력하고 있으며, 특히 동 분야에서 당사는 Heritage 업체로서 독과점과 유사한 형태로 사업을 영위 중입니다. 한편 위성사업 등을 통하여 확보한 다수의 해외업체와의 단독 채널을 구축하여 상호간의 업무협조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사의 독자적인 기술 구현과 해외 협력을 통한 수출증대를 목적으로 AIRBUS D&S, Raytheon, Lockheed Martin, Northrop Grumman, Thales Alenia Space, Leonardo 사와 파트너쉽을 유지하여 당사의 수출 관련 중장기 계획 및 신규사업 등을 논의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 판매전략


분야

내용

위성탑재체/본체/발사체 획득한 Space Heritage를 기반으로 국내의 경우 정부의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근거에 따라 발사되는 위성에 대한 목적, 개발사양 등을 숙지하고 설계함은 물론 탑재체에 필요한 정확한 공정승인, 우수한 성능구현을  통한 신뢰성 기반의 판매, 해당 경험을 기반으로 한 해외 영업 시장에 대한 전략 수립    
항공전자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신규기술 획득으로 항공전자 분야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최소화하고 품질수준을 높이는 우수한 기술제공을 기반으로 판매
EGSE/점검장비 기존의 신뢰도,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전문성 향상을 기반으로 한 판매
위성지상국 오랜기간 사업참여로 축적된 기술노하우를 바탕으로 한 판매
방위산업핵심부품 품질수준을 높이는 우수한 기술제공을 기반으로 판매


라. 수주현황

(단위 : 천원)

발주처

품 목

수주일자

납 기

수주총액

수주잔고

수 량

금 액

수 량

금 액

KARI 외 위성통신

2016년

~27년

        45,350,884 

-

19,004,692

KAI 외

항공전자 등

2017년

~30년

-

        29,580,105 

-

7,942,409

HSC 외

EGSE/점검장비

2018년

~27년

-

        25,391,549 

-

12,392,769

HSC 외

핵심부품 등

2019년

~30년

 -

        63,699,093 

-

24,367,063

합 계

-

       164,021,630 

-

63,706,933


마. 조직도



조직도_2024년_page-000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2021년도 당사는 코스닥 상장 기반 우월한 기술 경쟁력과 영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였습니다. 위성탑재체/본체/발사체 개발, 위성지상국 개발, EGSE/점검장비 개발, 방위산업핵심부품개발 분야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하였습니다. 

위성탑재체/본체 분야의 경우 차세대중형위성에 탑재되는 X-Band Transmitter를 개발 및 납품을 완료하여 차세대중형위성 1호기 발사 성공에 기여하였으며 2호기에도 탑재되어 2024년 내에 위성 발사예정에 있습니다. 또한 2024년에는 국방과학연구소와 초소형 LEO 플랫폼 개발 계약을 기반으로 초소형 위성 분야 선점을 하는 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무엇보다 한국수자원공사와의 차세대 위성통신 구축 개발 계약을 통해 민간 분야 위성지상국 사업 분야 성장을 견고히 하였으며 한화시스템㈜과 초소형 SAR 민간위성 발사 사업 참여를 통해 전원공급기(PSU)를 개발하였고 2023년 12월 발사에 성공함으로써 Space Heritage 획득 및 강화하는 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나아가 2023년 10월에는 항공우주전시회(ADEX)에서 글로벌 위성통신 기업인 VIAsat과는 M.O.U를 체결하고 국내 독점 MRO센터 구축 기반을 조성하였습니다. EGSE/시험정비장비 분야의 경우 425 군정찰위성 사업에 참여하여 위성에 탑재되는 SAR 센서의 전기적인 성능을 지상에서 시험하는 장비인 EGSE를 개발 및 납품하고 있으며 이렇게 검증된 425 위성 1기는 2023년도 12월에 발사되는 등 지속적인 성과 달성이 예상됩니다. 또한 시험정비장비분야의 경우 울산급 Batch-III 체계 사업을 통해 시험정비장비 제작 계약을 기반으로 시장점유율을 견고히 하였습니다. 

항공전자 사업으로는 LAH사업에서 무전기를 이용한 외부통신, 사용자 간 내부통신, 항법 오디오 연동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개별 패널을 통해서 통신 장비에 대한 제어 및 송신 선택, 볼륨 조정 및 내부통신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컴을 개발 하였고 초도 양산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양산 사업 참여가 예상 됩니다. 

마찬가지로 KF-21 보라매(한국형 전투기 개발사업)의 혼선방지기(IBU) 및 무인기에 탑재되는 통합관리컴퓨터(IMC) 등은 개발 중에 있으며 두 제품 모두 2024년도부터 양산 사업들이 기대가 됩니다. 항공전자분야의 경우 높은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 사업 분야이며 기존에는 해외에 의존도가 높았으나 당사는 항공전자장비 국산화 등에 성공하여 지속적인 개발사업에 참여하여 매출비중을 높이고 있으며 향 후 양산사업 참여 등으로 매출증대가 예상됩니다. 

방위산업핵심부품개발 사업분야의 경우 대규모 지속 양산 사업인 TICN 사업을 통해 많은 매출이 발생하였으며 2023년 최대 매출의 기반을 조성하였습니다. 무엇보다 국가 정책 기반 수출형 사업인 K-2전차 감지기통합보드 양산 계약을 시작으로 무인화 및 친환경사업까지 확대하여 향 후 산업시장에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제품의 다변화, 기술의 다변화, 인력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괄목한 성과로는, 미국의 VIAsat과 B사와 의 M.O.U 체결 등을 통해 해외 고객사 유입 기반을 조성하였고, 무엇보다 국방기술첨단화 정책 기반 군수분야 위성사업 확대, 정책 기반 민간분야 위성 사업 확대에 따른 수주 획득 및 수주기회 확보는 미래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였으며 기술양극화 시대에 발맞춰 확대가 예상되는 산업 분야 기술 선점 등 성장의 초석을 다지는 한해였습니다. 또한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기반으로 창립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등 미래의 잠재적 가치 향상 기반을 마련하여 2024년 최대실적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는 물론 실적 및 분야별 핵심 기술 성숙도를 높이는 해였으며 향 후 신규 사옥 이전을 통해 사업수행 효율성 증대 및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항공우주 사업 참여를 달성함에 따라 향 후 안정적인 실적 또한 예상됩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하기 별도 재무제표는 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확정된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0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19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0 기 제 19 기
자  산

유동자산 39,740,946,457 36,570,993,760
   현금및현금성자산 14,224,263,319 17,267,160,053
   단기금융상품 1,000,000,000 -
   매출채권및기타유동채권 11,932,127,011 8,300,177,605
   재고자산 11,574,362,097 9,062,006,003
   기타유동자산 985,030,432 1,906,960,489
   당기법인세자산 25,163,598 34,689,610
비유동자산 26,509,605,261 26,778,158,601
   비유동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2,939,658,013 2,448,505,025
   퇴직연금운용자산 120,088,264 150,037,368
   장기기타채권 5,500,000 23,280,451
   유형자산 20,192,823,616 21,058,445,789
   사용권자산 97,503,344 151,127,277
   무형자산 1,241,131,229 1,374,349,079
   기타비유동자산 45,025,499 50,224,342
   이연법인세자산 1,867,875,296 1,522,189,270
자 산 총 계 66,250,551,718 63,349,152,361
부 채

유동부채

   매입채무및기타유동채무 9,432,957,814 7,095,199,729
   단기금융부채 4,000,000,000 -
   계약부채 12,073,661,753 14,890,471,727
   유동성리스부채 27,916,662 42,351,207
   유동성장기금융부채 1,200,000,000 1,200,000,000
   유동성복구충당부채 15,619,459 -
   프로젝트손실충당부채 707,349,291 1,527,818,322
   기타유동부채 446,277,980 122,048,800
비유동부채 3,506,460,239 4,656,790,985
   확정급여채무 - -
   장기금융부채 3,000,000,000 4,200,000,000
   리스부채 68,743,867 96,660,529
   하자보수충당부채 437,716,372 345,575,408
   복구충당부채 - 14,555,048
부 채 총 계 31,410,243,198 29,534,680,770
자 본

   자본금 3,782,394,500 3,782,394,500
   자본잉여금 19,337,025,547 19,337,025,547
   기타자본 36,072,000 117,408,217
   이익잉여금 11,684,816,473 10,577,643,327
자 본 총 계 34,840,308,520 33,814,471,591
부채 및 자본 총계 66,250,551,718 63,349,152,361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0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제 19 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0 기 제 19 기
매출액 55,112,129,394 50,704,825,056
매출원가 49,741,054,842 43,329,534,724
매출총이익 5,371,074,552 7,375,290,332
판매비와관리비 (-)4,219,995,512 (-)4,224,167,447
영업이익 1,151,079,040 3,151,122,885
영업외손익 210,309,931 103,301,684
금융수익 444,408,059 299,209,326
금융비용 (-)254,051,277 (-)382,406,614
기타영업외수익 52,242,848 188,976,880
기타영업외비용 (-)32,289,699 (-)2,477,908
법인세차감전순이익 1,361,388,971 3,254,424,569
법인세비용 293,423,629 (-)538,791,396
당기순이익 1,654,812,600 2,715,633,173
기타포괄손익 (-)172,600,004 200,921,202
총포괄손익 1,482,212,596 2,916,554,375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0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제 19 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0 기 제 19 기
미처분이익잉여금 11,609,808,583 10,540,139,382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0,127,595,987 7,623,585,007
기타포괄손익(보험수리적손익) (-)172,600,004 200,921,202
당기순이익 1,654,812,600 2,715,633,173
합    계 11,609,808,583 10,540,139,382
이익잉여금 처분액 412,543,395 412,543,395
이익준비금 37,503,945 37,503,945
배당금 375,039,450 375,039,450
   가. 현금배당 375,039,450 375,039,450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1,197,265,188 10,127,595,987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와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주식의 종류 제 19 기 제 18 기
주당액면가액 (원) 500 500
현금배당금총액 (원) 375,039,450 375,039,450
주당 현금배당금 (원) 보통주 50 50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유 동 석 771229 - - 친인척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유 동 석 (주)제노코
영업임원
2017-현재 (주)제노코 사업본부 부본부장 -
Hilo Hattie
영업총괄
2012-2017 Hilo Hattie 총괄이사 -
International Wireless Corporation
영업총괄
2007-2009 International Wireless Corporation 총괄부사장 -
Beyond Cellular International
영업총괄
2005-2006 Beyond Cellular International 총괄부사장 -
Symmetric Triangle Inc.
영업담당임원 
2002-2005 Symmetric Triangle Inc. 이사 -
EZ Comnunications
영업담당 
2000-2002 EZ Comnunications 영업부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유 동 석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유동석 사내이사는 미국 소재 California 주립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당사에서 진행한 대형 프로젝트중의 하나인 Airbus D&S 사와의 군-II 위성통신체계사업 Ground Stations 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Program Manager로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현재는 당사 사업본부 부본장 및 해외사업팀장 겸임을 통해 글로벌 기업과의 MOU 체결, 협력사 등록, 해외 수주 기반 마련 등 주식회사 제노코 성장에 일조하고 있습니다. 당사 이사회는 향 후 후보자의 역량 등을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 기업브랜드가치제고 등에 활약할 것으로 기대하기에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확인서_유동석상무이사_page-0001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습니다.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상법 및 당사 정관에 의거 제품 국산화 등 기술혁신에 기여하고 향 후 상당한 기여가 되는 인원에 대한 동기부여를 위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습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최 승 주(*) 전무이사 항공우주연구소장 보통주 12,000주
이 호 직(*) 상무이사 제품기술연구소장 보통주 12,000주
총( 2 )명 - - 보통주 총( 24,000 )주

(*) 상기 내역은 상법 제340조의 2의 의거 2023년 07월 20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부여되었으며 제20기 정기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부여 승인여부를 갈음할 예정입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신주 교부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기명식 보통주 총 24,000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1. 행사가격

상법 제340조의2제4항의 실질가액을 산정하여,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76조의7제3항의 규정을 준용하여 평가한 시가 이상으로 하여 결정할 예정입니다.

2. 산정방법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를 위한 이사회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2개월간, 1개월간 및 1주일간의 거래량을 가중치로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과 주식의 권면가액 중 높은 가액으로 결정

3. 행사기간

2023년 07월 20일 이사회 부여분
: 2025년 07월 21일 - 2030년 07월 20일 
-
기타 조건의 개요 기타 조건은 부여 계약서, 당사의 정관 및 관계법령을 따릅니다.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부여가능
주식수
잔여
주식수
7,500,789 발행주식총수의 10%이내 기명식 보통주 750,078 551,709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
종류
부여
주식수
행사
주식수
실효
주식수
잔여
주식수
2019년(*) 2019.11.01 1 기명식 보통주 174,369 174,369 - -
2023년 2023.07.20 2 기명식 보통주 24,000 - - 24,000
-  3 - 198,369 174,369 - 24,000

(*)2019년에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의 경우 최초 2019년에 58,123주가 부여되었고2021년 11월15일 무상증자(1주당 신주2주 배정) 진행 결정에 따라 동일한 일자 이사회결의를 통해 174,369주로 조정되었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2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2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31백만원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5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18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3) 당사는 2024년 3월 18일 이전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http://www.genohco.com)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관한 법률시행령 제160조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및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3월 15일 ~ 2024년 3월 24일
      (위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하며,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접속가능)

 다.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의 종류 : 증권거래전용 공인인증서,
       은행 공인인증서, 범용 공인인증서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총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227004493

제노코 (361390) 메모